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_치과의사 대상 전문의제도 인식조사]
다수전문의 시대 이해충돌
‘다들 하니까 나도 따겠다’ VS ‘너도나도 전문의, 가치하락’
‘경과조치 참여하겠다’ 응답에 전문의 자격 보유자 상당수 포함…‘더블 보드’ 노리나?
서울시치과의사회(회장 이상복·이하 서울지부)가 발행하고 전국의 모든 치과의사가 함께 읽는 치과신문이 올해로 창간 26주년을 맞았다. 창간 26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본지는 842호부터 이번호인 844호까지 총 3회에 걸쳐 창간기획기사를 연재 중에 있다. 이번호는 그 마지막 시간으로 치과의사전문의제도에 대한 인식조사를 게재한다.
전문의제도는 치과계에서 가장 뜨거운 사안 중 하나다. 몇 번의 헌법소원까지 겪으며 11번째 전문과목인 통합치의학과 신설과 기수련자 및 전속지도전문의 등에게 전문의시험의 응시자격을 부여하는 지금의 경과조치가 시행하게 됐다. 특히 전문의제도를 둘러싼 최근의 변화양상은 지금까지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매우 빠르다.
2008년 시행된 전문의제도는 지난 2016년까지 9회의 시험을 거쳐 총 2,389명의 전문의를 배출했다. 하지만 경과조치가 시행된 2017년부터 올해 8월 시험까지, 단 4번의 시험으로 6,169명의 신규 전문의가 배출됐다. 또한 현재 경과조치에 참여하고 있는 치과의사도 5,000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내년에는 전문의 1만명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지난 7월 치러진 통합치의학과 2차 시험이 예상보다 높은 난이도로 출제되며 역대 최저 합격률을 기록하는 등 전문의제도를 둘러싼 환경은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는 이러한 환경변화를 포함해 전문의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경과조치 대상자인 치과의사와 치과대학생의 두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이러한 기획의도를 충실히 반영하기 위해 학생으로서 마지막 경과조치 대상자에 포함되는 본과 4학년과 치전원 4년차는 설문대상에서 배제했다. 또한 개원의와 학생이라는 환경차이로 완전 동일한 문항으로 의사를 물을 수는 없었지만, 경과조치 대상자와 비대상자의 입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가급적 동일한 질문을 넣으려 노력했음을 밝힌다.
설문은 9월 23일부터 10월 9일까지 진행됐다. 치과의사의 경우 본지에서 발송하는 뉴스레터와 서울지부 회원을 대상으로 한 문자 메시지 및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실시했으며, 치과대학생은 본지 4기 학생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11개 치과대학의 학생기자를 통해 카카오톡 전송방식으로 취합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치과의사는 327명이, 치과대학생은 총 384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편집자주]
치과의사 대상 전문의제도 인식조사
총 327명 참여·연령과 개원연차 등 고른 분포 유지
치과의사전문의제도에 대한 치과의사의 인식을 조사하기에 앞서,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들의 인구사회학적통계를 살펴보자.
먼저 이번 설문에 참여한 총 327명 중 ‘남성’은 286명으로 전체의 87.5%를 차지했으며, ‘여성’은 40명이 참여, 12.2%의 비율을 보였다(무응답 1명). 연령에서는 ‘40대’가 112명으로 전체의 34.3%를 차지,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 이어 ‘50대’가 102명으로 31.2%를 차지해 뒤를 이었고, 계속해서 ‘30대(68명, 20.8%)’와 ‘60대 이상(44명, 13.4%)’ 순이었다.
개원연차로는 ‘21년 이상’이 114명으로 34.9%를 차지했다. 또한 ‘10년 이하’에서 113명(34.6%), 그리고 ‘11~20년 이하’에서도 97명(29.6%)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을 제외한 연령과 개원연차 등에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통치 전문의 109명으로 1위·GP 77명으로 뒤 이어
참여자의 전문과목을 묻는 항목에서는 현재 경과조치교육이 진행 중인 ‘통합치의학과’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통합치의학과’는 전체 응답자의 33.3%에 해당하는 109명이 참여했다. 단, 최종 시험에는 아직 합격하지 못했지만, 현재 경과조치에 참여하고 있는 이들도 잠재적 전문의로 파악, 해당 수치에 포함시켰다.
‘보철과’와 ‘교정과’가 각각 30명으로 그 뒤를 이었고, △구강악안면외과 24명 △치주과 22명 △소아치과 6명 △구강내과 5명 순이었다. 전문의가 아닌 ‘GP’로는 77명이 참여, 23.5%를 나타냈다. 세부적인 전문과목을 구분하지 않고, 전문의와 GP만으로 구분하면 전문의 248명, GP 77명이었다(무응답 2명).
연매출 분포도 ‘극과 극’
마지막 인구사회적통계 문항은 바로 연평균 매출이다. ‘4억원 미만’이 129명으로 39.4%를 차지,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계속해서 ‘7억원 초과’가 76명으로 23.3%를 차지했으며, 그 뒤는 △4~5억원 57명(17.4%) △5~6억원 40명(12.2%) △6~7억원 24명(7.4%) 순이었다. ‘4억원 미만’을 하위권, ‘4~7억원’을 중위권, ‘7억원 초과’를 상위권이라고 보면, 그 수치는 각각 129명, 121명, 76명이다.
‘남성’, ‘전문의’일수록 전문의는 ‘필수’라는 인식 강해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전문의제도에 대한 치과의사의 인식을 살펴보자. 먼저 전문의 자격은 필수인가라는 물음에 응답자의 66.7%인 218명이 ‘필수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필수’라고 답한 사람은 21.7%에 해당하는 71명에 불과했다. 이어 ‘모르겠다’라는 유동적인 답을 한 사람도 38명에 달했다.
‘필수가 아니다’라는 답변이 압도적인 것으로 조사됐지만, 성별·연령·전문의 여부 등 각각의 독립변수를 대입해본 결과 나름대로 의미 있는 변화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성별의 경우 여성(15%)에 비해 남성(22.7%)에서 ‘필수’라는 답변이 높게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연령층에서는 유독 50대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필수’라는 답변이 많았다. 50대의 29.4%가 ‘필수’라고 답한 반면, 다른 연령층에서 ‘필수’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7~18% 수준에 그쳤다.
전문의 여부에 따라서도 다른 양상의 답변이 나왔는데, ‘GP’의 경우 ‘필수가 아니다’라는 답변이 83.1%로 압도적이었다. ‘필수’라고 응답한 사람은 3.9%에 불과했다. 반면 전문의에서는 62.1% ‘필수가 아니다’라고 답했고, ‘필수’라는 응답은 GP의 약 6배에 달하는 26.6%를 기록했다.
‘젊을수록’, ‘전문의 자격 보유자’ 경과조치 참여의사 높아
오는 2022년까지 시행되는 경과조치에 대한 참여의사를 묻는 설문에는 응답자의 61.2%에 달하는 200명이 참여할 계획이거나 현재 참여 중이라고 답했다. 이에 반해 ‘참여하지 않겠다’라는 응답은 29.3%에 해당하는 96명에 그쳤고, ‘모르겠다’는 유동적인 입장도 9.2%에 달하는 30명이 전했다(무응답 1명).
경과조치 참여의사에 대한 각 독립변수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면, 예상한 대로 나이가 젊을수록, 그리고 개원연차가 낮을수록 ‘참여하겠다’는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을 살펴보면, ‘30대’의 ‘참여하겠다’가 72.1%로 가장 높고, ‘40대’에서도 71.2%가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50대’부터는 그 수치가 크게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다. ‘50대’에서 경과조치에 참여하겠다는 사람은 53.9%로, 그리고 ‘60대 이상’에서는 36.4%로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개원연차에서도 68.8%(10년 이하)와 71.1%(11~20년 이하)에 달했다는 참여의사가 ‘21년 이상’에서 44.7%로 크게 줄어들었다.
전문의 여부에 따라서도 참여의사는 극명하게 갈렸다. 자신이 전문의라고 밝힌 248명(향후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경과조치 참여자 포함) 중 78.6%인 195명이 경과조치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앞선 인구사회학적통계에서 현재 경과조치교육 참여자를 비롯해 자신의 전문과목이 통합치의학과라고 밝힌 이들은 모두 109명. 하지만 이들을 훨씬 뛰어넘는 195명이 경과조치에 참여하겠다고 의사를 밝힌 것으로 봤을 때, 여기에는 상당수의 기수련자들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이미 경과조치를 통해 과거 본인의 수련과목에 대한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고도, 통합치의학과 경과조치교육에 참여해 더블 보드를 노리는 이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실제로 ‘전문의 자격을 선호하는 이유’를 묻는 문항에서 기타의견으로 ‘더블 보드’ 때문이라는 의견이 상당수 존재했다.
전문의의 압도적인 참여의사와 달리 GP의 경우에는 3.9%에 이르는 3명만이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전문과목, 표방(44.3%) VS 표방 않겠다(40.4%) ‘팽팽’
표방은 소아치과·구강내과·교정과·외과 순
전문과목을 표방한 치과는 해당과목만 진료해야 한다는 의료법 77조 3항에 대한 위헌결정이 나온 지 벌써 4년. 이제 전문의라면 누구나 전문과목을 표방하면서도 타과 진료를 마음대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실제로 전문과목 표방에 대한 치과의사의 생각은 어떨까?
전문과목 표방에 대한 치과의사의 생각을 물은 결과, 예상외로 ‘표방하겠다’와 ‘표방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팽팽히 맞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44.3%에 해당하는 145명이 ‘표방하겠다’라는 응답을, 40.4%에 해당하는 132명이 ‘표방하지 않겠다’는 답변을 내놨다. ‘모르겠다’는 응답은 48명(14.7%)이었다(무응답 2명).
하지만 표방의사에 대한 과목간의 온도차는 극명했다. 먼저 응답자의 100%가 ‘표방하겠다’고 의사를 밝힌 전문과목은 소아치과(6명), 영상치의학과(1명), 예방치과(1명)였다. 비록 응답자 수가 많지는 않지만, 자신만의 색깔이 명확한 전문과목임에는 틀림없다. 이어 구강내과의 80%가 ‘표방하겠다’고 답했고, 교정과가 63.3%, 그리고 구강악안면외과가 62.5%로 뒤를 이었다.
반대로 ‘표방하지 않겠다’라는 의사를 밝힌 그룹은 △GP(57.9%) △보존과(55.0%) △치주과(50.0%) 순이었으며, 통합치의학과의 경우 43.5%가 표방의사를, 그리고 35.2% ‘표방하지 않겠다’라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조사됐다.
‘다수전문의 시대 뒤처지지 않기 위해’ 전문의 딴다!
하지만 그 만큼 전문의 가치는 하락한다고 인지
계속해서 전문의 자격을 선호하는 이유와 그렇지 않은 이유를 동시에 조사했다. 해당문항은 경과조치 참여여부 또는 참여의사와는 관계없는 문항으로, 순전히 전문의 자격에 대한 선호 또는 선호하지 않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한 것임을 밝힌다.
먼저 전문의 자격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다수전문의 시대에 뒤처지고 싶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전체의 27.5%에 해당하는 90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전문의 자격 취득에 따른 자기만족’이 23.8%(78명), ‘개원(경영)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라는 응답이 19.0%(62명), ‘진료에 있어서 GP와의 차별성’이 16.5%(54명)로 뒤를 이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전문과목 표방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언제 닥칠지 모르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최신 지견에 대한 학습차원 △더블 보드 등이 있었다.
전문의 자격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에서는 ‘다수전문의로 인한 전문의 가치 하락’이 27.5%로 1위를 차지했다. 전문의 자격을 선호하는 이유와는 정반대의 의견이라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심리적으로 남들보다 뒤처지는 것이 두려우면서도 대다수의 치과의사가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는 탓에 그 가치 역시 떨어지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는 셈이다.
그 다음으로는 ‘교육이수와 시험 등 절차의 번거로움 또는 관련 비용에 대한 부담’이 19.0%로 2위를 차지했다. 시험자격을 얻기 위한 300시간 경과조치교육 이수, 그리고 지난 7월 치러진 통합치의학과 2차 시험의 높은 난이도 등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계속해서 ‘전문의에 대한 환자의 이해 및 인식 부족’과 ‘개원(경영)에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아서’라는 응답도 각각 14.1%와 10.1%를 차지했다.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응답도 40%
마지막 설문으로는 최근 전문의제도를 둘러싼 급격한 환경변화가 경과조치 등 전문의 자격 취득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 엿볼 수 있는 문항으로 마련했다. 그 첫 번째는 급격한 전문의 수의 증가가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문항이었다.
2008년 시행된 전문의제도는 지난 2016년까지 9회의 시험을 거쳐 총 2,389명의 전문의를 배출했다. 하지만 경과조치가 시행된 2017년부터 올해 8월 시험까지, 단 4번의 시험으로 6,169명의 신규 전문의가 배출됐고, 현재 경과조치에 참여하고 있는 치과의사도 5,000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급격한 전문의 증가가 본인의 전문의 자격 취득 결정에 영향을 줬는지를 △무조건 취득하겠다 △취득하겠다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취득하지 않겠다 △절대로 취득하지 않겠다의 5점 척도로 물었다.
그 결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겠다’라는 답변이 ‘취득하지 않겠다’라는 답변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조건 취득하겠다’는 전체의 23.9%인 78명이, 그리고 ‘취득하겠다’라는 응답도 27.5%인 90명이 택했다. 전체의 51.4%가 ‘전문의를 취득해야겠다’는 쪽으로 영향을 받은 셈이다. 반면 ‘절대로 취득하지 않겠다’와 ‘취득하지 않겠다’라는 응답은 각각 3.4%(11명)와 4.9%(16명)로 10%도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문항에서 전문의를 선호하는 이유 1위로 ‘다수전문의 시대에 뒤처지고 싶지 않아서’가, 그리고 선호하지 않는 이유의 1위로 ‘다수전문의로 인한 전문의 가치 하락’이 꼽힌 바 있다. 1위로 꼽힌 두 문항을 관통하는 공통된 사안은 ‘다수전문의 시대’라는 것.
따라서 이 문항을 급격한 전문의의 증가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묻는 이번 문항에 대입해 보면, ‘다수전문의 시대에 뒤처지고 싶지 않아서’는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겠다’라는 입장으로, 그리고 ‘다수전문의로 인한 전문의 가치 하락’은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지 않겠다’라는 입장으로 대변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다수전문의로 인한 전문의 가치 하락’보다는 ‘다수전문의 시대에 뒤처지고 싶지 않아서’라는 심리적 작용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하나, 전문의의 급격한 증가가 자신의 의사결정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라는 응답도 39.7%에 달하는 130명으로 조사돼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치시험 어려운 난이도에 오히려 ‘참여하겠다’ 더 많아
급작스러운 전문의 수의 증가에 이은 두 번째 환경변화는 시험 난이도였다. 지난 7월 치러진 통합치의학과 전문의 2차 시험의 난이도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77.8%라는 역대 최저 합격률을 기록했다. 이와 같은 시험 난이도가 본인의 경과조치 참여 결정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를 묻는 설문으로 △무조건 참여하겠다 △참여하겠다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참여하지 않겠다 △절대로 참여하지 않겠다의 5점 척도로 물었다.
그 결과 예상외의 답변이 나왔다. 일반적으로 시험 난이도가 높아지면 ‘경과조치에 참여하지 않겠다’라는 쪽으로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결과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가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62.8%에 해당하는 205명이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답했고, 오히려 ‘절대로 참여하지 않겠다/참여하지 않겠다(11.9%, 39명)’보다 ‘무조건 참여하겠다/참여하겠다(24.1%, 79명)’라는 응답이 더 높게 나왔다.
시험 난이도는 자신의 경과조치 참여여부에 큰 고려사항이 아니며, 오히려 시험이 어려워 탈락자가 많아질수록 경과조치 참여의지가 더욱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전영선 기자 ys@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