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단] 치협 대의원총회를 돌이켜보니…

2012.06.09 11:20:33 제498호

김영빈 논설위원

지난 2012년도 치협 대의원총회에서는 달라진 대의원들의 모습과 진지한 총회 분위기가 느껴졌다. 다만 많은 회원들을 대신해서 뽑힌 201명의 대의원들 중에 만일 선거가 있었더라면 절대 빠지지 않았을 대의원들이 40명이나 불참했다는 사실은 다소 실망스럽다.

 

치협 대의원은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지부의 대의원과도 많이 다르다. 최소한 구회 회장이거나, 지부의 고위 임원들이거나, 아니면 각 지부의 의장 정도는 되어야만 치협 대의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년에 한 번 있는 대의원총회에 참석하지 않는 대의원들은 어떤 분들인지 알고 싶다. 앞으로는 총회에 참여하지 않은 대의원의 명단을 치협의 기관지인 치의신보나 치협 홈페이지 상에 공개할 것을 권유 드린다. 총회에 불참한 대의원들의 차기년도 대의원 자격에 대해서도 신중히 생각해 봐야할 것이다.

 

점심시간까지 미뤄가며 열띤 회의를 진행하고, 7시가 다 되어서야 폐회 선언을 했다는 사실 하나만 가지고도 현 집행부와 대의원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전하고 싶다.

 

물론 현실적으로 회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결정이 있었느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엇갈릴 테지만, 여성 대의원 증원과 젊은 세대들의 의견을 수렴 할 수 있는 대한공중보건치과의사협의회 임원의 당연직 대의원 선출은 무척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십 수 년 전의 전례를 되짚어보면, 당시 대의원은 300명에 육박했다. 이에 대의원이 너무 많다는 의견이 제기되며 그 수를 201명으로 줄인 바 있다. 이번 총회 결과 대의원 수가 조금 늘어나는 변화가 있었지만 비교적 적절한 개정이었다고 생각한다.

 

각 지부 대의원을 회비를 완납한 회원 수를 기준으로 선별, 배정한다는 조항도 있어 앞으로 회비 완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또 각 지부별 대의원 수가 어떻게 달라질지 그 추이도 자못 궁금해진다. 협회장 선거제도에 대한 꾸준한 문제제기가 올해도 이어진 것으로 안다.

 

타 단체의 경우를 보자면, 간선제로 협회장을 선출하던 의사회는 대의원 총회에서 전 회원이 참여하는 직접선거제로 선거제도를 개선했다가 차후 선거인단제를 채택, 다양한 방법을 경험해본 바 있다. 올해는 다시 직접선거제로 회귀했다. 참으로 어려운 문제다.

 

치과의사 단체의 특성상 완벽한 선거제도란 있을 수 없겠지만 이러한 흐름과 변화들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어떠한 선거제도가 바람직할지 좀 더 논의하고 젊은 세대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이번 총회의 가장 큰 이슈는 노인 틀니에 관한 안건과 불법 네트워크 치과에 관한 문제였을 것이다. 필자는 지난달 장기적으로 치과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노인 틀니 보험’에 관해 논한 적이 있다. 잠재된 틀니 고객이 보다 손쉽게 치과를 찾게 된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오히려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었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라는 격언이 있듯이 대정부 교섭에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가능한 한 많은 것을 얻어내 치과계의 경기가 조금이나마 좋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울러 회원 개개인은 치협이 회원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격려와 지지를 아끼지 않았으면 한다. 그리고 어떠한 결론이 나오면 수가나 교체 주기 등 정해진 규칙들에 연연하지 말고 정부에서 새로이 투입하는 예산이 결국은 치과계 전체로 할당이 된다는 점을 큰 틀에서 이해하고 협력해줄 것을 부탁드린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