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이 사라진 사회

2023.01.16 15:16:07 제1000호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597)

최근 결혼을 하고도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사는 부부가 많다는 기사가 보인다. 우선 경제적으로 전세대출을 받기 위해 부부지간에 전세계약서를 쓰고 대출을 받다 보니 혼인신고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요즘엔 결혼식을 하고 6개월이 지나고 혼인신고를 하는 것이 사회적인 추세다. 1년 이내 조기 이혼율이 높아지다 보니 새로 생긴 풍속도다. 심지어 출산하고도 부동산을 이유로 혼인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언제부터인가 한국사회에서 사회적인 기본 룰이 사라지고 있다. 기본 룰이란 개인적으로 조금 손해가 있어도 한 사회가 장기적으로 지속하기 위해 지켜져야 하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그런데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단위인 가정은 경제적인 이익을 위하여 깨지고 있고, 사회의 기본적인 근간인 교육은 편의성으로 파괴되었다. 12월 중순이 지나도 겨울방학이 시작되지 않는다. 교육부가 재량휴업일을 도입하면서부터 시작과 끝이란 개념이 교육에서 지워졌다. 처음 재량휴업제를 시행할 때부터 우려했던 바다. 자연법은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자듯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작과 끝이 정해져있다. 우리 선조들이 태양의 위치에 따라 24절기를 만든 이유도 농사를 지으며 그때가 되면 그 일을 하기 위해서였다.

 

모든 것에는 정해진 시작과 끝이 있어야 그에 따라 각자가 할 일을 정한다. 학교는 그런 습성을 키우고 익히게 하는 곳이다. 이런 학교에서 재량 휴업이라는 명분으로 시작과 끝을 자신들 입맛에 맞게 재단하기 시작하며 시간의 규칙성을 파괴하였다. 연휴에 맞추다 보니 겨울방학을 12월 말에 하는 경우도 있다. 교육이란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것이 있음을 가르쳐주고 참는 법도 가르쳐 주는 것이지만, 교육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할 일을 해야 하는 가장 기본을 가르치는 것을 스스로 포기했다. 12월 중순이면 일률적으로 겨울방학을 시작하는 룰이 깨지면서 사회적 기준은 필요에 따라서는 얼마든지 변해도 되는 것으로 인식 또한 바뀌었다. 아무리 사소한 룰이라도 지키려 하면 적지 않은 노력과 희생이 필요하고, 그것을 통해 참고 기다리는 인내를 배우게 된다. 최근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에게 폭행을 당하도록 교권이 무너진 원인 중에는 지켜져야 하는 기본적인 룰이 학교장 입맛에 맞게 재단되며 시작되었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큰 댐도 작은 누수를 막지 못하면 붕괴되는 것이 자연 이치이다. 이제는 결혼 후에 아이를 낳고도 부동산이라는 이익을 위해서 혼인신고를 미루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당사자들은 수많은 이유가 있고 타당성도 있다. 물론 혼인신고가 사랑에 대한 객관적인 증명도 아니며 더 사랑하게 하는 것도 아니다. 어찌 생각하면 종이쪼가리 하나고 법적 구속일 뿐이다. 하지만 사회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단위가 가정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틀이 갖추어지고 법적 보호가 있어야 한 사회가 장기적으로 존속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필수 불가결하다. 물론 모든 것이 규칙을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처럼 사회존속을 위해 유지되어야 하는 최소한의 규칙과 규정은 학교 교육에서 가르쳐야 한다. 교육은 지식으로 배우는 것보다 몸으로 습득해야 하건만 현재 학교에서 습득을 가르치기 어려운 현실이다.

 

사회가 고도 선진화될수록 다양한 사람의 다양성이 존중받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구성원 각자가 규칙을 지키는 것은 중요하다. 사회적인 룰을 구성원들이 잘 준수할수록 문화선진국이다. 그동안 우리 사회의 근간이 된 기본적인 룰은 조선시대 도입된 유학이 큰 틀을 잡았었고 그것이 지금까지 오랜 세월동안 이어져오고 있다. 고도사회인 현실과 맞지 않는 것이 많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맞지 않는 것은 수정하고 폐기하는 것 또한 당연하다.

 

그러나 아무리 시대가 바뀌고 환경이 변해도 바뀌지 않는 것이 있다. 인성이다. 사람으로서 지녀야 하는 기본적인 성품이다. 그 성품을 가르치는 것이 교육이다. 요즘 모든 지식은 포털에 있으니, 이젠 교육은 지식전달이 아닌 인성을 가르치는 본연으로 돌아가기를 바란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