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피플앤피플] 힙합하는 치과의사 유승진

URL복사

“음악을 하고 있는 지금, 나는 가슴이 뛴다”

올해 7월 11일과 8월 8일, 두 장의 힙합 앨범을 프로듀싱하면서 화제가 되고 있는 치과의사가 있다.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34회졸업생으로, 현재 공중보건의로 근무하고 있는 유승진 씨가 그 주인공. 치과의사이자 힙합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는 그를, 모교 후배 김혜령 학생기자가 만났다. <편집자주>



Q. 치과의사인 동시에 또 다른 특별한 목표를 가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한마디로 말하자면, 행복이다. 예전부터 직접 작곡한 곡을 세상에 알리고 싶다는 꿈이 있었다. 이번에 발매한 Godiflow의 ‘Party Boat’라는 곡으로 목표를 이루었다 할 정도로 큰 의미가 있지만, 앨범 발매 후 일상에 변화가 온 건 아니다. 치과의사 국시 합격 때처럼 면허가 나온 것도 아니고, 방송에 섭외되어 유명세를 탄 것도 아니다. 지난 몇 년간 어떻게 해서든 결과를 내고, 성취해야만 하는 환경에서 살아왔는데, 앨범발매는 그런 것이 전혀 아니었다. 하지만 음악 작업을 하고, 앨범 준비를 하게 되면 내일이 기다려지고 다음 주가 기다려지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나를 발견한다. 그리고 생각해봤다. 나중에 개원을 하거나, 페이닥터로 일을 하게 되었을 때 내일이 기다려지는 삶을 살 수 있을까. 그런데 자신이 없었다. 그래서 지금 여유 있게 예술세계에 심취할 수 있는 이 시간들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지고, 모든 순간들이 행복으로 다가온다.


Q. 음악에 대한 영감은 주로 어디서, 어떻게 얻는지, 구체적인 작업은 어떻게 이뤄지는지 궁금하다.
곡에 대한 포괄적인 주제는 일상생활에서 찾고, 틈나는 대로 휴대전화 메모장에 녹음을 해둔다. 멜로디라인은 정말 갑자기 떠오르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때마다 휴대전화 녹음기를 켜서 입으로 흥얼거리며 녹음을 한다. 그리고나서 메모장의 주제들을 살펴보며 주제에 맞는 멜로디라인을 골라 악기로 연주를 하고, 컴퓨터에 저장한다. 그 다음에 드럼도 추가하고, 베이스도 추가하고, 신스도 추가하면서 디테일 작업에 들어간다. 이 모든 과정이 지금 근무하고 있는 보건지소 관사에서 이뤄지는데, 컴퓨터 한 대와 건반이 전부다. 완성된 인스트루멘탈이 나오기까지는 기약이 없는 작업이 이어진다. 오늘 좋게 들리다가도 내일아침 일어나면 너무 이상하게 들리기도 하고.(하하) 나름 만족스러운 곡이 나왔다고 생각되면 크루 단톡방에 올린다. 그러면 랩퍼들이 때론 선착순으로, 때론 제가 선택해서 곡을 가져가고 랩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많은 인내심과 창의력, 센스가 필요한 작업들이다. 원하는 악상이 떠오르지 않을 때는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지만, 매우 즐겁고 소중한 시간들이다.


Q. 자신의 음악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린다.
일렉트로닉 디제잉을 했었기 때문에, 음악은 전통적인 힙합 비트와는 조금 다르다. 최근에 나온 ‘Party Boat’라는 싱글앨범도 Rachet이라는 장르로, 힙합도 일렉트로닉댄스 음악도 아닌 단순하고 강렬한 반복음으로 신나는 분위기를 만드는 특징이 있는 음악이다. 그래서 굳이 힙합 뮤지션이라고 하기보다는 ‘음악을 하는 사람’으로 생각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8월 8일에는 8곡을 담은 인스트루멘탈(가사 없이 음악만 있는 음악) 앨범이 전 세계 35개 음원 사이트를 통해 발매됐다. 어둡고 모호한 감성의 힙합 곡부터, 신나게 몸을 흔들어야 할 것 같은 클럽노래 느낌까지 담아봤다. 또 2곡 정도는 사랑노래 느낌으로 작업을 해봤는데 감성터지는 날 들으면 좋을 것 같다.


Q. 후배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 마지막으로 당부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치의학전문대학원 재학 당시, 순수한 마음으로 좋아하는 것을 다양하게 하려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이 없다는 느낌을 받았다. 학교를 졸업하고 변호사 시험을 칠 수도 있고, 그림을 그릴 수도 있고, 음악을 할 수도 있을 거라 생각한다. 다재다능한 후배들이 자신의 능력을 학업에만 국한시키지 않고(물론 학업이 최우선이지만), 다양한 시도를 해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뮤지션을 꿈꾸는 전국의 치과의사/의사들의 연락도 기다린다.
마지막으로 직접 프로듀싱한 첫 싱글 곡이자 랩 하는 안과의사 Godiflow의 첫 싱글, 그리고 우리 부산대치전원 AVMG 크루의 첫 싱글인 ‘Party Boat’와 지난달 8일 발매된 인스트루맨탈 앨범에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본과생 크루 멤버들도 열심히 작업 중이니, 앞으로 많은 작품으로 찾아뵐 수 있기를 기대한다.



(Ludens Musiq의 첫 정규 인스트루멘탈 앨범, ‘Prep Da Beat vol. 1’ 앨범 커버 아트. 글러브를 낀 손이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의 금색 지팡이를 쥐고 있다. 반짝이는 골드크라운 같이 블링블링한 음악을 prep하고 싶은 Ludens Musiq의 소망을 담았다. 부산치대 예과 3학년 박도형 군이 아트워크 디자인을 담당했다.)



▶ AVMG 인스타그램: @avmgofficial
▶ AVMG 유튜브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x7VPSAPla0qO48y6NyXRIg?view_as=subscriber









김혜령 학생기자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나는 반딧불’의 위로가 지닌 의미
얼마 전 진료실 라디오에서 잔잔한 노래 하나가 들렸다. 얼핏 처음 가사가 들렸을 때 스스로 빛나는 별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반딧불이라고 들렸다. 그래서 슬프다는 내용인 줄 알았는데 그 다음 가사가 알고 보니 자신은 개똥벌레였다고 하는 내용이었다. 빛나는 별이 아닌 줄 알았고 반딧불인 줄 알았는데 결국에는 그것도 아닌 개똥벌레였다면 엽기적이고 가학적이고 심한 우울한 가사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많은 대중들이 위로를 받는다고 하여 노래를 찾아보았다. 가사는 살다가 어느 날인가 스스로 하늘에 빛나는 별이 아닌 땅에 기어 다니는 개똥벌레라는 것을 알게 되지만, 개똥벌레도 스스로 조그만 가치의 빛을 낸다면 누군가에겐 비록 작더라도 소중한 빛을 내는 반딧불일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는 내용이었다. 이 노래는 지난해 말부터 우울했던 대중들에게 많은 위로가 되었다. 잔잔한 음률에 남성 가수의 담담하고 고즈넉한 목소리 톤으로 부른 ‘나는 반딧불’이다. 잔잔한 음률에 젖어서 찬찬히 가사 내용을 음미해보면 2·30대들의 아픔이 느껴진다. /나는 내가 빛나는 별인 줄 알았어요/한 번도 의심한 적 없었죠/몰랐어요 난 내가 벌레라는 것을/그래도 괜찮아 난 눈부시니까/하늘에서

재테크

더보기

2025년 7월,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를 위한 자산배분 전략

2025년 7월 3일, 미국 증시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새로운 투자 국면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4월 이후 역대급의 V자 반등이 나타나면서 주식시장 상승에 따른 투자자들의 관심 역시 크게 높아졌다. 특히 이제 막 투자를 시작하거나 자산배분을 고민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앞으로의 시장 방향성에 대한 기대와 불확실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는 시점이다. 자산배분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투자 전략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위험자산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자산배분을 어떻게 시작할지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칼럼에서는 2025년 7월의 금리 사이클과 현재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처음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하는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포트폴리오의 목표 비중을 설정하는 일이다. 이는 금리 사이클의 흐름을 이해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자산 비중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필자는 과거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 사이 비중을 축소하고, 이후 2020년 4월부터 하반기까지 다시 비중을 확대해 코로나19 위기 상황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