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11.6℃
  • 맑음강릉 15.7℃
  • 맑음서울 11.1℃
  • 맑음대전 13.8℃
  • 맑음대구 14.3℃
  • 맑음울산 14.3℃
  • 맑음광주 14.4℃
  • 맑음부산 14.9℃
  • 맑음고창 13.1℃
  • 맑음제주 16.9℃
  • 맑음강화 9.6℃
  • 맑음보은 12.5℃
  • 맑음금산 13.6℃
  • 맑음강진군 15.0℃
  • 맑음경주시 14.5℃
  • 맑음거제 14.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놀지 못하고 공부만 하며 자살을 생각하는 청소년

URL복사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43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8년 6~8월에 초·중·고생 9,0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에서 33.8%가 자살을 생각해봤다는 결과가 나왔다. 응답자의 45.6%는 하루 공부시간이 3시간 이상이었고, 초등학생(41.4%), 중학생(46.1%), 고교생(48.6%)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증가됐다.

 

반면, 평일 여가시간 2시간 미만은 초(34.5%), 중(40.4%), 고(54.8%)로 나타나 여가시간 부족(평균 44.2%)인 것으로 분석됐다. 평균 하루 공부시간 3시간 이상의 응답자에서 초(41.4%), 중(46.1%), 고(48.6%)로 나타났다. 반면 일주일 동안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은 경우가 23.5%였다.


이 자료에서 몇 가지 눈에 띄는 것이 있다. 초등학생의 여가시간 부족(34.5%)과 평균 하루 공부시간 3시간 이상(41.4%)이다. 이는 여러 면에서 사회적인 문제를 유발시킨 초등학생의 과도한 학원이 대표적 원인이다. 우선 아이입장에서 한창 놀아야 할 아이들에게 절대적으로 노는 시간 부족과 장시간 학원수업은 지루함과 집중력 감소를 유발시키고, 이것은 심리안정이나 정서 등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한다. 요즘 증가하는 ADHD와도 무관하지 않다. 엄마들은 학원비 증가로 인해 생활비에 쪼들리게 되고 이는 사회 부정이나 우울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사회에서는 양육비 지출을 감당하려면 삶의 질이 저하된다고 생각하는 젊은 부부들의 증가로 출산 기피 현상도 나타났다. 신생아 출산율이 급격히 저하하는 큰 원인 중 하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1.4%의 초등학생들이 하루 평균 3시간 이상 공부를 한다는 것은 아이에게나 부모에게나 사회적으로나 반드시 해결돼야 할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이지만, 현실과 같은 극단적 경쟁사회에서 해결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이는 사회가 성숙해져 극단적 경쟁이 모두를 불행하게 만든다는 것을 자각하고 타인을 위한 배려하는 마음이 공유될 때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다.


나 혼자 잘 먹고 잘 사면 그만이란 사고가 매우 위험하다는 것이 공유되어야 하는데, 그것을 사회 전체가 깨닫기까지는 오랜 시간과 시행착오를 겪어야 한다. 언젠가는 사회가 인식하겠지만 안타깝게도 그 과정에서 많은 청소년들이 상처받고 힘들어할 것이다. 이런 초등학생 성장기를 겪고 나서 맞이하는 사춘기 또한 결코 평탄하지 않다. 환경은 더 혹독해지고 신체와 호르몬 변화까지 겹치기 때문이다. 이때 돌파구를 찾을 수 없는 아이들이 자살을 생각해 보게 된다.

 

보고서에 의하면 최근 1년간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경우가 33.8%로 ‘자주 생각한다(5.2%)’, ‘가끔 생각한다(28.6%)’였다. 자살을 생각하게 된 이유로는 학업 부담·성적 등 학업 문제가 37.2%로 가장 높았고, 미래 진로에 대한 불안 21.9%, 가족 간 갈등 17.9% 등이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자주 생각하는 5.2%’의 청소년이다. 교실에서 100명 중 5명이 자살을 자주 생각하는 사회는 문제가 매우 심각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다행한 것은 원인이 학업 부담·성적이 가장 높다는 것이다. 이것은 시간이 지나면 해결되거나 환경이 바뀌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부모와 청소년의 관계이다. 청소년 스스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보다는 대부분은 부모의 생각과 의지에 따라 끌려가는 상태가 더 많다. 만약 부모가 기대를 줄일 수 있다면 청소년들의 삶은 좀 더 빠르게 행복해질 수 있다. 청소년들은 학업과 공부의 치열한 입시지옥에서 살고 있고, 부모들 또한 치열한 경쟁 사회에서 우울함과 미래에 대한 불안에 직면하면서 하루하루를 살고 있다.

 

여기에 두 가지 형태 부모가 있다. 경쟁에서 힘든 삶을 사는 부모 중에는 자식들이 자신들과 다른 삶을 살기를 강요하기도 한다. 반면 스스로 성공했다고 느끼는 부모 중에는 자신들과 유사한 삶을 강요하기도 한다. 요즘 유명인의 딸이 고등학생 때 논문을 제1저자로 썼다는 내용의 기사가 보인다. 왠지 부모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그것이 사실이라서 부모에게 휘둘려 청소년 자신이 원하는 삶을 선택할 기회를 잃었다면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밸류에이션 지표로 본 S&P500, 역사적 고평가 구간에 들어서다

최근 미국 증시는 역사상 유례없는 수준의 밸류에이션을 보이고 있다. AI 관련 빅테크 기업들이 주요 지수의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으며, 각종 지표들이 과거 어느 시기보다 과열된 수준에 도달했는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리 인하 사이클이 막바지에 이르고 연준의 통화정책이 완화 국면에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이러한 고평가 국면이 지속된다면 자산배분 투자자의 리밸런싱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S&P500의 밸류에이션을 판단할 때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네 가지 주요 지표는 PSR(주가매출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PER(주가수익비율), 그리고 연간 배당수익률이다. 각 지표는 시장의 기대 수준, 기업의 실적, 그리고 주식의 내재가치를 서로 다른 시각에서 보여준다. 이 네 가지 지표를 종합해보면, 현재 미국 증시는 2000년 IT 버블이나 2021년 팬데믹 당시의 고점보다도 더 과열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PSR은 기업의 시가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으로, 주식이 실제 매출 규모에 비해 얼마나 비싸게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최근 PSR은 역사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IT 버블 당시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