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식학회’ 임플란트 트렌드 리딩 재확인

2025.03.30 10:39:01 제1106호

지난 3월 23일 춘계학술대회, 풀마우스부터 신재료까지 망라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회장 송영대·이하 이식임플란트학회)가 지난 3월 23일 서울대치과병원 대강당에서 2025년도 춘계학술대회(대회장 노관태)를 개최했다. 노관태 학술대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실제 임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최신의 임상 정보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춰 준비했다”고 강조했다.

 

‘KAID, the new trending leadership’을 대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풀마우 임플란트 보철의 통합적 접근 △임플란트 치주-보철, ‘과거와 최근 비교-트렌드를 선도하는 치주보철 기법’ △임플란트 수술 시 부가적 재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전망 BMP, PDRN, and so on’ 등 3파트로 나눠 학술강연이 진행됐다.

 

먼저 풀마우스 임플란트 보철 관련한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성언 원장(세종치과)이 ‘아날로그 기반 다수 임플란트 치료의 접근’을, 백채환 원장(뉴삼성치과)이 ‘디지털 전악 수복의 밸런스를 위한 고려사항’을, 노관태 교수(경희치대)가 ‘이해하면 쉬워지는 전악 임플란트 수복치료’를 각각 강연했다.

 

두 번째 치주-보철 세션에서는 정철웅 원장(첨단미르치과병원)이 ‘쉽고 빠름을 지향하는 임플란트 트렌드 변화!:좁은 골폭과 발치와에서 쉽고 안전한 임플란트 치료법’을, 강익제 원장(엔와이치과)이 ‘Cementless 보철방식에 대한 고민’을, 이창규 원장(당진이손치과병원)이 ‘임플란트 30년: 아쉬움과 기쁨의 여정’에 대해 각각 강연을 펼쳐 참가자들의 호응을 이끌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조직재생 관련 다양한 재료에 대한 고찰이 이어졌다. 먼저 김수홍 원장(그대를위한치과)이 ‘골형성단백질의 임상응용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윤종일(연치과) 원장이 ‘PDRN의 올바른 이해와 골면역학’을, 서미현 교수(서울치대)가 ‘성공적인 임플란트 수술을 위한 key material: 필수인가, 선택인가?’를 통해 최신 지견을 전했다.

 

 

임기 중 마지막 학술대회를 치른 송영대 회장은 “학술대회, 학술집담회, 그리고 임플란트 아카데미 등 임플란트 관련 학회로서 학술활동에 가장 큰 중점을 두고 활동해 왔고, 이 같은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기 위해 노력했다”며 “보다 젊게, 보다 액티브한 학회 활동을 위해 최선을 다했고, 젊은 임원과 위원회를 중심으로 학회는 더욱 큰 변화를 이뤘다. 앞으로도 임플란트 관련 임상정보를 끊임없이 업데이트해 회원과 임상의들에게 제공하는 활동이 꾸준히 이어지길 바란다”고 소회를 밝혔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