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못드는 사회

2022.11.17 14:34:28 제992호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589)

우리나라 인사말은 “안녕하세요”다. 한자 安(편할 안)과 寧(편안할 녕)에서 유래한 단어다. ‘무탈하게 편안하시냐?’는 의미를 지닌다. 최근 유행한 트로트 가사처럼 먹을 것이 없어 초근목피를 먹었던 보릿고개나 울던 아이도 울음을 멈춘다는 호환마마, 그리고 3일에 한 번씩 겪었다는 외적의 침입 등으로 어렵게 살았던 조상들의 애환이 섞인 단어다. 아침에 부모님을 뵈면 처음 하는 인사말이 “안녕히 잘 주무셨습니까?”다. 이 또한 땔감이 떨어져 춥게 잤거나, 먹을 것이 부족해 하루 두 끼를 먹던 시절에 저녁밥을 빨리 먹고 일찍 잠을 자면 자다가 배고파서 깨고는 다시 잠이 들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나온 인사말이다.

 

이렇게 우리 삶 속에서 잘 자는 것은 잘 사는 것의 인디케이터였다. 그런데 최근 잠 못자는 사람들이 다양한 연령층에서 증가하고 있다. 며칠 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0~9세 소아불면증 환자가 작년에 58.1%, 올해 7.4%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60세 미만 불면증 환자 중에서 증가폭이 가장 큰 나이가 0~9세로 평균 3.9%보다 두 배 증가했으며, 다음으로 10~19세가 7.2% 증가했다. 통상 노년에서 불면증이 증가하는 것에 상반된 이례적인 양상이 최근에 발생했다.

 

수면학회는 18세 미만에서는 8~10시간, 성인은 7~8시간이 적정 수면시간으로 정하고 있다. 소아불면증은 호르몬 분비 불균형으로 성장 발달을 저해하고 집중력 저하나 우울증을 야기할 수 있으며 ADHD와 동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만성화되면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도 있고 행동장애나 학습장애를 야기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자택수업 등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취침 전에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뇌를 자극해 수면을 방해한다고 했다.

 

가끔 골격성 장치를 사용하는 초등학생 아이들에게 몇 시에 취침하는지를 물어보면서 밤 11~12시에 잔다고 대답하는 아이들이 적지 않은 것은 알고 있었다. 초등학생 아이들 부모라면 30대 중후반이다. 그들은 대부분 맞벌이이고 직장에서 돌아와 아이들과 마주하는 시간이 빨라야 7시경이 되고 식사를 마치면 9시 경이다. 엄마가 아이들의 이것저것 학습상황을 정리하거나 조금 대화를 하면 10시가 넘으니 11시 이전에 아이들이 취침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운 환경이다. 역으로 아이들이 10시 이전에 취침을 하게 되면 1주일 내내 엄마 얼굴을 보고 대화를 하는 것이 어려워져서 정서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소아불면증이 증가하는 추세는 아이들 개인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사회 전체적인 문제지만 각 가정이 개별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것 역시 큰 문제다. 결국 해결은 부모가 문제점을 인식하고 현명한 대처를 해야 한다.

 

뇌과학자 다니엘 에이먼은 전두엽 중앙 심층부를 세로로 가로지르며 위치한 대상회(cynguate gyrus)에서 안도감과 안정감을 주관하고 인지적 융통성을 담당한다고 하였다. 인지적 융통성이란 흐름을 파악하고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이다. 이 대상회가 손상되거나 과잉활동하면 한 가지 생각만 반복하거나, 만성적인 걱정을 지니거나, 과거의 상처에 집착하거나, 강박적 사고나 행동 혹은 적대적 행위, 아이들의 반항행동, 운전할 때 생기는 분노 등이 유발되기 쉽다. 이럴 경우 뇌에 스트레스나 자극이 되는 행동이나 습관을 중단하고 스스로 극복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의사의 약물치료가 도움이 된다고 했다.

 

과거와 달리 먹을 것이 없어서 굶지도 않고, 과학과 의료발달로 호환마마도 없고, 안보위협은 있으나 외교적인 노력으로 실제적인 전쟁을 하지 않는지 70년이 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 사회 환경은 모든 연령층이 편하게 잠들지 못하게 한다. 10대 이전은 부모님 영향으로, 10대는 입시로, 20대는 취업으로, 30~40대는 영끌로, 50대는 은퇴로, 60대 이상은 노후 대책으로 모두가 쉽게 잠들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그러나 어떤 상황과 문제로 인해 잠들지 못한다 해도 극복원리는 단순하다. 뇌가 쉴 수 있도록 우선 욕심과 생각을 놓고 무조건 마음이 편해지는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잠이란 원래 그냥 드는 것이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