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이상한 나라에서 나갈 수 있을까?

2023.10.12 11:29:02 제1035호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632)

동화나 영화에서 아침에 눈을 뜨면 다른 세상인 경우가 종종 등장한다. 아침 뉴스를 보다 문득 이상한 나라에 들어왔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토끼를 따라 굴로 들어가면서 이상한 나라로 들어갔다. ‘오즈의 마법사’의 도로시는 토네이도에 휩쓸려 오즈의 나라에 떨어졌다. 필자는 토끼를 따라가지도 토네이도에 날아가지도 않았는데 이상한 나라에 들어와 있다. 어떻게 하면 앨리스나 도로시처럼 원래 세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중간고사 시험에서 종료종이 울릴 때까지 OMR카드에 답을 기재하지 않았다. 시험 감독관은 규정대로 종이 울리고 나서 카드를 회수했다. 이에 학생 엄마는 시험지에 기록된 것을 성적으로 인정해 달라고 이의 신청을 하고 학교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하자 학교와 시험 감독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물론 소송에서 지고 소송비용 일체를 부담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는 기사다.

 

이 기사를 보며 문득 필자가 지금 도로시나 앨리스처럼 이상한 나라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든 것이다. 시험 종료종이 울리고 나서 펜을 잡는 것이 부정행위인 것은 학생은 모두 다 아는 상식이며 정해진 규칙이다. 만약 다른 학생이 그런 행동을 했다면 그 엄마는 용납할 것인가. 다른 엄마가 그런 주장을 한다면 그 엄마는 용인할 것인가. 세상에 정해진 룰도 자신의 자식을 위해서 바꾸려는 시도와 용기를 대단한 모성애라고 생각해 주어야 하는 것인가. 이것에서 소송을 생각했다는 것이 놀라울 뿐이다. 그저 필자가 어쩌다 이상한 나라에 들어왔다고밖에는 이해되지 않는다.

 

그 바로 다음 기사가 10대 아들이 엄마를 시해한 기사다. 그 다음 기사는 어느 중소기업 사장이 의사인 딸에게 주식을 증여하자마자 아버지인 대표이사를 해고했고, 엄마는 그 딸을 해임했고, 형제끼리는 배임으로 고발했다는 내용이다. 스마트폰 한 면에 나온 헤드라인 기사만 보아도 확실하게 이상한 나라가 맞다. 어떻게 하면 이 이상한 나라에서 탈출할 수 있을까? 도로시처럼 마법사를 찾아야 하는가. 아니면 엘리스처럼 모험을 떠나야 되는 것일까. 금강경 문구처럼 보이는 이 모든 것이 꿈이고 환영이고 물거품이니 깨기만 하면 되는가.

 

금강경은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 일체의 있다고 하는 것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으며 그림자와 같으며 이슬과 같고 또한 번개와 같으니 응당 이와같이 관할지니라)이라 하였다. 꿈이라면 앨리스처럼 몸집을 크게 작게 할 수라도 있으니 좋으련만, 그저 깨어나길 기다려야만 하는 입장이라면 슬픈 상황이다. 도로시처럼 마법사의 요구를 들어줄 수만 있다면 좋으련만, 이 세상은 도로시 친구인 심장 없는 양철 나무꾼과 뇌가 없는 허수아비들로 가득 차 있다. 도로시 친구들은 각자 부족한 심장이나 두뇌 등 한 가지 바람만 있었다. 비록 결함은 있었어도 상식과 양심 그리고 착함과 도덕성이 있었다. 협력하고 믿음을 유지하는 능력이 있었다. 하지만 요즘 세상 속 양철 나무꾼과 허수아비들은 오로지 자신의 이기심과 욕망에 눈멀어 상식도 룰도 지키지 않는다.

 

지금 세상은 마법사가 없어 그 많은 양철 나무꾼에게 심장을 나눠 줄 수도 허수아비들에게 두뇌를 줄 수도 없다. 이상한 나라에 내가 온 것인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세상이 온통 좀비로 바뀌는 영화처럼 모두가 양철 나무꾼과 허수아비로 바뀐 것인지는 알 수도 없다. 지금 세상은 오즈보다도, 토끼굴보다도 더 이상하다. 이 이상한 나라에서 꿈을 깨어 벗어나길 바라건만 결코 쉽지않아 보인다. 유일한 방법은 양철 나무꾼들과 허수아비들이 욕심과 이기심을 버리고 자신들이 부족한 희망을 찾으면 됐지만, 희망보다 욕심이 가깝기 때문에 어렵다. 마법사의 마법과 앨리스의 용기가 필요하건만 우리에겐 아무것도 없다. 그저 이런 현실이 꿈이라서 빨리 깨기를 바라는 방법뿐이라면 슬프고 무력해진다.

 

조그만 변화로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 것이 마법이다. 조그만 정의로 시작하는 것이 용기다. 아주 작은 시작의 씨가 나무가 될 때 비로소 꿈에서 깨어나 이상한 나라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

 

 

기자
본 기사의 저작권은 치과신문에 있으니, 무단복제 혹은 도용을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치과의사회관 2층 / 등록번호 : 서울아53061 / 등록(발행)일자 : 2020년 5월 20일 발행인 : 강현구 / 편집인 : 최성호 / 발행처 :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 대표번호 : 02-498-9142 /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