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단] ‘통 큰 포용’과 ‘화끈한 화합’이 필요한 때다

2012.04.23 09:23:50 제491호

김남윤 논설위원

4·11 총선이 끝나고 국민들의 기분은 묘하다.

 

180석을 차지하고 있던 여당이 152석으로 이전보다 줄어든 의석수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으로 승리했다고 자축하고, 야권단일후보를 냈던 정당들은 합쳐서 140석의 수확을 걷고도 참패했다며, 총선을 지휘했던 대표가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기대치가 높았던 젊은 세대의 투표율은 수도권을 제외하면 저조했고, 이러한 선거결과에 “너희에게는 88만원도 과분하다”며 국민들이 국민들을 냉소적으로 보는 어처구니없는 시각도 생겨났다.

 

왜 그럴까? 필자는 이번 선거의 원인을 계층 간, 세대 간의 갈등이 증폭된 결과로 생각한다. 현 여당의 고정지지층은 베이비붐 이전의 세대로, 이들은 꾸준히 투표하며 결집력이 좋다. 반면에 ‘정권 심판론’을 들고 나온 야당의 소리는 SNS를 타고 젊은 층으로 빠르게 확산되어갔다. 투표율 70%를 목표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수도권에서의 압승이 이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지방에까지 골고루 퍼지지 못한 SNS의 한계와 동여서야(東與西野)의 뚜렷한 대비가 우리나라 정치시계를 거꾸로 돌려놓은 듯 하여 씁쓸함을 감출 수 없다. 이러한 계층 간, 세대 간의 갈등이 곳곳에서 충돌을 일으키고 있다.

 

서울 치과의사신협 총회장에서 회원복지를 위한 골프장 회원권 구입을 둘러싸고 투표까지 간 일이나, 3월 25일에 개최된 대한의사협회 회장 선거에서 91%의 높은 투표율과 개혁을 바라는 젊은 층의 일방적인 지지로 1차 투표에서 58.6%의 과반으로 당선된 노환규 회장의 경우가 그러하다.

 

다행히도 의협의 일련 사건들은 ‘통합’이라는 대명제아래 봉합의 수순을 밟고 있고, 회원들 역시 적극 지지와 성원으로 화답하고 있어 향후 의협의 거취와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사실 필자는 의협의 이러한 ‘통 큰 포용’과 ‘화끈한 화합’이 일부분 부러운 심정도 있다.

 

치과계에도 면허신고제 및 전문의 제도와 관련하여 세대 간 갈등이 수면 아래에서 진행되고 있다. 현재 세부사안까지 확실하게 결정된 바는 없지만, 치협은 3년마다 시행되는 면허신고제에 회비문제와 무적회원 문제를 연계하여 진행하려 하고 있고, 회원가입을 위해 지부에 창구를 두려한다. 타 의료단체가 회비와 보수교육문제를 연계하지 않는다고 천명한 것과는 대비된다.

 

젊은 회원들의 경우 분회와 지부와 중앙회까지 3중의 입회비와 회비를 내는 것이 부담이 된다고 토로한다. 지부 간 이전 개원을 하면 다시 지부와 분회의 입회비를 내야하는 것도 불합리하다고 한다. 또한, 무적회원의 경우 그동안 밀린 회비를 한꺼번에 내야하는 것이 부담이다.

 

그동안 무임승차를 했으니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주장과 억대의 빚을 얻어 개원하는 젊은 후배들에겐 가혹한 회비라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전문의 제도의 경우 2014년까지 1차 진료기관 표방을 금지하였으나, 지금도 암암리에 인터넷 광고 등을 통하여 표방을 하는 치과의사가 생겨나고, 이를 “약속을 무너뜨린 행위”라고 비난하면, “억울하면 다시 수련을 받으라”는 어이없는 대답이 돌아온다. 8%의 소수 전문의와 선진국형 의료전달체계 확립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수용한 선배들은 그야말로 ‘바보’, 혹은 ‘호구’라는 소리를 듣고 있는 실정이다.

 

차라리 이럴 바에야 의과처럼 전문의 문호를 개방하자는 주장도 설득력 있게 무게가 실리고 있다. 치협 회장 선거방식에도 세대 간, 계층 간의 시각 차이가 있고, 이를 위해 공청회까지 열었지만, 뚜렷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한 걸로 알고 있다.

 

불법네트워크 치과 척결을 위해 한 마음, 한 목소리로 단결해왔던 치과계가 내부로부터 근본적으로 흔들리고 있다. 이에 대해 사태파악과 명쾌한 해결법을 위해 치과계 구성원 모두의 지혜가 필요한 때다. 앞장서서 일하시는 분들의 노고를 충분히 이해하지만, 소수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 함께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더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