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5.2℃
  • 맑음강릉 9.2℃
  • 맑음서울 6.6℃
  • 맑음대전 8.6℃
  • 맑음대구 9.1℃
  • 맑음울산 10.1℃
  • 맑음광주 10.0℃
  • 맑음부산 11.0℃
  • 구름조금고창 9.6℃
  • 맑음제주 13.4℃
  • 맑음강화 5.8℃
  • 맑음보은 6.8℃
  • 맑음금산 8.4℃
  • 맑음강진군 11.4℃
  • 맑음경주시 10.1℃
  • 맑음거제 9.7℃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편집인칼럼

[사 설] 신조어들

URL복사
‘일과 삶의 균형(work life balance)’을 뜻하는 ‘워라밸’이라는 신조어가 우리 사회를 강타하고 있다. 과연 대한민국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능할까? 균형을 맞추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신조어가 생겼다는 게 맞는 얘기일 것 같다. 신세대는 신조어를 만들면서 균형을 맞춰가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구세대들은 여전히 워크홀릭에 가깝다. 어쩌면 평생을 그렇게 살아왔기 때문에 삶을 즐기는 방법을 모른다고 할 수도 있겠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하루 평균 노동시간이 OECD 회원국 중 상위에 속한다. 문재인 정부는 최저임금 인상과 노동시간 단축을 최우선 과제로 정책을 만들어가고 있다. 실제로 지난 3월 주당 최대 근로시간을 기존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이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평일 40시간과 평일 연장근무와 휴일근무를 합쳐서 12시간까지만 노동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물론 대부분의 동네치과는 5인 이하의 사업장이기 때문에 해당이 되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치과의사들의 노동시간은 얼마나 될까? 하루 8시간, 주 5일이면 40시간이 된다. 이를 준수하면서 치과를 운영하는 치과원장이 과연 얼마나 될까? 강화된 근로기준법으로 직원들의 주 40시간을 맞추려면 치과원장은 주 40시간 이상의 일을 하더라도 직원들은 로테이션으로 쉬게 하는 방법 등으로 근무시간을 맞춰줘야 한다.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직원 한 명을 더 고용하는 경우도 있다.

치과의사가 주 40시간에 맞춰 일을 한다면 어느 정도의 수입을 올릴 수 있을까? 그 수입으로 어느 정도의 부를 누리고 살아갈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대다수 치과원장들은 경영자의 역할과 치과의사의 이중역할을 소화하면서 점점 늘어나는 감정노동에 힘겨워하고, 진상환자에 대한 최소한의 법적 보호장치도 없이 열심히 진료에 임하고 있을 것이다.

이런 와중에 건보공단과 치협 협상단의 수가협상이 결렬되었다. 공단이 제시한 2.0% 인상안에 치협 협상단은 큰 실망감과 함께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노인 임플란트와 틀니보험, 올해 말로 예정된 광중합형 레진급여화 등 그간 정부의 보장성 강화정책에 가장 협조적이었던 치과계는 가장 낮은 수가를 제시받았고, 이후 치협은 정부의 보장성 강화정책을 전면 보이콧하기로 결정했다.

어찌됐든 치과의사의 수입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반면에 개원에 따른 경비(급여, 재료비, 임대료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동계처럼 근로시간 엄수를 외칠 수는 없다. 오히려 반대로 근무시간이 늘어나야만 현상유지가 되는 불안한 형국이다. 이런 이유로 치과원장의 ‘워라밸’은 실현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감정노동, 그리고 의료인과 경영자를 오가는 일상 때문에 바브밸(Body Brain Balance)도 이룰 수 없다.

요즘 젊은 세대는 불확실한 미래를 위해 지금을 희생하기보다는 현재 자신의 행복을 가장 중시하는 욜로(YOLO-You Only Live Once) 스타일이나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작지만 확실한 행복 즉 소확행((小確幸)을 추구하는 경향이 짙다고들 한다. 행복의 기준은 사회가 정하는 것이 아닌 결국 개개인이 규정하는 시대가 오고 있다. 

하루키는 그의 수필에서 ‘막 구운 따뜻한 빵을 손으로 뜯어먹는 것. 오후의 햇빛이 나뭇잎 그림자를 그리는 걸 바라보며 브람스의 실내악을 듣는 것이나 서랍 안에 반듯하게 접은 속옷이 잔뜩 쌓여 있는 것’ 등으로 소확행을 구체적으로 묘사했다.

치과의사, 치과원장의 삶도 변하고 있다. 이제는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일상에서 소소한 행복을 찾는 치과의사들이 많아지길 기대한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11월 원달러 환율 분석과 전망 | 환율의 장기 상승 추세와 경제 위기

2025년 11월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79원까지 상승하며 단순한 기술적 움직임을 넘어, 글로벌 경제가 다음 국면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암시하는 중요한 신호가 되고 있다. 현재 글로벌 경제는 금리 인하 사이클의 막바지에 놓여 있으며, 자산시장이 구조적 분기점을 향해 가는 전환기의 중심에 서 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물경제가 경제위기 국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외환시장 역시 이러한 흐름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연준의 정책 방향, 글로벌 유동성, 신흥국 자본 흐름, 그리고 인플레이션 사이클의 장기 패턴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움직인다. 단기 변동이나 정책 개입에 의해 일시적으로 흔들릴 수 있지만, 결국에는 장기적인 사이클이 결정하는 흐름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강하다. 지금은 다음 국면으로 향하는 ‘큰 흐름’이 다시 뚜렷하게 드러나는 시점이며, 환율의 장기 상승 추세와 경제위기 C 국면의 도래가 어떻게 연결될지를 이해하는 것은 자산배분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다. 이번 칼럼에서는 인플레이션 사이클과 금리 인하 사이클이라는 두 가지 장기 트렌드가 현재의 환율 움직임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그리고 왜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