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이하 치주과학회) 2025년 제2차 학술집담회가 218명이 등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지난 9월 11일 서울대치과병원 한화홀에서 개최된 학술집담회는 ‘치근피개술’을 단일 주제로 최신 임상 지견을 나누는 뜨거운 학술의 장이 펼쳐졌다. 첫 번째 연자로 나선 백정원 교수(연세치대 치주과학교실)는 ‘근거 중심의 치근피개술 치료 전략’을 주제로 근거에 기반한 치근피개술의 역사부터 최신 경향까지 심도 있게 다뤄 눈길을 끌었다. 특히 치관변위판막술과 터널링 기법을 비교 분석하고 각 술식의 선택 기준과 완전 피개를 위한 핵심 요소로 측방 각화 치은 및 치간유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두 술식에 대한 명확한 ‘decision tree’를 제시하고, 치간부 및 설측 연조직 증대를 동반한 RT2 치은퇴축 증례를 보고해 관심이 집중됐다. 두 번째 연자인 임현창 교수(경희치대 치주과학교실)는 ‘교정치료 후 치은퇴축, 치주적 관점과 치료’를 주제로 강연을 이어갔다. 임현창 교수는 교정치료 후 발생한 하악 전치부 치은퇴축 증례를 통해 교정과와 치주과의 시각 차이를 설명하며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글로벌 치과용 의료기기 전문 기업 스트라우만(Straumann)이 혁신적 치주재생 제품 엠도게인(Emdogain) 출시 30주년을 기념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엠도게인 임상 케이스 콘테스트’를 개최한다. 이번 콘테스트는 엠도게인의 임상적 가치를 조명하고, 우수한 임상 증례를 발굴해 치주 재생 치료의 학문적 발전과 환자 치료 수준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엠도게인은 치주조직 재생에 효과적인 법랑기질단백질(EMD) 기반 제품으로, 치아 발달과 치주인대 형성에 중요한 백악질 재형성을 촉진한다. 출시 이후 30년간 전 세계 90개국에서 300만명 이상의 환자 치료에 사용됐으며, 2,300여건의 연구를 통해 치료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됐다. 특히 국내에서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치주재생 치료제로, 실제 임상 현장에서 자연치 보존과 조직 재생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콘테스트 참가자는 공식 영문 PPT 템플릿을 활용해 치료 계획과 과정, 엠도게인 사용 전후 비교 자료를 제출하면 된다. 접수 마감은 오는 12월 31일까지다. 콘테스트 우승자는 내년 3월 발표되며, 각국서 1차 평가를 거친 본선 진출작은 아시아·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이하 치주과학회)가 오는 10월 25일, 26일 양일간 오스템임플란트 마곡 사옥에서 제65회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치주과학회 설양조 집행부는 지난 9월 11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종합학술대회 등 하반기 학회 주요 일정을 소개했다. 올해 종합학술대회는 ‘치주치료 전문가를 위한 네 번의 기회(Four opportunities for experts in periodontal treatment)’를 주제로 빠르게 변화하는 치의학 환경에서 치주치료 전문가들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네 가지 핵심 가치인 △창의성 △효율성 △일관성 △끈기를 ‘네 번의 기회’로 정의하고 이를 심도 있게 탐색하는 네 개의 심포지엄으로 구성했다. 학술대회 첫 날인 10월 25일 오전에는 각 수련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임상과 연구분야 결과에 대한 구연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사전심사로 선정된 발표자의 영어 컴페티션(competition) 세션이 마련돼 관심을 모은다. 오후 진행되는 심포지엄1에서는 ‘새로운 선택의 기회(창의성)’을 주제로 환자의 심리적 케어 전략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주질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한국치주과학교수협의회(이하 치주과학교수협)가 치주과학 8판을 개정 출판했다. 3년이 넘는 개정작업 기간을 거친 개정판은 전통적 내용은 보다 심도 있게 기술하고 최신 정보를 정리하는 등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치주과학 개정 8판은 ‘2017년 미국치주학회(AAP) 및 유럽치주연합(EFP)’이 제시한 새로운 치주질환 분류 체계를 전면 적용해 관심을 모은다. AAP와 EFP의 체계는 단순히 병소의 깊이와 범위만을 판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구강기능, 생활습관, 전신건강 상태까지 아우르며 치료 복잡성과 예후 관리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도록 설계됐다. 이에 치주과학 개정 8판은 전신질환, 특히 여성건강과 관련된 주제를 별도로 세분화해 치주학적 시야를 한층 확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치주치료의 근간인 치주낭의 이해와 기본 수술은 더욱 체계적으로 다듬었으며, 국소 항생제 등 염증 제어 전략도 임상 현실에 맞춰 업데이트했다. 성장 인자·유전자 치료·줄기세포 등 첨단 과학을 응용한 차세대 치주 조직 재생 기법도 폭넓게 다루는 등 전통과 혁신을 조화시켰다는 평가다. 임플란트 영역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 기반 진단·치료를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이하 치주과학회) 하계 임원 워크숍이 지난 7월 19일과 20일 양일간 네오바이오텍 원주사옥에서 임원 44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네오바이오텍 생산센터 견학에 이어 진행된 이사회에서 치주과학회 설양조 회장은 “상반기 학회 회무가 각 부서 임원들의 노력으로 원만히 마무리 됐다”며 감사를 전했다. 이사회 이후 이어진 임원토론회에서는 학회 회원의 활동 현황 및 추이, 학회 발전방향 등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이 이뤄졌다. 학회 회원들의 권익 향상과 더불어 학회의 성장에 필요한 사항, 학술대회 중점 준비사항 등 다양한 내용에 대해 신승윤 총무이사 외 임현창, 안현성, 이정원 총무 실행이사의 발표 및 열띤 토론이 진행됐다. 임원 워크숍은 네오바이오텍 허영구 회장의 특강으로 마무리됐다. 허영구 회장은 직접 진료하며 얻은 경험과 영감을 통한 기술개발과 발전 과정 등을 임상 증례들을 통해 소개해 관심을 모았다.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이하 치주과학회)가 발행하는 공식 학술지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이하 JPIS)가 세계적인 상위 치의학 학술지로 평가받고 있다. 치주과학회는 Clarivate의 공식 발표에 따르면 2024년 JPIS의 피인용지수(Impact Factor, IF)가 3.2점을 기록했다고 지난 6월 20일 밝혔다. JPIS의 IF는 2021년 2.1점, 2022년 1.9점, 2023년 2.2점으로 전반적 상승세를 보여왔으며, 2024년 사상 처음으로 3점을 돌파해 괄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했다. 전 세계 치의학 분야(DENTISTRY, ORAL SURGERY & MEDICINE)의 SCIE급 학술지 중 JPIS 순위(JIF rank)는 2023년 기준 158개 중 52위, 2024년 기준 162개 중 27위로 도약하고, JIF QUARTILE가 상위 50%(Q2)에서 25%(Q1)로 상승해 전 세계의 저명한 치주저널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무엇보다 JPIS가 기록한 2024년 IF 3.2점은 현재 국내에서 발행되는 치의학 분야 등재 학술지 중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운영하는 치과종합포털 덴올의 교육 프로그램 ’닥터스팁(DOCTOR'S TIP)’이 성공적인 임플란트를 위한 GBR을 주제로 3부작 특집 방송을 시작했다. 임플란트 식립 시 골유도재생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술식부터 이종골 및 합성골 등 재료 활용까지 포괄적인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닥터스팁 GBR 3부작은 조영단 교수(서울치대 치주과)가 연자로 나서 지난 5월 30일 시작해 6월 27일과 7월 25일 총 3부에 나눠 진행된다. 조영단 교수는 지난 2016년 대한치주과학회 최우수연구구연상을, 2017년에는 최우수논문상, 2021년 동선신인학술상 등을 수상하며 치주치료 권위자로 꼽힌다. 지난달 5월 30일 방송한 닥터스팁에서는 ‘성공적인 GBR을 위해 고려할 요소’로 △골결손부 구조 탐색의 중요성 △적합한 골이식재 및 차폐막 선정 △안정적인 치유를 위한 연조직의 일차봉합 △기본 개념에 충실한 생체 재료의 사용 등 성공적인 GBR 증례를 소개하며 포괄적인 내용을 다뤘다. 오는 6월 27일과 7월 25일 13시 30분에는 GBR 시 사용할 수 있는 재료 소개와 활용 방법을 중점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푸르고바이오로직스(대표 윤창배·이하 푸르고)가 지난 6월 15일 서울 잠실 롯데타워 SKY31에서 심포지엄 ‘RegenDays Seoul 2025’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GBR(유도골재생술)에 대한 심층적인 통찰과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사전등록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은 이번 심포지엄은 모집정원인 100명을 초과하는 총 130명의 치과의사가 참석해 현장을 가득 메우는 등 뜨거운 열기 속에 진행됐다. 심포지엄은 ‘GBR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변하지 않는 원칙’이라는 주제 아래, 골이식재와 멤브레인, 술식 등 GBR의 주요 구성요소를 과거-현재-미래의 흐름 속에서 조망하는 자리로 기획됐다. 더불어 GBR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실용적 적용에 있어 참석자들에게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기회로 활용됐다. 김영균 원장(케이구강악안면외과치과)과 허익 교수(경희치대)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Trend of Graft Materials △Trend of GBR Membrane △Trend of GBR Technique 등 총 3가지 세션에서 7명의 연자진이 강의를 진행했다. 특히 푸르고 메인 제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이하 치주과학회)가 지난 5월 1일부터 한 달간 KAP Clinical Traineeship program을 완료한 해외 치과의사들에게 수료식을 진행했다. 올해로 두 번째인 ‘KAP Clinical Traineeship’은 치주과학회가 개발도상국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한수부 국제협력 펠로우십 프로그램(Dr. Han SB’s Global Fellowship Program)의 일환으로, 국내 유수의 치과대학병원에서 치주 및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임상 교육과 참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는 몽골국립의과대학병원 치주과 전공의 2년차 3명이 경희대치과병원, 서울대치과병원, 관악서울대치과병원에서 진료 참관과 함께 각종 실습과 강의, 세미나 참여를 통해 다양한 임상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몽골 전공의 대표인 Angar Soronzonbold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최고 수준의 치과대학병원에서 선진화된 진료 환경과 체계적인 전공의 수련 시스템을 직접 경험하고, 다양한 장비를 활용한 실습과 임상 교육, 기초과학 연구실 탐방까지 더해 뜻깊은 시간이 됐다”며 “치주과 전문의가 돼 더 넓은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이하 치주과학회)가 지난 5월 24일부터 25일까지 양일간 일본 나하에서 개최된 제68회 일본치주병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석했다. 일본치주병학회 춘계학술대회는 ‘Artistic periodontal therapy based on science’로 진행됐으며, 치주과학회 설양조 회장, 김창성 부회장, 신승윤 총무이사 등 임원 및 회원 21명이 참석했다. 특강 연자로 초청받은 설양조 회장은 ‘Development of zirconia dental Implant fixture’를 주제로 강연했다. 국제 세션에서는 치주과학회 연자로 박진영 교수(연세치대)가 ‘Is transmucosal healing of an implant as effective as submerged healing when simultaneous guided bone regeneration is performed? A preclinical study’을 진행해 현지의 관심을 모았다. 또한, 이번 춘계학술대회에서 치주과학회와 일본치주병학회(회장 Nobuo Yoshinari)는 학술교류 협정(MOU) 연장조인식을 통해 돈독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이하 치주과학회)가 오스템임플란트와 함께 치과 포털 사이트 ‘덴올’에서 치주과학 분야를 총망라한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고 있다. ‘치주 진료와 임플란트 진료의 핵심’을 대주제로 진행하고 있는 수요세미나는 지난 4월 2일부터 6월 25일까지 매주 수요일 8시에 총 24강(매주 30분 분량/2개 강의)이 제공되고 있다. 치주과학회는 덴올 수요세미나를 통해 치주질환의 분류와 이에 대한 비외과적·외과적 처치는 물론 임플란트, 골유도재생술 및 임플란트 주위염까지 다양한 영역에 대한 강의를 선보이고 있다. 특히 수요세미나 연자로는 치주과학회 소속 전국의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교수들과 저명한 치주과 전문의들이 대거 나서 관심이 뜨겁다. 4월 말까지 제8강이 진행된 수요세미나는 방송시간을 놓쳤더라도 덴올 사이트에서 다시 보기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지난 제5강에서는 홍지연 교수(경희치대)가 ‘치주치료 시 약물에 대한 고려사항’을 주제로 치주질환에 많이 사용하는 항생제들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했으며, 제6강에서는 조영단 교수(서울치대)가 ‘치주질환과 전신질환의 상관관계’를 주제로 비전염성 만성질환(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푸르고바이오로직스(대표 윤창배·이하 푸르고)가 지난 3월 22일 판교 본사 세미나실에서 ‘2025년 5Matrix 1회차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오픈과 동시에 조기 마감된 이번 세미나는 뜨거운 관심 속에서 진행되며, 참가자들의 높은 기대감을 실감케 했다. 5Matrix는 총 5회로, 소프트 티슈와 하드 티슈를 다루는 법을 비롯해 Sinus Augmentation 등 수술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이번 1회차 세미나는 박정철 원장(연세굿데이치과)이 연자로 나서 ‘Soft Tissue Management 1: Incision design 쾌도난마 st. + Best suture technique top 10’을 주제로 강연했다. 특히 이번 세미나는 참가자들에게 사전 강의를 제공해 세미나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본 세미나에서 다룰 내용을 사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더 깊이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본 세미나는 핸즈온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절개와 봉합의 핵심 기술을 체계적으로 전달해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노하우를 공유했다. 또한 Incision design book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 치과 종합포털 덴올의 대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수요세미나가 올해 2분기를 맞아 새로운 커리큘럼을 공개한다. 이번 덴올 수요세미나는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이하 치주과학회))와 함께 ‘치주진료와 임플란트 진료의 핵심’을 대주제로 연자 24인의 강연이 진행된다. 치주과학회는 1,000여명의 전문의를 포함해 총 2,600여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학회 학술지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JPIS)는 현재 SCIE에 등재돼 있다. 이번 수요 세미나는 오는 4월 2일 구기태 교수(서울치대)의 ‘치주질환의 분류법 review’를 시작으로 오는 6월 25일까지 매주 새로운 연자와 주제로 시청자들과 만난다. 이어질 주요 강연을 보면 오는 4월 9일에는 이학철 원장(서울A치과)이 ‘비외과적 치주 치료 시 주의해야 할 3가지’를, 4월 23일에는 송영우 교수(중앙보훈병원)가 ‘빠른 치유를 위한 치주 수술 봉합술’을, 6월 4일에는 이중석 교수(연세치대)가 ‘전치부 즉시 임플란트 치료 전략’ 등 임상 환경에서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유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이하 치주과학회)의 을사년 첫 학술집담회가 200여명이 등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치주과학회는 지난 3월 13일 경희대치과병원에서 2025년 1차 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 첫 연자로 나선 김윤정 교수(관악서울대치과병원)는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최신 가이드라인 : Consensus Report of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김윤정 교수는 다양한 기관에서 발표한 임플란트 주위 질환 관련 consensus 및 position paper 등을 소개하고 치주과학회 학회지인 JPIS에 2024년 12월 발표한 narrative review 논문을 바탕으로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정의, 진단, 주요 위험 요인, 치료 protocol 등의 최신 지견을 상세히 설명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두 번째 연자인 이중석 교수(연세치대)는 ‘진단 후 환자가 떠나는 이유는? : 치과의사와 환자가 함께하는 현명한 선택’을 주제로 강연했다. 치주질환 이환 치아의 치료계획수립을 위한 환자와 의사 공동의 의사결정, 즉 공유의사결정의 의의와 필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이하 치주과학회)가 지난 3월 8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올해 치주과 신입 전공의 51명의 오리엔테이션(이하 OT)을 진행했다. 치주과학회 설양조 회장은 “치주학 발전에 기여할 역량을 키우고, 전국 전공의들과 화합하며 치주과학을 전공하는 즐거움을 느끼길 바란다”는 환영인사를 전했다. 본격적인 OT에서 이재관 수련고시위원장은 치주과학회의 비전과 미션인 ‘구강건강의 선도적 역할 및 치주과학의 글로벌 리더’를 강조하고 학회 조직 및 현황을 소개했다. 유상준 수련고시이사는 전공의 수련 규정 및 온라인 전공의 수련기록부 작성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전공의 필수 수련 기준 및 학회 주요 일정 등을 공지했다. 김영성 보험이사는 급여·비급여 체계, 의료청구 및 기록, 차팅의 정확성 확보 방안을 설명했으며, OT의 대미는 김용건 편집이사가 학회지인 JPIS를 소개하고 전공의 이전에 연구자로서 가져야 할 윤리의식을 당부했다. 모든 강의 후에는 신입 치주과 전공의들의 자기소개 및 학회 신입회원 회원증 수여식도 진행됐다. 한편, 치주과학회는 2017년부터 신입 전공의 OT를 통해 치주과 수련을 시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