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근관치료의 실패(2)

URL복사

조영탁 법제이사의 의료법과 의료분쟁 21

▶지난호에 이어

치근단 질환은 근관을 통해 침투하는 세균에 의해 유발되어 지속되는 것으로써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적절한 protocol에 따라 근관치료를 시행하면 90% 이상의 경우 병소가 치유되고 증상이 소실된다. 그러나 근관치료술식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에서 근관치료의 성공률은 1950~60년대와 비교하여 그다지 높아지지 않고 있다. 동일한 protocol에 따라 근관치료를 시행한 다음 4~6년 후 환자를 재내원하게 하여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요인들을 관찰하여 보고한 Toronto study에 의하면 통상적인 근관치료를 시행한 경우 86%의 성공률을 보였고4-7),  Strindberg가 1956년에 보고한 성공률과 비교해 볼 때 그다지 차이가 없다.8)

 

근관형성, 근관세척 후에도 근관내 세균은 어느 수준까지는 감소하지만 치근단에서는 거의 세균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후 근관을 3차원적으로 충전하면 치근단의 면역기능에 의해 치근단 질환은 치유된다. 그럼에도 근관치료가 실패하게 되는 첫째 원인으로 근관계의 치아별 복잡한 형태와 해부학적 변이, missing canal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그림 1, 2, 3, 4, 5). 둘째는 Apical delta, 측방관(lateral canal) 등 근관치료 술식으로 도달되지 않는 곳에서 존재하던 세균이 지속적인 감염의 원인이 되고, 시간이 지나 근관충전물의 미세누출이 생기면 치근단염을 유발할 수 있다12)(그림 6, 7, 8, 표 8, 9). 셋째, 근관치료 후 최종 보철로 수복이 되지 않을 경우 coronal leakage에 의하여 2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넷째, 만성 치주염, 확인되지 않은 Crack도 근관치료 실패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림 1. Micro-.computed tomographic scans of dental anatomy (36μm resolution)
A, Clinical view of tooth #21 shows two accessory canals and an apical bifurcation.
B, Mesiodistal view of the tooth shown in A.
C, Working length radiograph, with files placed in both apical canal aspects(Pathway of the pulp, 10th, 293)

 

그림 2. Micro.computed tomographic scans of more complicated dental anatomy (36 μm resolution).
A, Clinical view of tooth #16 shows a fine mesiobuccal and distobuccal canal system with additional anatomy in all three roots.
B, Mesiodistal view of the tooth shown in A.(Pathway of the pulp, 10th, 293)

 

그림 3. Cleared teeth demonstrating root canal variation (FRANK J. VERTUCCI, Root canal morph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endodontic procedures. Endodontic Topics 2005, 10, 3-9)
(A) Mandibular second molar with three mesial canals.
(B) Mandibular premolars with Vertucci type V canal configuration.
(C) Mandibular premolars with three canals and intercanal connections.
(D) Maxillary second molar with two palatal canals.
(E) Maxillary first molar with two canals separating into three in mesiobuccal root. MB-2 orifice close to palatal orifice.


그림 4. 상악 제1대구치의 MB2가 관찰되는 4근관, 박용훈 원장(메디힐치과) 제공

 

그림 5. 5개의 근관을 가진 상악 제1대구치
(Martins et al, Endodontic treatmen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with five root canals-Three case reports,  Rev Port Estomatol Med Dent Cir Maxilofac. 2013;54:37-42)

 

그림 6. Major anatomic components of the root canal system
(FRANK J. VERTUCCI, Root canal morph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endodontic procedures. Endodontic Topics 2005, 10, 3-9)

 


그림 7. Maxillary first molar illustrating a furcation canal(arrow)
(FRANK J. VERTUCCI, Root canal morph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endodontic procedures. Endodontic Topics 2005, 10, 3-9)

 


4) Friedman S, Abitbol S, Lawrence HP. Treatment outcome in endodontics : The Toronto study. Phase 1: initial treatment. J Endod 2003. 29:787-793,
5) Farzaneh M, Abitbol S, Lawrence HP, Friedman S. Treatment outcome in endodontics : The Toronto study. Phase II: initial treatment. J Endod 2004. 30:302-309,
6) Marquis VL, Dao T, Farzaneh M, Abitbol S, Friedman S. Treatment outcome in endodontics : The Toronto study. Phase III: initial treatment. J Endod 2006. 32:299-306,
7) de Chevigny C, Dao TT, Basrani BR, Marquis VL,Farzaneh M, Abitbol S, Friedman S. Treatment outcome in endodontics : The Toronto study. Phase 4: initial treatment. J Endod 2008.34:258-263,
8) Strindberg LZ. The dependence of the results of pulp therapy on certain factors. An analytic study based on radiographic and clinical follow-up examinations. ActaOdontol Scand 1956 14:1-175,
9) Cohen, Pathway of the pulp, 10th

10) FRANK J. VERTUCCI, Root canal morph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endodonticprocedures. Endodontic Topics 2005, 10, 3?9)
11) Martins et al, Endodontic treatmen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with five root canals ? Three case reports,  Rev Port Estomatol Med Dent Cir Maxilofac. 2013;54:37-42)
12) Walton & Torabinejad, Principles and practice of endodontics  1989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부족한 필수의약품 성분명 처방 강제?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성분명 처방 법안 발의에 의사단체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지난 9월 2일 장종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대표 발의한 ‘약사법-의료법 개정안’은 민관협의체에서 수급 불안정 의약품을 지정해 성분명 처방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이를 따르지 않으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강제조항도 포함됐다. 이에 서울시의사회(회장 황규석)는 지난 9월 26일 서울시의사회관에서 성분명 처방에 반대하는 대표자 궐기대회를 개최했다. 100여명이 참석한 궐기대회에서는 성분명 처방 강제 법안의 부당성을 알리고 법안 철회를 촉구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의료인 탄압이자 직역 모독”이라면서 해당 법안이 의사의 전문적 판단권을 침해하고, 환자 안전을 위협하며, 의약분업 근간을 훼손하고 의료현장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참석자들은 △타이레놀 처방하면 징역살이 웬말이냐 △환자 안전 위협하는 성분명 처방 철회하라 △성분명 처방 논의 전에 의약품 수급 해결하라 등의 피켓을 들어올렸다. 서울시의사회 황규석 회장은 “참담한 현실 속에서 새로운 방식의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다”며 “오늘부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10월, 자산배분으로 읽는 미국 증시의 향방

2025년 10월, 투자자들의 시선은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는 미국 증시로 향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대표 지수인 S&P500과 나스닥100은 여전히 세계 금융시장의 바로미터로서 기능하며, 국내 투자자들의 자산배분 전략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번 칼럼에서는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과 금리 사이클, 그리고 투자심리를 보여주는 공포·탐욕 지수를 중심으로 현 시점의 시장 위치를 진단하고, 자산배분 투자자가 취할 수 있는 전략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기준금리 사이클의 흐름을 살펴보자. 2023년 8월 미국 연준은 마지막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금리고점(A)을 형성했다. 이어 2024년 9월 첫 번째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서 사이클은 B 구간으로 진입했고, 같은 해 12월 FOMC에서 추가 인하가 단행된 뒤 연준은 금리를 동결해왔다. 그러다 2025년 9월, 연준은 본격적인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보다는 예방적 성격의 ‘보험성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이는 금리 사이클상 자산시장이 C 구간에 점차 근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다.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에 비춰 보면 현재는 B~C 구간의 최후반부에 해당하며, 전통적으로 위험자산의 마지막 랠리가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