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노년치의학회(회장 소종섭·이하 노년치의학회)가 지난 11월 15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에서 2025년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실버 쓰나미 시대, 치과의 미래를 준비하다’를 대주제로 열린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노인환자에 대한 보철, 치주, 임플란트 등 임상 관련 강연뿐만 아니라 방문치과진료, PDRN 등 다양한 학술 강연이 진행됐다. 먼저 임현필 교수(전남치대 보철과)가 ‘한국형 IARPD 설계의 정석’을 주제로 이날 학술대회 포문을 열었다. 임 교수는 오버덴처 적용 시 추천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 및 어태치먼트 종류에 대해 살폈으며, Surveyed crown 방식과 예후를 비교, 각 방식 적용 시 고려사항을 짚어주었다. 이어 강연에 나선 고홍섭 교수(서울치대 구강내과)는 ‘방문치과진료 체계에 대한 이해’를 주제로, 내년부터 시행되는 지역통합돌봄법과 관련한 치과의사의 역할, 특히 방문구강관리에 대한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해 이목을 끌었다. 고 교수는 우선 지역통합돌봄법 시행과 관련 그간의 경과, 방문구강관리의 필요성 등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하고, ‘방문치과진료’ 체계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연세대학교 치과대학(학장 정영수) 치의학교육원이 주최하고, 연세대학교치과대학동창회(회장 윤홍철·이하 연세치대동문회) 후원으로 지난 11월 16일 연세대 백양누리에서 연세대학교 치의학 110주년 기념 2025년도 연세임상학술대회가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임플란트의 일생’을 대주제로, 연세 치의학 11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강좌를 비롯한 다양한 임상학술강연이 진행돼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대한치과의사학회 권훈 회장이 특별 연자로 나서 ‘대한민국에 서양 치의학을 완벽하게 전파한 세브란스 치과학교실-쉐플리, 부츠 그리고 맥안리스’를 주제로 약 2시간에 걸친 특강을 펼쳐 의미를 더했다. 권훈 회장은 강연에서 우리나라 서양 치의학의 뿌리라 할 수 있는, 1915년 세브란스연합의학교 초대 주임교수로 부임해 서양 치의학을 전파한 윌리엄 쉐플리 등의 발자취를 짚어줬다. 학술대회는 3개 강연장에서 다양한 학술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는 치과의사 보수교육 필수 교육으로 ‘의료법의 이해와 합법적인 의료광고’를 주제로 한 김용범 변호사(법무법인 오킴스)의 윤리강연을 시작으로, ‘Tail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치과임상 가득한 단아한 학술대회’로 돌아온 ‘2025년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학술대회’가 1,000여명의 호응 속 성황리에 개최됐다. 단국대학교 치과대학(학장 고선일·이하 단국치대)이 주최하고 단국치대 동창회(회장 양재영)가 후원한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11월 16일 서울 학여울역 SETEC 컨벤션센터에서 펼쳐졌다. 특히 올해는 대학과 동창회의 유기적인 협력 속에서 풍성한 학술강연을 선보이며 치과계의 관심을 모았다. 현시점 주목받는 임상 연자와 연제를 선정하고 필수교육까지 포함하면서 학술대회장은 참가자들의 발길로 북적였다. 학술대회는 2곳의 강연장에서 12개 강연을 선보였다. 김문영 교수(단국대치과병원)의 ‘개원의를 위한 하치조신경·설신경 손상 대응법-어떻게 치료? 언제 수술의뢰?’ 강연을 시작으로 창동욱 원장(윈치과)의 ‘실패를 통해 살펴보는 골이식술의 핵심’, 신수정 교수(강남세브란스치과병원)의 ‘2025년 근관치료의 키워드’, 배정인 원장(서울강남치과)의 ‘디지털을 활용한 전악 임플란트 수복’, 김욱 원장(의정부 TMD치과)의 ‘무작정 따라하기! 개원의도 할 수 있는 보툴리눔톡신 주사요법 완전정복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아름덴티스트리(이하 아름)가 고객 전문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정규교육 플랫폼 ‘ADC(ARUM DENTISTRY CAMPUS)’를 공식 론칭하고, 오는 12월 6일 그 첫 세미나 ‘ADC 2025 winter’를 개최한다. 이번에 새롭게 출범하는 ADC는 아름이 고객과의 장기적인 신뢰를 구축하고, 자사 제품의 심화 활용법과 임상 적용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획된 정기교육 프로그램이다. ADC는 향후 시즌별, 주제별 세미나를 통해 고객들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첫 프로그램인 ADC 2025 winter는 ‘ARENA STAR를 활용한 Zirconia 제작: 심화과정’을 주제로, 단순 이론 강의를 넘어 실제 임상 환경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무 중심의 실습형으로 진행된다. 최근 아름 고객들 사이에서 높아지고 있는 고성능 지르코니아 디스크 ‘ARENA STAR’의 심미적, 기능적 활용 노하우 교육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프로그램은 정확한 색과 구조를 담는 조명, 카메라 활용법부터 ARENA STAR 디스크 특성, 심미 보철 제작의 핵심인 컬러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글로벌 임플란트 전문기업 스트라우만 코리아가 오는 11월 29일, 선릉역 빅플레이스(Big Place)에서 ‘스트라우만 디지털 서밋(Straumann Digital Summit)’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Access the Future of Dentistry(디지털로 여는 치의학의 미래)’를 주제로, 디지털 기술이 치의학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를 논의할 예정이다. 오후 3시 등록을 시작으로, 스트라우만 아시아태평양(APAC) 디지털 솔루션 총괄 안드레아스 마그누센(Andreas Magnussen)의 개회사로 막을 연다. 이어 제프리 문(Jeffery Moon) 매니저가 ‘The Core of the Straumann Integrated Digital Ecosystem’을 주제로 스트라우만이 전 세계적으로 구축 중인 통합 디지털 에코시스템의 핵심 가치와 비전을 소개할 예정이다. 국내 연자들의 강연에서는 임상 중심의 실제 적용 사례가 다뤄진다. 김희철 원장이 ‘플래닝부터 식립까지: 스트라우만·앤서지 임플란트를 활용한 풀 디지털 가이드 수술(From Planning to Placement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오임플란트(대표 김종원·이하 디오)가 오는 12월 14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 10분까지 서울 마곡 디오 R&D센터에서 ‘매출은 자리로, 치과는 디지털로’를 주제로 한 개원 실전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치과 개원 시장의 핵심 이슈로 떠오른 상권 선택과 디지털 전환을 한자리에서 다루며 입지 전략과 디지털 진료 시스템을 융합한 최신 개원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세미나 연자로는 김경욱 원장(광주 본플란트치과)이 나선다. 김 원장은 2018년부터 개원스쿨을 운영하며 전국 개원의들에게 실무 노하우를 전수해 왔으며, 2023년에는 ‘잘되는 자리’ 컨설팅 회사를 설립해 현장 경험으로 쌓아온 실질적인 개원 전략을 전하고 있다. 김 원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같은 동네인데 왜 옆 치과만 잘될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해 △상권 유형별 전략 △지도 기반 환자 흐름 분석 △빅데이터 활용법 △부동산 활용법 △임대차 계약 주의사항 등 실제 개원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법적·경제적 노하우를 전달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디오와 함께하는 개원 디지털 실전 가이드’ 세션에서는 디오의 통합 디지털 솔루션을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사단법인 한국생체모방치의학회(회장 홍성욱·이하 생체모방치의학회)가 오는 11월 29일 서울 미니쉬치과병원에서 ‘2025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생체모방치의학(Biomimetic Dentistry)의 최신 연구성과와 임상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근거 중심 치료의 방향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생체모방치의학은 자연 치아의 구조와 생체역학을 보존하는 치료 접근법으로, 치질을 최소 삭제하면서 본래의 기능과 강도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임상 경험과 실제 적용 사례가 발표될 예정이다. 프로그램은 세 개의 강연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강연에서는 김용석 원장이 ‘치과의 안티에이징’을 주제로 안면 근육 조절과 통증 완화를 통한 젊고 건강한 구강 기능 유지 전략을 다룬다. 이어 이진형 대표(데이터마케팅코리아)가 ‘데이터로 사람을 행동하게 한다’를 주제로 디지털 시대에 환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마케팅 활용 방안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윤필상 원장(미니쉬치과병원)은 부식성 치아마모 환자에서의 ‘미니쉬 솔루션’ 적용 사례를 통해 생체모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치과위생학회(회장 김민정)가 지난 11월 2일 온라인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열린 ‘대한치과위생학회 30년, 변화와 혁신을 말하다’ 하반기 학술집담회를 전국 회원들의 높은 참여와 열띤 토론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집담회는 학회 창립 30주년을 기념해 마련된 행사로, 지난 30년간의 학문적 성과를 돌아보고 치과위생사의 미래 전문직 역할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가 됐다. 전국 각지의 치과위생사들이 실시간으로 참여해 채팅과 질의응답이 활발히 이어졌으며, 학술 교류의 열기가 뜨거웠다는 후문이다. 첫 번째 강연에서는 최성원 교수(국립암센터 구강종양클리닉)가 구강암 환자의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치과위생사가 수행해야 할 임상적 역할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심도 있게 다뤘다. 실무와 밀접한 내용으로 구성된 강연은 참가자들의 높은 공감을 얻었고,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는 현장에서 마주하는 실제 고민과 해결책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어졌다. 이어 독일 Barbara Lipsz 치과위생사(울름 Wengentor 치과)가 ‘예방 중심 진료와 환자 맞춤형 관리 전략’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AI 통역 시스템이 도입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움이 지난 11월 1일 광교 본사에서 개최한 ‘Filler & Toxin Seminar 8’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모나리자 필러’의 임상적 우수성과 시술 안전성을 중심으로 한 강연과 라이브 시연이 진행되며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세미나에서는 ‘안전하고 자연스러운 필러·톡신 시술’을 주제로, 임상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시술법과 노하우가 공유됐다. 특히 노화로 인한 피부 탄력 저하와 볼륨 감소를 개선하기 위한 Intra-oral Injection 기법과 Needle을 이용한 Bone Contact Technique이 큰 주목을 받았다. 이날 세미나는 단순한 이론 강의에 그치지 않고, 라이브 시연과 영상자료를 통해 술식의 안전성과 효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참석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조영단 교수(서울치대)는 “치과의사는 구강 내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정교한 필러 시술이 가능하다”며 Intra-oral Injection을 통한 깊은 주름 개선과 블랙 트라이앵글 복원 등 치과 고유의 적응증을 제시했다. 조 교수는 ‘모나리자 필러’의 점탄성과 균질한 주입 특성을 활용한 정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인공지능치의학회(회장 이승표) 추계학술대회가 오는 11월 15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개최된다. ‘치과의사의 일상에 스며든 AI(진단에서 진료현장까지)’를 대주제로 펼쳐질 이번 학술대회는 인공지능의 발전상과 치과 임상에서의 적용에 대해 폭넓게 다룰 예정이다. 먼저 오전에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학술적인 접근이 이뤄진다. △허수복 대표(DDH)의 ‘Transforming dental diagnostics:AI-Powered Panoramic Radiograph Analysis’ △정희경 수석(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의 ‘Transforming dental diagnostics: AI-Powered Panoramic Radiograph Analysis’ △조민국 연구소장(오스템임플란트)의 ‘의료 인공지능의 동향 및 미래 예측’ △이원진 교수(서울대치과병원)의 ‘The AI revolution in Dentistry’ △김준민 교수(한성대)의 ‘FPGA 기반 의료 인공지능 구현기술’ 강연으로 오전시간이 채워진다. 오후에는 실제 치과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영역에 대한 강연으로 구성된다. △김예현 대표(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디지털 덴탈 솔루션 전문기업 디오에프(DOF)가 지난 10월 25일 개최한 연례행사 ‘2025 DOF DAY’가 전국 각지의 치과기공사와 관계자들의 높은 관심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DOF’를 슬로건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최신 트렌드와 임상 노하우를 공유하는 소통과 성장의 장으로 마련됐다. 현장에는 다수의 기공소 관계자들이 참석해 실질적인 기술 교류와 네트워킹이 활발히 이뤄졌다. 강연 세션에서는 임상 중심의 실무 강의가 이어졌다. △모델리스(Modeless) 워크플로우 △심미보철 제작 노하우 △All-On-X 케이스 △컬러링 데모 등 즉시 활용 가능한 내용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전시장에는 디오에프의 최신 밀링머신 전 라인업이 공개됐다. All-On-X 보철 제작에 최적화된 CRAFT PRO, 티타늄 가공이 가능한 CRAFT PLUS, 올인원 장비 CRAFT 2, 그리고 지르코니아 전용 CRAFT S·DX·DRY 등이 전시돼 관람객들의 관심을 모았다. 또한 구강스캐너 FREEDOM Air, FREEDOM i, 모델스캐너 FREEDOM X5, 고온 퍼니스 ZI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한국미용치과협회(회장 정현수)의 ‘메디컬 에스테틱 장비세미나’가 지난 11월 1일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피부상태와 질환에 따른 미용시술의 필요성과 장비의 효과적인 활용법에 초점을 맞췄다. 10종의 장비를 전시하고 직접 시연을 선보이며 참가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으며, 다양한 미용시술과 장비를 한자리에서 비교하며 맞춤 설계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호응을 얻었다. 강연을 진행한 정현수 회장은 “아프지 않고, 다운 타임이 짧고, 다음 날 바로 출근할 수 있는 미용시술을 원하는 추세”라면서 “미용시술과 장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용장비를 한 번에 비교해볼 수 있는 시간을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또한 “임플란트 환자가 줄고 비용이 하락하는 상황에서 미용시술은 새로운 수익창출은 물론 환자관리에도 유용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미용치과협회 관계자는 “모집 한 달 만에 30명 이상이 등록하고, 세미나 참석자 80% 이상이 장비 데모 신청을 할 정도로 미용 장비에 대한 개원가의 관심과 수요가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미용치과협회는 오는 12월 7일 학술포럼도 준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치과의사학회(회장 권훈·이하 치과의사학회)가 지난 11월 2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열린 ‘2025년 종합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한국인 최초의 치과의사 함석태를 기억하며’를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학문적 탐구와 함께 한국 치의학의 뿌리를 돌아보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됐다. 학술 프로그램에서는 최신 임상 지견부터 역사적 고찰까지 폭넓은 주제의 강연이 진행됐다. 먼저 조경모 교수(강릉원주치대)는 국산 Flowable Composite의 발전 과정을 통해 기술의 진보와 임상 적용 범위의 확장성을 설명했다. 박규화 원장(분당프라임치과)은 오랜 임상 경험을 토대로 이상적인 골유착 조건과 그동안의 연구 여정을 공유해 참가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정철웅 원장(광주첨단미르치과병원)은 ‘임플란트 주위염에 강한 임플란트’를 주제로 장기적 예후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 기술과 티슈 레벨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대해 심도 있게 다뤘고, 이재천 원장(CDC어린이치과)은 소아치과 전문의로서의 30년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과 저출산으로 인한 변화 등 소아치과가 직면한 현실과 미래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이어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오스템임플란트(회장 최규옥·이하 오스템)가 운영하는 치과 종합 포털 ‘오스템’의 대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수요세미나가 올해 다섯 번째 강연을 시작한다. 이번 강연은 대한치과감염학회(회장 이의석·이하 치과감염학회) 총 14명의 연자가 임상의들과 만난다. ‘안전한 치과치료를 위한 감염관리 전략’을 대주제로 진행되는 수요세미나 강연은 오는 11월 5일 첫 방송을 시작으로, 12월 17일까지 총 14개의 강연으로 구성했다. 주요 강연은 오는 11월 5일 ‘치주질환의 이해와 효율적인 항생제의 사용(조영단 교수)’을 비롯해 △11월 12일 ‘개원가에서 놓치기 쉬운 감염관리(유태영 원장)’ △12월 17일 ‘구강 내 농양 I&D 할까 말까(김현종 원종)’ 등으로 실제 임상 환경에서 즉각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으로 채워진다. 이번 수요세미나에는 치과감염학회 이의석 학회(치과의료정책연구원 부원장)를 비롯해 △조영단 교수(서울치대 치주과학교실) △유태영 원장(하안치과) △김상세 원장(디테일탑치과) △임호경 교수(고려대학교구로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맹지연 원장(가온치과병원) △이유승 교수(아주대병원 치과보철과) △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통합치과학회(회장 정복영·이하 통합치과학회)가 오는 11월 23일, 연세대학교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 유일한홀에서 ‘2025 추계학술집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집담회는 구강병소의 병리학적 이해와 영상진단의 최신 접근법을 중심으로, 임상 현장에서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강연이 마련된다. 첫 번째 강연에서는 이원 교수(가톨릭대)를 좌장으로 최소영 교수(경북치대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가 ‘Common but Confusing: 구강 병소의 병리학적 이해와 치료’를 주제로 발표한다. 임상에서 흔히 접하지만 감별이 어려운 구강 병소들을 병리학적으로 분석하고, 치료 접근에 있어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어 두 번째 세션에서는 허경회 교수(서울대치과병원 영상치의학과)가 ‘파노라마에서 CBCT로: 더 깊이 보는 진단’을 주제로 단순 파노라마 영상에서 3차원 CBCT로 진단 영역이 확장되는 과정을 짚으며, 진단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영상 판독과 임상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강연 후에는 포스터 시상도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자에게는 치과의사 보수교육 2점이 부여되며, 사전등록은 오는 11월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