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 IN] 대한치과의사협회 김세영 회장

2013.01.17 12:26:15 제526호

“전문의 문제, 임시 대의원총회 통해 정면돌파하겠다!”

 

대한치과의사협회 김세영 회장이 신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불법네트워크 치과 척결사업에 전력을 다했던 김세영 집행부는 새해 치과계 백년대계를 다시 쓸 치과의사전문의제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다음은 김세영 회장과 일문일답.  


전문의제도와 관련한 임총이 다가오고 있다.

전문의 문제는 이상과 현실을 따로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지난 10여년간 소수정예로 방침을 정하고 제도를 시행했지만 현실은 달랐다. 이런 식으로 여러 문제가 불거지면 추후 치과계는 반으로 분열되거나 큰 혼란에 빠질 것이다. 전문의제도와 관련해서 회원 3만명의 의견이 모두 다르다. 본인이 처한 개개인의 이익이나 환경에 따라 생각이 틀리기 때문에 집행부는 최대 공약수를 찾을 수밖에 없다. 우리 모두가 조금씩 손해를 봐서 공약수를 찾을 수 있다면 바꿔야 한다. 그간 역대 치협 집행부에서 전문의제를 놓고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냉정하게 말하면 다시 원점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모두 꺼려왔던 것 아닌가 생각이 든다. 현 치협 집행부가 밀실행정이니, 꼼수니, 졸속처리니, 이런 구설수에 오르면서까지 이야기를 꺼낸 것은 우리마저 전문의 문제를 땜질처방을 하거나, 손을 대지 않으면 혼란이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었다.

 

치과계 내부의 이견도 만만치 않은데.

총회에 참석하는 대의원들은 기본적으로 소속지역에서 10~15년 이상은 회무에 참여하고 봉사해온 치과의사들이다. 일선 회원들의 의견을 대의하는 대의원들은 그만큼 치과계 현안에 대해 이해가 높고 관심도 많다. 치과계 일부에서 ‘다수전문의제’에 반대의견을 피력하고 있는데, 반대만 하지 말고 그 논리로 치협 대의원들을 설득하길 바란다. ‘다수전문의제’에 반대하는 의견에 동조한다면 부결될 것이고, 집행부안에 찬성한다면 가결되는 것이다. 전문의제 전면개방을 하면 동네치과의 생존권이 위협받는 주장도 들었다. 우리는 현 제도가 지속될 경우 쏟아지는 전문의로 동네치과의 생존권이 위협받을 것 같기 때문에 방어막으로 다수전문의제를 상정한 것이다. 생각의 차이다.

 

임총 일정이 너무 빠듯하다는 이야기도 있다.

집행부에서도 4월 정기대의원총회 상정을 검토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설득작업을 통해 정부 측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1년 이상 소요됐다. 더군다나 지금은 정권이 바뀌는 시기다. 복지부 내 담당팀이 바뀌면 어떻게 될지 모른다. 집행부로서는 힘을 실어주는 복지부 팀이 있을 때 전문의제 개선을 추진하자는 것이다. 회원 여러분은 서두른다고 느낄 수 있겠지만 우리는 1년 동안 충분히 토의해왔다. 전문의제 공청회도 4차례나 개최했다. 이제 결단의 문제만 남았다. 더 이상 토론을 요구하는 사안은 아니다.

 

선거제도 개선 연구는 어느 정도 진행됐나?

4월 정기대의원총회에 선거제도 개선안은 분명히 상정한다. 그 안에는 직선제도 포함될 것이다. 현재 치협 정관제개정위원회에서 활발한 논의를 하고 있고, 조만간 몇몇 안이 도출되면 치협 이사회에서 논의 후 안을 확정하겠다. 2월이나 늦어도 3월까지는 선거제도 개선과 관련한 회원 설문조사도 마무리하겠다. 현재 설문조사 방법 등을 포함한 안을 받아 검토중이다. 선거제도 개선 문제도 전문의 문제와 일맥상통하는 부문이 있다. 선거제도 역시 적법한 과정을 통해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 회장은 어떻게 뽑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누구를 뽑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불법네트워크 및 사무장치과 척결사업은?

정중동, 폭풍전야라고 보면 된다. 현재 내부고발이 많이 들어온 상태고 차분히 취합을 하고 있다. 섣불리 법적 고발에 들어가 엉뚱한 판례라도 나온다면 공염불이다. 올해는 어떤 식으로든지 척결사업을 완성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갖고 있다. 눈에 보이는 가시적인 성과도 나올 것이다. 그 문제는 결과로 이야기하겠다. 최근 의협에서 사무장치과 특위를 구성한다고 들었다. 치협은 이같은 의협의 행보에 적극 환영이다. 우리만큼 많은 정보와 노하우를 갖춘 의료단체도 없을 것이다. 이에 대해 공조할 준비가 돼 있다. 의료계만의 공조가 아니라, 정부 측에 제안한다. 현재 리베이트 전담반을 운영하는 것처럼 사무장치과 척결을 위해서도 검경, 국세청, 복지부, 의료계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주길 바란다.

 

회원들에게 전하는 메시지.

전문의제와 관련해 치열한 논쟁을 하는 것은 좋다. 그렇지만 결과가 나온다면 하나된 식구로 돌아가자. 우리에게는 더 풀어나가야 할 일들이 많다. 우리 내부적으로 목소리가 나눠지면 치과계의 파워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대정부 투쟁력은 외부에서 볼 때 그 집단이 안정적일 때 가장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앞으로도 집행부 활동에 애정어린 격려와 질책 해주시길 바란다.

 

최학주 기자/news@sda.or.kr

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