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맑음동두천 16.2℃
  • 맑음강릉 11.6℃
  • 구름많음서울 17.0℃
  • 맑음대전 18.9℃
  • 맑음대구 14.5℃
  • 맑음울산 17.8℃
  • 맑음광주 16.5℃
  • 박무부산 17.0℃
  • 맑음고창 16.8℃
  • 구름조금제주 23.3℃
  • 맑음강화 13.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8.3℃
  • 맑음강진군 16.0℃
  • 맑음경주시 14.1℃
  • 구름조금거제 16.6℃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전 세계 치의 1천명, 네오 보기 위해 태국 집결!

URL복사

지난달 29~30일, 네오 월드 심포지엄…새로운 보철시스템 베일 벗어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 월드 심포지엄이 지난달 29일과 30일 양일간 태국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Oldies but goodies, Newbies also goodies’를 주제로 열린 이번 월드 심포지엄은 코로나 펜데믹 이후 열린 첫 번째 오프라인 행사로 전 세계 네오 유저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첫 날인 29일에는 프리 콩그레스가 오전과 오후로 나뉘어 진행됐다. 오전에는 김용수 원장이 ‘Minimally invasive sinus grafting, quick and safe methods’라는 주제로 SCA, SLA를 이용한 사이너스 테크닉과 사이너스 그래프트 후 임플란트 식립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강의 후에는 실습 모델을 통해 크레스탈과 라테랄 어프로치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핸즈온을 진행했다.

 

 

오후에는 임형구 원장의 ‘Digital dentistry in our daily practice’가 진행됐다. 강연에서는 메디트의 구강스캐너 ‘i700’과 ‘Neo NaviGuide’를 활용한 디지털 덴티스트리가 다뤄졌다. 강연 후에는 관련 핸즈온을 진행해 참가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프리 콩그레스는 사전등록으로 진행됐으나, 현장에서 청강을 원하는 참가자 100여명이 한꺼번에 몰리는 등 메인 행사 전부터 뜨거운 열기를 자아냈다.

 

첫 날 다른 강의실에서는 코어 멤버 미팅이 열렸다. 심포지엄 메인연자들을 비롯해 각국의 키 닥터 30여명이 모여 고난도 케이스 발표와 질의응답을 이어갔다. 특히 이 자리에서는 허영구 대표의 새로운 보철 시스템이 소개됐는데, 이에 대한 질문이 쇄도하며 열띤 토론이 진행됐다는 관계자의 후문이다.

 

 

30일 열린 메인행사는 총 9개의 강의로 구성됐다. IS-II active 임플란트의 장점 및 AnyTime Loading에 대한 Dr. Mongkol Thaveeprungsiporn(THA)의 ‘CMI fixation: Key role in the success of Any Time loading’을 시작으로 바로가이드의 개발 배경과 장점, 임상 케이스 등을 소개한 박정철 원장의 ‘VAROGuide: History of Heo-Story’가 이어졌다.

 

이후 허영구 대표의 ‘Looking back on the decade, Looking forward to the decade’가 진행됐다. 강연에서는 사이너스 혁명을 불러왔던 SCA, SLA의 세계 최초 개발과정, 그리고 FR, SR Kit를 통한 임플란트 리페어 솔루션 등 현재까지 개발된 네오의 주요제품을 되짚었다. 또한 1999년 무치악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SCRP 시스템을 이용해 보철을 만들었던 환자가 2022년 현재까지 문제없이 임플란트를 사용하고 있는 케이스를 공유하며 SCRP의 우수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강연 막바지 SCRP를 뛰어 넘는 새로운 보철시스템이 소개됐을 때는 청중들의 박수갈채가 쏟아지기도 했다. 새로운 보철시스템은 내년 상반기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Dr. Manuel Feregrino(MEX)의 ‘GBR challenge and complications’ △Dr. Edgar Cabrera(ESP)의 ‘Implant rehabilitation techniques for atrophic maxilla’ △Dr. Giuliano Garlini와 Dr. Marco Redemagni(ITA)의 ‘Minimally invasive Sinus lift procedures(SCA and SLA system): Long term results from a clinical and radiological point of view’ 등의 강연이 순차적으로 진행됐다.

 

네오 관계자는 “네오의 핵심 제품을 다룬 모든 강의는 해외연자들의 실제 케이스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결과 또한 매우 우수했기에 이번 월드 심포지엄 참가자들이 네오 제품의 이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며 “강연 후 휴식시간에도 연자들과 토론이 이어지는 등 현장반응이 매우 좋았다”고 말했다.

 

 

강연장 밖에서는 △바로가이드 △솔루션 시리즈(SCA, SLA, FR, SR Kit) △애니체크 △i700 등 강연에서 소개됐던 제품들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돼, 인산인해를 이뤘다. 강연이 모두 끝난 뒤에는 GAO 어워드가 개최됐다. GAO 포럼 웹사이트에 임상케이스를 올리고, 많은 이들에게 추천을 받은 GAO 멤버에게 특별선물을 증정하는 시간을 가졌다. 계속해서 밴드공연, 재즈 퍼포먼스, 경품추첨 등으로 구성된 갈라디너 행사가 열리며 월드 심포지엄의 분위기는 최고조에 달했다. 특히 태국 연자인 Dr. Mongkol Thaveeprungsiporn은 본인이 직접 무대에 올라 밴드공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네오 관계자는 “2019년 이후 3년만에 열린 월드 심포지엄이라는 점에서 개최 전부터 전 세계 치과의사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러한 기대감에 부응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준비했고, 좋은 성과로 이어져 매우 뿌듯하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이어 “특히 허영구 대표가 언급한 새로운 보철시스템에 대한 기대감은 강연이 끝난 후 열린 갈라디너 현장까지 이어졌다”며 “이에 힘입어 다가올 연말 네오포럼 회원과 네오 유저들을 위한 특별한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곧 개최될 YESDEX와 KDX에서도 차츰 공개할 예정”이라고 기대감을 높였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역사는 돌고 돈다
역사는 돌고 도는 것인가. 최근 미국에서 연구지원금 축소로 학자들이 미국을 떠나 유럽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기사가 보인다. 새로 출발한 미국 연방정부가 지출을 줄이기 위해 연구비를 대폭삭감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역사를 돌아보면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미국이 빠르게 세계적 강대국으로 될 수 있었던 이유 중에는 유능한 인재 이동이 있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전 세계 석학들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며 미국으로 모여들었다. 미국의 부흥에 외국 지식인들이 지대한 역할을 했다. 가장 대표적인 사람이 아인슈타인이다. 과학뿐 아니라 철학, 인문학 등 모든 분야의 최고 석학들이 미국으로 이동하였고 학문적 업적을 미국에서 이루었다. 그 결과가 지금의 미국을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게 발전한 미국에서 학자들이 연구비 감소로 인하여 유럽으로 이동하고 있는데, 정작 미국 정부는 방관하는 것을 넘어 푸대접하고 있는 현실이다. 자신들이 어떻게 강대국이 되었는지를 잊어버린 듯하다. 그동안 미국이 강할 수 있었던 것은 광범위한 학문적 투자에 있었다. 그런 미국이 비용을 이유로 그들을 쫓아내고 있다. 이는 머지않은 미래에 미국이 퇴보될 것을 암시하는 메시지로 보인다. 사마천은 사기에

재테크

더보기

트럼프 관세전쟁과 자산시장 전망 | 미국채 금리와 달러 인덱스 중심 분석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선포는 글로벌 경제에 큰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약 100년 만에 이뤄진 대규모 관세 정책으로, 자산시장은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며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특히 미국 증시는 기록적인 변동 폭을 나타내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오늘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이 글로벌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미국채(TLT) 금리와 달러 인덱스(DXY)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기적 자산 배분 전략의 관점에서 향후 대응 전략을 제시해보겠다. 트럼프 행정부는 취임 직후부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목적으로 중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강력한 관세 부과 조치를 단행했다. 이번 관세 조치는 단순히 무역적자 해소를 넘어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의 일환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이는 관세전쟁의 장기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시장은 이러한 불확실성 증가를 반영해 4월 2일 이후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고, 시장참여자들은 지금이 긴 하락장의 초입인지, 이벤트로 인한 단기적 주가 조정에 그치는지 알 수 없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채 금리의 급격한 변화와 달러 인덱스의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