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치은염 및 치주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3년 들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742만명에서 2013년 1,083만명으로 늘었고, 진료비는 2009년 4,020억원에서 2013년 7,469억원으로 연평균 1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전체 진료인원인 1,083만명은 건강보험 적용인구의 21.7%를 차지하는 수치다. 직전년도인 2013년과 비교하면 진료인원은 29.5%, 진료비는 35.8%라는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2013년 7월부터 성인(20세 이상)을 대상으로 연1회 스케일링에 대해 건강보험을 확대 적용하기 시작한 정책 영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건보공단은 “2013년 7월부터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치석제거를 할 수 있게 돼 치과 방문 인원이 급증하면서 치주질환 진료인원도 급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또한 2013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 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비교해보면 60대가 3만3,507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3만1,463명), 70대 이상(2만5,867명), 40대(2만5,260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구 10만명 당 진료인원의 연령대별 연평균 증가율을 비교해보면 30대가 12.6%로 가장 높았고 40대(9.0%), 20대 이하(8.2%), 50대(7.1%), 60대(6.2%), 70대 이상(5.0%) 순으로 뒤를 이어 젊은 층의 증가율이 특히 높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건강보험 확대의 효과를 가늠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건보공단 일산병원 치과 김영택 교수는 “치주질환이 심했거나 관리가 잘 안되는 환자는 3개월에 한 번씩 내원하여 스케일링하고, 상태가 좋아질수록 6개월에 한 번씩 내원하여 관리받도록 하는 것이 좋다”면서 “치주치료의 이력이 없거나 치은염 정도라면, 1년에 한 번씩 내원하여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