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보면 아시잖아요!

URL복사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449)

30대 중반 여성이 내원했다. 심하지 않은 약간의 덧니와 총생을 지니고 있었다. 필자는 늘 그렇듯이 “어떤 일로 내원했으며, 무엇을 해결하고 싶은가요?”라는 질문을 던졌다. 환자의 요구가 치아에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외모가 바뀌기를 원하는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환자 자신의 말을 통해야만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 요즘 환자들은 내원하기 전에 인터넷으로 수많은 검색을 하고 나름대로 자신이 원하는 무엇인가를 치료하는 메커니즘을 스스로 만든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안면 비대칭이나 주걱턱 같은 골격 문제가 치아교정만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닌 경우도 많다. 또 환자와 의사가 같은 대화를 하고 동의서에 서명을 해도 치료 후 분쟁이 생기는 경우도 종종 있다. 예를 들어 주걱턱 경향을 지닌 총생 환자가 내원해 자신이 원하는 것은 입이 들어가는 것이라고 이야기했을 때, 환자가 말하는 입에는 턱까지 포함된 포괄적인 생각일 가능성이 높다. 의사에게 입은 턱을 제외한 부분이지만 환자는 턱을 포함해 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 서로 입을 넣는 것에 동의하고 치료를 하지만 결국 분쟁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필자는 환자가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가 정확한 개념을 지녔는지 파악하는 작업을 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요한다. 실질적으로 환자가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 환자가 스스로 만든 치료계획의 오류를 수정해주는 작업도 같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자기주장이 강한 환자일수록 상담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이 경우 환자는 결국 자기 자신의 생각을 바꾸지 못하고 본인 생각에 동조하는 치과의사를 찾기 위해 떠난다. 최근 그런 경향의 환자가 많아졌다.


앞서 소개한 환자는 “보시면 알지 않나요?”라는 답변을 했다. 그 말은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전문가면 그 정도는 알아야 하지 않느냐. 내가 모르는 것도 발견해 치료해줘야 하지 않느냐. 내가 원하는 것은 다 해결해줘야 하지 않느냐. 최종적 책임을 너에게 있다’ 등등 다양한 가능성에서 어떤 사항이 환자의 생각인지를 물어보다가 환자로부터 “치료가 끝나면 예뻐지는 거죠? 책임지고 예쁘게 해주시는 거죠?”라는 질문을 받았다. 결국 환자의 최종 목적은 예뻐지는 것이었다. 필자는 환자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어떻게 예뻐지기를 원하는지를 물었지만 대답은 듣지 못했다.

 

환자가 요구한 예뻐지는 것은 용모 전체에 대한 생각이었기 때문에 필자가 제시하는 치아만 가지런해지는 것이나 발치교정으로 입만 들어가는 것에는 만족하지 못하는 것이다. 게다가 치료 후에 만족을 포함한 모든 책임을 의사에게 지우려는 의도도 있었다. 필자는 선택에 대한 책임과 만족에 대한 것은 환자의 몫이지, 의사의 책임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하게 구분해 말해주었다. 의사는 치료에서 의학적인 책임은 지지만 만족이나 예쁘다는 추상적인 책임은 의사에게 없다고 명확하게 말했다. 본인 생각에 동조하는 의사를 찾아 떠날 것인지, 아니면 치료를 받을 것인지 또한 역시 환자의 몫이다. 대부분 이런 경우 환자는 떠난다.

 

필자에게 진료받을 환자는 이런 식으로 대화를 진행하지 않는다. 이들은 요구사항을 정확히 표현하고 결과에 대하여 명확하게 수긍해주기 때문에 대화가 길게 이어지지 않는다. 포기할 것에 대한 포기가 빠른 사람들이다. 상담이 길어지는 것은 요구사항 중에 무엇인가를 포기하지 못하는 환자들에 대한 포기를 설득하는 과정일 뿐이다. 요즘은 타인으로부터 설득당하는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에 결국 대화가 길어지면 결과는 늘 파국으로 끝난다. 심지어 필자를 설득하려는 환자도 있다.


요즘 필자는 환자와 대화하면서 포기 정도를 파악한다. 포기할 사항을 전달해주고 빨리 포기하는지 아니면 쉽게 포기하지 못하고 길게 지속적으로 잡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포기를 쉽게 하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최종으로 구글에서 검색하여 보여주고 그래도 포기하지 않으면 대학병원에 가보기를 권한다. 필자가 감당할 수 없는 영역의 환자인 것이다. 의사도 때로는 빠른 포기가 필요할 때가 있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맞는 말이라도 항상 옳은 것만은 아니다
살다보면 맞는 말인데 옳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것들이 있다. ‘맞다·틀리다’는 참과 거짓을 나누는 명제로 객관적인 관점이고, ‘옳다·그르다’는 주관적 관점이기 때문이다. 객관적으로는 맞는 것이지만 주관적으로는 옳다고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 것이다. 옳고 그름에 대한 인식은 선거에서 보였듯이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다. 반대로 옳다고 하는 말이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자신이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시어머니 잔소리나 혹은 직장 상사나 선생님, 선배 혹은 부모가 될 수도 있다. 얼마 전 전공의대표가 대학 수련 병원 시스템을 이야기하면서 “의대 교수는 착취사슬 관리자, 병원은 문제 당사자”라고 표현하였다. 객관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대학병원 현 상태를 명쾌하게 한마디로 정의한 깔끔한 표현이었다. 다만 모두가 알고 있지만 차마 입 밖으로 낼 수 없었던 사실로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 표현을 보면서 뭔가 마음이 불편함을 느꼈다. 수련의가 지도교수들을 착취의 관리자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서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도제식 교육이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직업 중 하나가 의료계인데 이런 도제식 교육적 개념을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기술자는 교과서에

재테크

더보기

원달러 환율과 인플레이션

연고점을 경신하는 달러원 환율 원달러 환율(달러원 환율 같은 뜻이다)이 연고점을 연이어 경신하고 있다. 4월 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53.2원이었는데, 글을 쓰고 있는 4월 9일은 장중 1,355원까지 올랐다. 원달러 환율 상승이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천정이 뚫려있는 모양새다. 외환 당국이 방어를 하던 환율 박스권도 돌파된 상황이다. 환율이나 금리 같은 경제지표의 최신 가격을 단순히 지식으로 알고 있는 것과 환율 상승이나 금리 인하의 이유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과는 천지차이다. 그리고 올바른 해석을 바탕으로 실제 투자에 적용해 수익을 내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매크로 변화의 표면적인 이유를 겉핥기 하거나 뉴스에서 제공되는 뒷북 설명을 뒤따라가기도 바쁜 것이 현실이다. 필자는 2023년 초부터 일관되게 원달러 환율 강세를 대비한 달러화 자산의 중요성에 대해 본 칼럼과 유튜브를 통해 강조해왔다. 그리고 실제로 투자에 적용해 작년 초 미국주식, 미국채, 금, 비트코인 등 원화 약세를 헤징할 수 있는 달러화 표기 자산들을 전체 총자산의 80%까지 늘려 편입했으며, 원달러 환율 상승의 리스크 헤지는 물론 추가적인 수익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