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MRONJ(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URL복사

조영탁 법제이사의 의료법과 의료분쟁 - ④

▶ 2008년 6월 치과의사 A는 #35, 36, 37이 결손된 환자 B의 치주질환이 이환된 #34 치아를 발치 후 7월 #35, 36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이후 8월 시술부위의 치은염 증상을 호소하여 항생제 등을 처방하였으나, 예후가 좋지 않아 치과병원으로 전원하였고, 9월 만성골수염 및 골 파괴 진단을 받았다. 12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수차례에 걸쳐 부골 절제술을 받았다. 환자 B는 2007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내과에서 골다공증 진단을 받고,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인 포사퀸을 주 1회 복용하여왔다. A는 채무부존재소송을, B는 3,300여만원의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하였고, 법원은 치과의사의 채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전주 지방법원 2013가합2305, 8624)

 

▶ 2009년 6월 치과의사 C는 #35, 36, 37이 결손 되었으며, #14, 15, 16, 26 치주질환이 이환된 환자 D에게 문진을 통해 골다공증 약을 복용중인 사실을 확인한 후 6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2010년 7월, 12월, 2011년 3월부터 5월까지 D는 하악좌측 임플란트 식립부위의 냄새와 통증을 호소하였고, C는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진단 후 처치하였으나 호전되지 않았다.  #36, 37 임플란트를 제거한 후 상급병원으로 전원하면서, D의 대리인에게 “치료에 대해 더 이상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며, 다른 병원에서 진료한다”는 합의서를 받고 6백만원의 합의금을 전달하였다. 2012년 2월 D는 좌측 하악골의 만성골수염 진단을 받고, 5월 부골 적출술 #35 임플란트 제거, #32, 33, 34 발치를 하였다. D는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였고, 법원은 C의 책임을 50%로 제한하여 700여만 원을 배상하도록 하였다. (서울중앙지법 2013 가단 11766)

 

비스포스포네이트 관련 골괴사증(BRONJ)은 골다공증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 약물을 투여 받은 환자 중 일부에게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약물을 장기간 경구 혹은 주사로 투여 받은 환자에게서 발치 후 연조직이나 경조직의 치유 지연, 치아의 동요, 연조직의 부종, 염증, 뼈의 노출이 나타나고, 국소적인 통증이나 감각이상이 나타난다. 또한 악골괴사가 진행됨에 따라 뼈의 노출, 열개, 부골의 형성, 급성골수염, 병적 골절 등이 동반된다.

 

BRONJ는 2003년과 2004년 사이에 미국의 Marx를 비롯한 3명의 구강외과 의사들이 독립적으로 암 환자에서 발생한 비스포스포네이트 관련 사례를 보고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2006년 미국 구강악안면외과학회에서 처음 논의되어 2007년에 출판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 대한구강악안면학회, 대한골대사학회, 대한골다공증학회, 대한내분비학회에서 논의 후 BRONJ에 관한 공동지침이 발표됐다.(표 참조)

 

의사는 환자에게 현대의 의료수준에 의한 적절한 치료를 실시하기 위하여, 연구, 기술 습득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는 연찬의 의무가 있다. A의 경우는 2008년에 임플란트 시술을 할 당시에는 BRONJ에 대한 정보가 적어서 예방조치를 취하여야할 의무가 없다고 보아졌다. 반면 C의 경우는 환자가 증상을 호소할 당시는 BRONJ에 대한 공동지침이 발표된 이후로 조기에 하악골 괴사의 원인을 알았다면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 투약 중단으로 골 괴사 진행을 방지하고 치유과정을 단축시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이 추정돼 손해배상이 인정됐다.

 

BRONJ는 최근 비스포스포네이트 뿐만 아니라 골흡수억제재 데노수맙(Denosumab, RANK-ligand inhibitor)과 혈관형성 억제재에 의한 악골괴사증을 포함하여 MRONJ(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jaw)로 확장되었다.

 

MRONJ의 병리생태학적 과정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른 부위의 뼈보다 골전환율이 높은 상악과 하악의 악골에서만 골괴사를 유발한다. MRONJ는 임상적으로 매우 드물지만, 약효가 강력한 약제일수록, 오래 투여할수록 더 잘 발생하며, 국소 인자로는 치아발치, 임플란트 및 구강내 수술, 잘 맞지 않는 틀니 착용 시 발생할 수 있다. 하악골이 상악골에 비해 2배정도 잘 발생한다. 구강내 위생불량, 음주 및 흡연, 전신인자, 고령, 악성종양, 만성신부전, 당뇨병, 스테로이드 치료를 동반하는 경우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MRONJ는 일단 발생하고 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최우선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치과의사에게는 환자에게 발치, 임플란트, 치주치료 등의 시술 전에 문진을 통해 MRONJ를 유발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 골다공증 약 등을 복용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할 책임이 있다. 

 

김선종 교수(이대 난치성 악골괴사 치료연구센터장)는 “관련된 환자는 고령이며, 보호자 없이 치과에 내원하는 경우 자신의 약 복용 내역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다”며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물 복용 방법의 특성상 1주 1회 혹은 1달 1회 식전에 많은 물과 함께 먹는 약 또는 3개월에 1회 맞는 주사가 있는지 문진 후 처방전을 갖고 내원하게 하여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하였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맞는 말이라도 항상 옳은 것만은 아니다
살다보면 맞는 말인데 옳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것들이 있다. ‘맞다·틀리다’는 참과 거짓을 나누는 명제로 객관적인 관점이고, ‘옳다·그르다’는 주관적 관점이기 때문이다. 객관적으로는 맞는 것이지만 주관적으로는 옳다고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 것이다. 옳고 그름에 대한 인식은 선거에서 보였듯이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다. 반대로 옳다고 하는 말이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자신이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시어머니 잔소리나 혹은 직장 상사나 선생님, 선배 혹은 부모가 될 수도 있다. 얼마 전 전공의대표가 대학 수련 병원 시스템을 이야기하면서 “의대 교수는 착취사슬 관리자, 병원은 문제 당사자”라고 표현하였다. 객관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대학병원 현 상태를 명쾌하게 한마디로 정의한 깔끔한 표현이었다. 다만 모두가 알고 있지만 차마 입 밖으로 낼 수 없었던 사실로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 표현을 보면서 뭔가 마음이 불편함을 느꼈다. 수련의가 지도교수들을 착취의 관리자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서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도제식 교육이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직업 중 하나가 의료계인데 이런 도제식 교육적 개념을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기술자는 교과서에

재테크

더보기

미국증시 조정과 연준의 첫 번째 금리인하

조정받기 시작한 미국증시 3월말에 고점을 만든 미국증시는 4월 1일부터 3주 연속 하락했다. 지난주에는 50일 이평선을 하회하며 하루도 반등 못하고 매일 하락해서 미국주식 투자자들의 근심이 높아졌다. 다행히 이번 주는 20주 이평선 부근에서 반등에 성공해 한숨을 돌리는 모습이다. 지난 3월 14일에 기고한 칼럼에서 첫 번째 금리인하 시점이 6월이라 가정했을 때 4월 전후 주식시장 조정 가능성에 대해 미리 다뤄봤다. 기준금리 사이클 상으로 첫 번째 금리인하 전후에 미국 주식시장의 조정 및 횡보구간이 나오게 되는데, 마침 3월 FOMC를 앞두고 그동안 강세장을 이끌어왔던 AI 대표 주식 엔비디아가 주당 $1,000을 앞둔 상황에서 큰 변동성을 보였다. 당시 S&P500 공포탐욕 지수도 극도의 탐욕에서 벗어나서 추세를 벗어나 점차적으로 하락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장의 단기 고점 가능성에 대해서 2주 전에 유튜브 영상을 통해 추가로 분석한 적이 있다. 필자는 대중의 심리 지표를 활용해 시장의 변곡점의 경로를 예상하는데, 공포탐욕 지수의 추세와 put-call 옵션 비율, 기관투자자들의 매수-매도, 거래량, 차트 분석 등 다양한 변수를 종합해 금리 사이클과 비교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