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국립대치과병원 역량 강화 모색

2022.12.02 11:01:33 제994호

국립대치과병원발전협, 장애인 정책 마련 논의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국립대학치과병원발전협의회(회장 구영·이하 국립대치과병원발전협)가 지난달 10일과 11일 양일간 전남대치과병원 주관으로 2022년도 제3차 협의회를 개최했다. 국립대치과병원발전협은 치과 관련 정책 개발 및 각종 제안 등 국립대 치과병원의 고유목적사업 역량 강화와 발전을 목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국립대치과발전협은 강릉원주대치과병원(원장 박찬진), 경북대치과병원(원장 권대근), 부산대치과병원(원장 조봉혜), 서울대치과병원(원장 구영), 전남대치과병원(원장 조진형), 전북대치과병원(병원장 김경아) 등 6개 국립대 치과병원으로 구성돼 있다.

 

3차 협의회에서는 △장애인 전신마취 진료 대기기간 단축 방안 △코로나19로 인한 치과계 의료기관 손실보상 지원 △공공기관 혁신계획과 공공성 역할 수행 △치과계 융합 연구 활성화 및 인재 양성을 위한 관련법 개정 필요성 △국립대학교치과병원 협의회에서 ‘국립대학치과병원 발전협의회’로 명칭 변경 △물가상승에 따른 입원환자 식대의 현실화 및 위탁운영 시 인력 미충족 요건 완화 등 주요 현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특히 올해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신마취 필요 장애인 환자 진료 대기일이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 155일(‘22.09 기준),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평균 103일(’22.06. 기준)이 소요되는 등 장애인 구강진료에 큰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과 함께 관련부처와 전담인력 인건비 지원 확대 및 관련 정원의 증원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드는 데 의견이 모인 바 있다.

 

또한 국립대치과병원 중 독립법인화가 안된 전남대치과병원과 전북대치과병원의 독립법인화를 추진해 지역거점 국립대치과병원으로서 국민 구강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각 기관이 상호 협력키로 했다. 이 외에도 복지부가 올해 구강보건의 날에 발표한 ‘제2차 구강보건사업 기본계획’이 성공적으로 자리잡아 모든 국민이 건강한 100세를 보낼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데 협의회가 적극 협조키로 했다.

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