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본‧대만 젊은 구강악안면외과의 한자리에

2025.10.28 13:26:40 제1135호

구강악악면외과학회 차세대 심포지엄 성료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회장 이부규·이하 구강악안면외과학회) 산하 청년위원회가 지난 10월 18일 삼성서울병원에서 ‘제3회 차세대 구강악안면외과의사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구강악안면외과 응급상황과 합병증 관리’를 주제로, 한국·일본·대만 등 3개국의 젊은 구강악안면외과의사들이 최신 임상 경험과 실전 노하우를 공유했다.

 

심포지엄은 레지던트·펠로우 응급증례 발표를 시작으로, △심부 경부 감염의 원칙과 실제 △악안면 외상에서의 기도관리 △독립 치과병원 입원환자의 의학적 응급 대응 △악교정 수술 합병증 예방 △재건 미세구제수술 등 임상 현장 밀착형 주제가 집중 조명됐다.

 

레지던트·펠로우 응급증례 발표 최우수상은 임경민 전공의(삼성서울병원)가 수상했다. 임 전공의는 ‘미진단 당뇨환자에서 발생한 치성 기원 뇌농양’ 증례를 통해 조기 인지와 다학제 연계의 중요성을 제시해 심사위원단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Passing the Torch: Shaping the Future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Takahiro Kanno/Shimane University) △Management of Deep Neck Infection: Principles and Practice (류재영/전남치대) △Emergency Management of Maxillofacial Trauma: Airway Management and Pitfalls in Japan(Taihei Hayakawa/Aichi Gakuin University) △Mayhem and Midnight Calls(Chia Chun Hsu/Changhua Christian Hospital) △Managing Medical Emergencies in Independent Dental Hospital Inpatients(이재열/부산치대) △Clinical Study on Preventing Complications in Orthognathic Surgery(Yu Koyama/Tokyo Dental College) △Lessons Learned from Emergencies & Complications in Head and Neck Microsurgery(Wei-Chun Wang/Show Chwan Memorial Hospital) 등의 강연이 진행됐으며, 패널 토론을 통해 국가별 진료체계 차이와 표준화 가능성, 줄어드는 전공의 근무시간과 교육 방안이 논의됐다.

 

 

또한 ‘SHRINK: Aesthetic & Functional Applications in Oral & Maxillofacial Practice’ 핸즈온 워크숍에서는 권도현 교수(삼성서울병원)의 지도로 HIFU 기반 SHRINK 장비의 원리와 안전 해부학, 에너지·심도 설정, 시술 라인 설계, 합병증 예방법 등 구강악안면 영역의 미용·기능적 적용을 실습이 진행됐다.

 

구강악안면외과학회 이부규 회장은 “한·일·대만의 젊은 의사들이 좌장과 연자로 참여하면서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했다”며 “내년에도 교류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임상 현장에서의 표준화된 안전 프로토콜 보급에 힘쓰겠다”고 전했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