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만들기

2011.12.19 14:29:00 제474호

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이야기 (73)

신묘년 한 해가 저물고 있다. 책상 위에 놓인 달력을 집어 들고 1월부터 한 장씩 넘길 때마다 지난 일 년간 겪었던 많은 일들이 생생하게 기억을 스치고 지나간다. 힘들었던 일, 마음고생 했던 일, 기뻤던 일들이 떠오름과 동시에 지금은 타인을 보는 듯한 객관적인 시선으로 돌아볼 수 있는 것에 조금은 성숙해진 느낌을 받는다.

 

요즘은 세상이 복잡하고 시끄럽고 어렵고 힘들어 대중매체나 인터넷 등이 부정적인 단어로 도배되다시피 한다. 단어에는 힘이 있어서 부정적인 단어는 부정적인 생각을 낳고 부정적인 생각은 부정적인 행동을 낳는다. 따라서 지금은 긍정적인 단어와 긍정적인 생각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즉, 희망, 행복, 사랑, 믿음, 기쁨, 배려 등과 같은 긍정적인 단어가 더욱 빛을 발할 때인 것이다.

 

 필자도 요즘은 가능한 긍정적인 단어를 많이 사용하려 노력하고 있다. 딸아이와 전화 할 때도 “사랑하는 딸!”이란 단어를 꼭 사용한다. 아들에게도 카카오톡으로 대화할 때 “사랑하는 아들아”라는 인사말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리고 신문, 방송, 뉴스 등에서 부정적인 단어가 나오면 의도적으로 다른 채널로 돌리는 행동을 두어 달 하다 보니 세상 돌아가는 일은 잘 모르지만 내 마음 속에는 많은 평화가 왔고 속 시끄러운 일들은 거의 없다. 그리고 지인들과 문자할 때도 꼭 빠뜨리지 않고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하고 마무리를 짓는다.

 

 행복이란 단어 자체가 행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힘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내일의 행복이 아닌 오늘의 행복이 더욱 중요하다는 생각에 행복한 하루를 강조하여 본다. 더불어 행복이란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노력하여 만들어가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여 본다. 젊었던 시절에는 미래의 커다란 행복을 위하여 앞만 보고 저돌적으로 돌진만 하였다. 그리고 행복이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고 처해진 상황에 대해 불평하고 불만하고 원망하였던 기억들이 있다.

 

그런데 요즘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화가가 그림을 완성해가듯, 조각가가 조각품을 만들듯, 음악가가 악보를 완성해가듯, 그렇게 스스로 조금씩 조금씩 만들어가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그래서 그림도 그리다가 아니면 지우고 다시 그리듯이 우리들의 행복도 조금 불행하다고 느끼면 수정하고 고쳐가면서 작은 행복을 느껴가며 평안을 찾아가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따라서 행복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행복해지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 생각을 바꾸고, 말을 바꾸고, 행동을 바꾼다면 그제야 비로소 조금씩 행복을 느끼기 시작할 것이다. 안해 본 사람들이라면 처음에 아들이나 딸에게조차 사랑한다는 말을 쓰기에도 무안하고 멋쩍을 것이다. 그러나 처음에는 이상하지만 쓰다보면 그런 감정에 몰입도 되고 상대가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면 나 또한 행복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심리학에서는 ‘사람의 마음에 과거는 극약이다’라는 말이 있다.

 

 과거의 힘들었던 일, 고통스러웠던 기억 등이 현실의 행복을 방해하는 주요 요소라는 말이다. 몇 년 전 방송되었던 연속극 중에 기억을 상실한 재벌 여사장에 관한 내용이 있었다. 모든 기억이 없으면서 하루하루의 삶 속에서 진실한 사랑을 느끼는 내용이었다. 그렇듯이 과거의 모든 아픈 기억들을 놓아 버릴 수 있다면 지금 행복해질 수 있다. 미운 사람, 용서 못할 자, 나쁜 일 등에서 용서를 하려고 하면 괴로워지니 가장 좋은 방법은 놓아 버리는 것이다. 즉, 마음을 비우는 것이다.

 

기억 상실에 걸린 것처럼 그렇게 놓아버리는 것이다. 그리하면 괴로움을 막는데 쓰던 마음의 에너지가 긍정의 에너지로 바뀌게 되며, 작은 일에도 감동을 하고 작은 마음의 움직임에도 행복을 느낄 수 있다. 결국 또 다른 세상을 보는 눈이 생기게 된다. 자연계에 마크로의 세계와 마이크로의 세계가 있듯이, 마음 속 세계에서는 작은 마음의 움직임을 보고 감동할 수 있게 된다. 무용수의 작은 손짓에 감동을 받듯이, 오케스트라에서 작은 플룻의 소리에 감동을 받듯이….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