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와 불안

2023.05.11 14:43:08 제1016호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613)

월급쟁이가 아닌 모든 사람이 공통으로 겪는 일은 수입에 대한 불안정성이다. 경제생활을 수입과 지출로 양분하면, 지출은 고정돼 있는 반면 수입은 예측이 불가하다. 수많은 통계기법에도 부정확하다.

 

치과의원이나 병원을 운영하는 원장들도 수입에 대한 불안은 마찬가지다. 고정 지출은 정해져있는 반면 수입은 변동적이기 때문이다. 환자 수가 많든 적든 규모가 크든 작든 간에 불확실성으로 인한 불안은 같다. 25일이 직원 월급날인 원장들은 15일 정도면 수입에 대한 불안감이 조금씩 엄습해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코로나 같은 사회적인 현상과 선거와 같은 정치적인 사건, 폭염이나 폭설 혹은 장마와 같은 기후 변화 등이 발생하면 불안은 더욱 가중된다. 여기에 어느 날인가 자신이 신체적으로 예전처럼 젊지 않다는 사실을 인지하면 불안은 더욱 심화되기도 한다.

 

심리학에서 ‘불안’은 모호하고 공포와 염려 같은 매우 불쾌한 느낌으로 정의한다. 불안은 미지의 위험에 대한 경우가 많다. 사회경제적으로도 무관하여 지위가 높은 사람들도 누구나 걱정과 불안을 느낀다. 불안은 두려움과는 좀 다르다. 두려움은 정확한 이유와 대상이 있는 반면 불안은 대상과 이유가 모호하다.

 

심리학에서 정상적인 범위를 넘어서는 불안을 포괄적으로 불안장애로 정의하며, 세부적으로는 일반화된 불안장애, 공황장애, 공포증, 강박장애 등이 있다. 일반화된 불안장애는 사소한 일에도 과도하게 불안을 느끼고, 최근에 생활경험에서 발생한 것이 아닌데도 불안이 6개월 이상 지속되고, 미래에 대한 심한 공포감, 근육 긴장, 과도한 경계성 등을 지닌다. 이환율이 4~6%이며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경향을 보인다. 반면 공황장애는 항상 불안하지는 않고 아무런 증상이나 경고도 없이 갑작스럽게 발생한다. 그 외에는 일반화된 불안장애 특징과 유사하다.

 

공황장애는 남자보다 여성에서 많고 나이 든 사람보다는 젊은 사람이 많으며, 8,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5%가 일생에 한 번 이상은 경험했으며 3%는 최근 3개월 이전에 경험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공포증에는 고소공포증, 광장공포증, 폐쇄공포증, 물공포증, 낯선 사람에 대한 공포증, 동물공포증 등이 있으나, 최근 심리학에서는 동물, 폐쇄, 고소 등을 포함한 특정공포증, 대인에 대한 사회공포증, 낯선 상황에 대한 광장공포증으로 나눈다. 강박장애도 불안장애의 일환이다.

 

이런 조건을 생각하면 적지 않은 치과의사들이 불안을 경험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불안은 불안장애를 나타낼 수도 있으나 우울증으로 이환될 수도 있다. 그래서 본인이 느끼는 불안이 타인과 비교하여 심하다고 생각하면 주변 친구들이나 심리상담사 혹은 정신과 의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약물적 도움은 우울로 이환되기 전에 차단할 수 있다. 불안과 경계는 동물이 적의 공격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한 방어본능이다. 불안이 심한 개체가 경계를 잘하고 살아남을 확률이 높았다. 결국 불안은 살아남은 동물들이 지닌 훈장이지만, 동물적인 위협이 사라진 인간 사회 속에서는 정도가 지나치면 자신의 마음을 갉아먹는 요인이 되었다.

 

필자는 불안을 본능불안과 생각불안으로 나눈다. 동물적인 본능불안이 인간이 지닌 고유성 생각과 결합하며 증폭되어 나타나는 경우에 불안장애로 나타난다고 본다. 미래에 대한 불안이나 공황장애가 언제 발생할지 모른다고 불안해하는 예기불안 등은 동물들에게는 없고 인간에게만 존재하는 생각이 만들어낸 생각불안들이다. 낯선 환경이나 사람 등으로 현실에서 접하며 생기는 불안은 동물적이며 본능적인 본능불안이지만, 개인 사업자가 다음 달 고객 수와 들어올 수입에 대한 걱정은 생각불안이다. 이럴 때 불안을 줄이는 방법은 불안을 두려움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인 대상과 대응방법을 모색하면 막연성을 지닌 불안이 구체적인 두려움으로 바뀐다. 더불어 대안도 마련되면서 불안감도 조금씩 감소된다.

 

자신이 불안한 상태라고 인지하면 우선 그 정도를 객관화시킬 필요가 있다. 자신의 불안 정도를 지인들과 공유하며 비교하는 것이 시작점이다. 치통을 치과의사에게 맡기듯이 힘든 불안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