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핫프러덕트] 메가젠임플란트 'Bone MatrixⅠ'

URL복사

‘Bone Matrix Ⅰ’, 빠른 골형성으로 꾸준한 인기
5개월 만에 잔존골 5㎜ cut서 40% 골형성 확인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의 합성골 이식재 ‘Bone Matrix Ⅰ’이 개원가에서 높은 임상 만족도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안정적 체적 유지와 함께 빠른 신생골 성장에 따른 치유기간 단축이 인기의 비결이다.

[편집자주]


빠른 치유와 골형성
메가젠 측에 따르면 ‘Bone MatrixⅠ’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구강병리과에 의뢰해 진행한 골형성 실험결과 3㎜ depth cut에서 최소 graft material을 포함한 vital bone formation 영역이 전체 중에서 70% 이상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5㎜ depth cut에서는 graft material을 포함한 new bone formation 비율이 최소 40% 이상이다.

 

 

[유저 후기] 글/ 이대희 원장 (이대희서울치과)

 

“빠른 흡수와 신생골 형성에 탁월”

 

누군가 상악동에 어떤 골이식재를 사용하느냐고 질문을 받는다면 필자는 주저 없이 좋은 합성골이 있다면 그것을 쓰겠다고 말해왔다. GBR은 물론 다르다.

 

필자가 상악동에 합성골, 그 중에서도 BCP(Biphasic Calcium Phosphate) 계열을 사용하는 이유는 첫째, 동종골에 비해 감염이 일어날 확률이 적고, 둘째, 이종골에 비해 빨리 흡수돼 그 부위의 골 밀도에 기여할 확률이 크며, 셋째, 이종골에 비해 vital bone formation 속도가 높기 때문이다.

 

BCP는 tissue fluid나 osteoclast에 의해 물리·화학적으로 용해되고, Macrophage나 osteoclast 등에 의해 분해되고 phagocytosis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dynamic human organism에 full integration되는 것이 목표인데, 사실 완벽하게 그렇게 되는 것은 없겠지만 비슷하게라도 되는 합성골을 사용하고 싶고, 그 목표에 조금 근접한 것이 ‘Bone Matrix 1’이라고 생각한다.

 

 

상악 좌측에 3개의 구치가 missing된 환자다. 상악동 측방 거상술을 하면서 Bone MatrixⅠ을 이식하고 약 5개월 후에 #25부위에서 trephine bur를 이용해 crestal에서부터 bone core를 채취해 formalin 용액에 침지해 대학병원 구강병리과에 보내 crestal에서부터 3㎜와 5㎜에서 bone core를 cross-section해 저배율에서부터 고배율로 현미경 사진을 부탁해 받았다.  

 

 

 

부분적인 고배율 사진은 싣지 못했지만 이종골에서 보이는 골이식재와 new bone 간의 bridging effect없이 remodeling 되고 있는 Bone MatrixⅠ이 보이며, 신생골 내의 lacunae 안에 위치된 osteocyte와 osteon들이 잘 보이고 있고, connective tissue와 blood vessel 주위로는 특이한 거대 염증 세포들은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소견이 일회성이라서 단정 짓기는 어렵겠지만 계속해서 비슷하게 bone core를 채취해 biopsy를 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약 10회 정도의 상악동의 증례에 사용한 결과로는 모두 염증 소견 없이 좋은 결과를 얻었다. 앞으로도 지속해서 관찰해 볼 예정이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9월 S&P500 자산배분 전략 | 금리인하 사이클과 조정 신호

2025년 9월, 미국 증시는 다시 한 번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대표 지수인 S&P500 역시 단기적 반등과 조정 사이에서 고점을 조금씩 높여가며 불안정한 균형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기일수록 자산배분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단순히 마켓 타이밍을 맞추려는 시도가 아니라, 거시적 흐름 속에서 각 자산이 어떤 위치에 있으며 어떤 비중을 가져가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냉정하게 판단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자산배분 전략은 특정 종목에 집중하거나 단기 매매로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행위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그 핵심은 금리 사이클, 유동성 흐름, 투자 심리와 같은 거시적 요인 속에서 장기적인 위험을 관리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틀이 바로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이다. 금리 인상과 인하, 경제위기와 회복이라는 순환 과정 속에서 자산은 서로 다른 성과를 보여 왔으며, 투자자는 각 국면에서 불리한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앞으로 유리해질 자산을 선제적으로 편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시장은 금리인하 사이클의 B에서 C로 넘어가는 후반부에 놓여 있다. 연준은 2023년 7월 금리 고점(A)을 기록한 이후 202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