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서울지역 의원·치과·한의원 영업이익 전국 최하위 수준

URL복사

의원급 영업이익 증가율 1위, 의과-울산, 치과-제주, 한의과-인천
2010·2015년 의과·치과·한의과 경영실태 분석④_ 광역시도별 영업이익 비교

2010·2015년 의과·치과·한의과 경영실태 분석④_ 광역시도별 영업이익 비교

서울지역 의원·치과·한의원 영업이익 전국 최하위 수준
의원급 영업이익 증가율 1위, 의과-울산,  치과-제주, 한의과-인천

 

대한민국에서 의사는 최고의 직종 중 하나다. 사회적 명성은 물론이고, 그에 따른 부까지도 축적할 수 있는 전문직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의대, 치대, 한의대는 대학입시에도 항상 상위 1%에 속하는 인재들이 앞 다퉈 지원하는 인기과다.

하지만 사회는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의사가 된다고 성공을 100% 확신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이러한 우려는 의료계 내부에서도 ‘의료인 과잉배출’이라는 이름으로 표출되고 있다.

수익으로 모든 것을 말할 수는 없지만, 의료기관의 경영상황을 분석하는 것은 우리나라 1차 의료기관의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간접 지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지는 지금까지 3회에 걸쳐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의원, 치과의원, 한의원)의 수와 매출액, 영업비용 등을 비교분석해왔다. 오늘은 그 마지막 시간으로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광역시도별 영업이익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의료인 과잉배출과 지역 간 의료공급의 불균형 등을 간접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대상은 통계청이 2010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는 경제총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로 삼았다. 2010년과 2015년 두 시기로 나눠 전국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의 매출을 분석할 계획이다. 참고로 2020년을 기준으로 한 경제총조사는 2022년께 발표될 예정이다.

분석에 사용될 각 지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매출액’은 급여와 비급여를 모두 포함한 의원급 의료기관의 총 매출을, ‘영업비용’은 임대료, 인건비, 각종 의료장비 및 재료 구입 등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데 사용된 모든 비용, 그리고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영업비용을 제외한 순이익을 뜻한다. 또한 치과의원 및 한의원과 달리 진료영역이 전문분과별로 나눠져 있는 의원의 경우 흔히 알고 있는 피부과의원, 성형외과의원, 이비인후과의원, 내과의원, 비뇨기과의원 등 의과의 모든 의원급 의료기관을 통칭한 지표다.  [편집자주]

 

의원, 대도시보다 충남·충북 등 중소도시 순익이 훨씬 높아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영업비용을 제한 순이익을 가리킨다. 즉 얼마나 효율적으로 경영을 했는지 알 수 있는 지표라 할 수 있다. 가장 먼저 광역시도별 의원의 월평균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2010년 1위는 1,530만원의 월평균 영업이익을 기록한 전북이 차지했다. 이어 1,500만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강원이 2위를, 1,480만원의 경남이 3위, 1,470만원과 1,460만원을 기록한 충북과 충남이 나란히 4위와 5위에 랭크됐다. 상위권에 이름을 올린 모든 도시가 중소도시임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6위는 1,390만원의 제주, 7위는 1,380만원의 경북이었다. 대전과 경기가 각각 1,370만원과 1,340만원으로 8위와 9위를 기록하며 그나마 대도시의 체면을 세웠고, 전남이 1,310만원으로 10위를 기록하며 마지막으로 중위권에 올라탔다.

 

11위부터의 하위권에는 대도시가 주를 이뤘다. 울산과 대구가 1,300만원을 기록하며 공동 11위, 인천이 1,290만원으로 13위, 광주와 부산이 1,280만원으로 공동 14위, 그리고 서울은 1,240만원으로 16위를 기록했다.

 

 

2015년 영업이익 1위는 2,260만원의 충남이었다. 이어서 충북이 2,230만원으로 2위를, 경북이 2,200만원으로 3위, 경남이 2,160만원으로 4위, 그리고 울산이 2,100만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5위를 차지했다. 2010년과 비교했을 때 대도시에 속하는 울산이 상위권에 진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중소도시의 강세가 나타났다.

 

2010년 1위를 차지했던 전북은 2015년 2,080만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6위로 내려앉았다. 계속해서 강원과 제주가 2,020만원으로 공동 7위, 전남과 대구가 2,010만원으로 공동 9위를 차지했다. 11위는 1,960만원을 기록한 경기가 차지했으며, 대전이 1,950만원으로 12위, 인천이 1,900만원으로 13위, 부산이 1,800만원으로 14위, 세종이 1,790만원으로 15위를 기록했다. 이어 1,730만원을 기록한 광주가 16위를, 그리고 서울은 1,680만원으로 여전히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2010년과 2015년 5년간의 변화양상을 엿볼 수 있는 증가율에서는 61.5%의 증가율을 보인 울산이 1위를 차지했다. 울산은 2010년 1,300만원의 영업이익에서 2015년 800만원이 증가한 2,100만원을 기록했다. 2위는 59.4%를 기록한 경북이, 3위는 54.8%의 충남, 4위는 54.6%의 대구, 5위는 53.4%의 전남이 차지했다. 대전, 부산, 서울, 광주 등의 대도시는 각각 11위, 12위, 14위, 15위를 기록하며 증가율에서도 저조한 성적표를 나타냈다.

 

치과 영업이익 증가율 1위 제주, 5년간 52.8% ↑

2010년 치과의원의 경우 평균적으로 매월 1,320만원의 영업이익이 발생했고, 2015년은 이 보다 31.8% 증가한 1,740만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010년 전국 영업이익 1위는 강원이었다. 강원은 1,520만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충북이 1,500만원으로 2위를, 경북이 1,460만원으로 3위, 경남이 1,420만원으로 4위, 전남이 1,390만원으로 5위에 랭크됐다.

 

의료기관이 밀집된 대도시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하위권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1,040만원을 기록한 서울이 16위로 최하위를 기록한 데 이어, 부산이 1,260만원으로 11위, 경기가 1,250만원으로 12위, 대구가 1,150만원으로 15위를 기록했다. 2015년에는 2,040만원의 월평균 영업이익을 올린 충북이 2,020만원의 강원을 제치고 1위에 올라섰다. 이어 충남과 경남이 1,930만원으로 공동 3위, 전북이 1,910만원으로 5위를 기록했다.

 

 

대도시의 저조한 월평균 영업이익은 2015년에도 계속됐다. 10위를 기록한 1,720만원의 대전을 시작으로, △11위 대구(1,690만원) △12위 인천(1,640만원) △13위 부산(1,630만원) △14위 경기(1,620만원) △15위 광주(1,530만원) △16위 서울(1,350만원)로 대도시의 하위권 형성 경향은 더욱 뚜렷해졌다.

 

증가율 측면에서는 제주도가 1위를 차지하며,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2010년 1,230만원으로 13위에 머물던 제주는 2015년 1,880만원으로 6계단을 뛰어오르며 7위에 랭크됐다. 증가율은 52.8%로 1위였다. 2위는 1,150만원에서 1,690만원으로 47.0% 오른 대구가, 3위는 1,340만원에서 1,930만원으로 44.0% 오른 충남이 차지했다.

 

5년간 가장 낮은 영업이익 증가율을 보인 지역은 인천으로 1,300만원에서 1,640만원으로 26.2%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서울(11위, 29.8%) △광주(12위, 29.7%) △경기(13위, 29.6%) △부산(14위, 29.4%) 등 다른 대도시의 증가율도 그리 좋지만은 않았다.


한의원, 영업이익 증가율 의원·치과에 크게 못미쳐

이제 마지막으로 한의원의 월평균 영업이익을 살펴보자. 한의원에서는 2010년의 경우 870만원의 월평균 영업이익을 거둔 경남이 1위를 차지했다. 부산이 820만원으로 2위를 기록했으며, 경기와 경북이 800만원으로 공동 3위, 그리고 울산이 780만원으로 5위를 기록했다. 의원 및 치과의원과는 달리 부산, 경기, 울산 등 대도시가 상위권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위권을 살펴보면, 광주와 충남이 각각 740만원으로 공동 10위, 인천과 전북, 전남, 제주가 720만원으로 공동 12위, 그리고 서울이 710만원의 월매출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5년 월평균 영업이익 1위 도시는 1,000만원을 기록한 경북이 차지했다. 이어 경남과 울산이 990만원으로 공동 2위, 970만원의 충남이 4위, 950만원의 인천이 5위를 기록했다. 이어 대전이 940만원으로 6위를, 충북과 경기가 930만원으로 공동 7위, 대구가 910만원으로 9위를 차지했다.

 

 

부산과 강원은 890만원의 월평균 영업이익을 올리며 공동 10위에, 광주가 880만원으로 12위, 서울이 840만원으로 16위, 그리고 720만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세종이 최하위에 이름을 올렸다.

 

증가율에서는 2010년 720만원의 월평균 영업이익에서 2015년 950만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인천이 31.9%의 증가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충남이 31.1%로 2위, 울산이 26.9%로 3위, 경북이 25.0%로 4위, 대전이 23.7%로 5위를 기록했다.

 

의원은 최대 60%대, 그리고 치과의원은 최대 50%대의 증가율을 나타낸 것과 달리, 한의원은 1위를 기록한 인천이 30%대에 머물러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영선 기자 ys@sda.or.kr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맞는 말이라도 항상 옳은 것만은 아니다
살다보면 맞는 말인데 옳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것들이 있다. ‘맞다·틀리다’는 참과 거짓을 나누는 명제로 객관적인 관점이고, ‘옳다·그르다’는 주관적 관점이기 때문이다. 객관적으로는 맞는 것이지만 주관적으로는 옳다고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 것이다. 옳고 그름에 대한 인식은 선거에서 보였듯이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다. 반대로 옳다고 하는 말이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자신이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시어머니 잔소리나 혹은 직장 상사나 선생님, 선배 혹은 부모가 될 수도 있다. 얼마 전 전공의대표가 대학 수련 병원 시스템을 이야기하면서 “의대 교수는 착취사슬 관리자, 병원은 문제 당사자”라고 표현하였다. 객관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대학병원 현 상태를 명쾌하게 한마디로 정의한 깔끔한 표현이었다. 다만 모두가 알고 있지만 차마 입 밖으로 낼 수 없었던 사실로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 표현을 보면서 뭔가 마음이 불편함을 느꼈다. 수련의가 지도교수들을 착취의 관리자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서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도제식 교육이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직업 중 하나가 의료계인데 이런 도제식 교육적 개념을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기술자는 교과서에

재테크

더보기

원달러 환율과 인플레이션

연고점을 경신하는 달러원 환율 원달러 환율(달러원 환율 같은 뜻이다)이 연고점을 연이어 경신하고 있다. 4월 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53.2원이었는데, 글을 쓰고 있는 4월 9일은 장중 1,355원까지 올랐다. 원달러 환율 상승이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천정이 뚫려있는 모양새다. 외환 당국이 방어를 하던 환율 박스권도 돌파된 상황이다. 환율이나 금리 같은 경제지표의 최신 가격을 단순히 지식으로 알고 있는 것과 환율 상승이나 금리 인하의 이유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과는 천지차이다. 그리고 올바른 해석을 바탕으로 실제 투자에 적용해 수익을 내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매크로 변화의 표면적인 이유를 겉핥기 하거나 뉴스에서 제공되는 뒷북 설명을 뒤따라가기도 바쁜 것이 현실이다. 필자는 2023년 초부터 일관되게 원달러 환율 강세를 대비한 달러화 자산의 중요성에 대해 본 칼럼과 유튜브를 통해 강조해왔다. 그리고 실제로 투자에 적용해 작년 초 미국주식, 미국채, 금, 비트코인 등 원화 약세를 헤징할 수 있는 달러화 표기 자산들을 전체 총자산의 80%까지 늘려 편입했으며, 원달러 환율 상승의 리스크 헤지는 물론 추가적인 수익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