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맑음동두천 21.8℃
  • 맑음강릉 23.8℃
  • 맑음서울 22.4℃
  • 맑음대전 23.5℃
  • 맑음대구 24.2℃
  • 맑음울산 25.1℃
  • 맑음광주 23.1℃
  • 맑음부산 24.8℃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21.2℃
  • 맑음강화 21.2℃
  • 맑음보은 21.6℃
  • 맑음금산 21.7℃
  • 맑음강진군 23.5℃
  • 맑음경주시 25.8℃
  • 맑음거제 23.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임상] 플라그 및 구강내 유해균 제거에 관한 구강청결제의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

URL복사

박용덕 교수(조선대학교치과병원 예방치과)

치주질환이나 치은염으로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 통계에 따르면 2013년 1,047만명이었던 ‘치주질환 및 치은염’ 환자는 2017년 기준 1,533만명을 기록했다.1 이런 변화는 국민들이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치료한다고 해석할 수도 있고, 구강질환 환자가 그만큼 늘었다고도 볼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치과의사로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를 마주한 것이고, 그만큼 치료 옵션에 대해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평소 구강건강 관리가 소홀해 생긴구강질환은 치료 후에도 개인의 습관성 때문에 재발이 쉽다. 따라서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는 물론 임상적으로 입증된 구강관리 행동이 습관으로 자리 잡도록 돕는 것이 치과의사에게는 중요하다.


환자의 구강관리 행동 실태

‘성인의 구강 표면적 및 타액 피막 두께에 대한 연구’(Collins LM,Dawes C.,1987)에서는 구강표면을 6개 영역(치아, 구개, 위아래잇몸과 어금니뒷삼각, 볼점막, 혀 및 구강앞면, 설배)으로 나누어 각각의 면적 비율을 산출했다. 이 때 칫솔질 같은 기계적인 구강위생기술로 닿을 수 있는 치아 및 잇몸 구역이 차지하는 구강 면적 비율은 25%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2


우리나라 국민은 칫솔질 습관도 미흡했다. 2017년 대한예방치과학회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구강 건강 및 양치 습관 실태조사’ 결과 잇몸이나 치아 사이까지 제대로 닦아낸다고 응답한 사람은 29.1%에 머물렀다.3 즉, 인간의 능동적인 칫솔질 행위에 의해서 30% 미만의 구강표면적만 치솔에 의해 닦이고, 그 외 영역은 간과하고 있는 것이 평균적인 결론이다.


한편, 칫솔 이외의 구강보조용품 사용도 낮다. 칫솔이 닿지 않거나 스스로 간과한 70% 이상의 구강내 표면에 대한 관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2016 한국치과의료연감에 따르면 칫솔질 외에 치실이나 치간칫솔, 양치용액 사용자는 거의 5명 중 1명 꼴이었으며 이는 2012년과 비교해 달라지지 않았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표 1).4  칫솔과 같이 기계적인 수동작으로 쓰이는 치실, 치간칫솔, 전동칫솔 등은 결국 도달하지 않는 구강 내 70%를 해결할 수단이 되지 못한다. 그래서 치과의사는 액체로서 전 구강에 자유로이 도달할 수 있는 구강양치액의 사용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이를 구강관리 수단으로써 적극적인 환자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임상에서 구강청결제 사용 시 고려사항

그렇다면, 온전한 구강질환관리법에서 올바른 습관으로 구강 양치액의 활용은 근거가 있는 것인가?


1. 플라그 및 구강 내 유해균 억제 효과 

앞서 언급한 것처럼 칫솔질이나 치실이 미처 닿지 않는 공간은 구강 헹굼(Mouth rinse)으로 관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수많은 구강청결제 중 플라그 감소 효과 등 임상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적절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은 물론 치과의사의 역할이다.

현재 시중의 구강청결제는 CPC(Cetylpyridinium chloride hydrate, 세틸피리디늄염화물) 혹은 CHX (Chlorhexidine, 클로르헥시딘) 기반 제품과 4가지 에센셜 오일(유칼립톨, 멘톨, 티몰, 살리실산) 기반 제품 등이 있다. 이들 모든 제품은 in vitro 연구(Pan P et al., 2010)에서 플라그를 억제하는 데 효과를 나타냈으며, 그 중 4가지 에센셜 오일 기반 제품은 CPC, CHX 성분 대비 최대 7배 이상의 우수한 플라그 억제 효과를 보였다(표 2).5




또한 에센셜 오일 기반 제품과 아민불소 함유 제품, 트리클로산과 PVM/MA 기반 제품에 대한 in vitro 비교 연구(Fine DH et al., 2001)에서는 구강 내 떠다니는 플랑크톤 형태의 AC(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 mitan) 부유물과 같은 세균에 대해 99.9% 감소 효과를 보고했다.6




이러한 플라그 및 세균 억제효과를 입증한 구강청결제는 기존의 칫솔질, 치실과 함께 사용 시 치은염 감소 효과에도 영향을 보인다. 치은염 환자 24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Sharma N et al., 2004)에서는 6개월 동안 칫솔질, 치실과 함께 에센셜 오일 기반 구강청결제를 사용한 환자군(BFEO; brushing, flossing and rinsing with an EO-containing mouthrinse)에서 치은염이 21%, 프라그는 52% 감소해 칫솔질과 치실만 사용한 환자군(BFC; brushing, flossing and rinsing with a control mouthrinse)에 비해 임상적으로 유용성을 확인했다.7


2. 타 구강질환과의 연관성

이 같은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환자들은 구강청결제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구강청결제 사용이 구강 내 건조함 및 구강암 발생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데, 이는 이미 FDA 및 학계에서는 논란이 해소되었기 때문에 치과의사는 자신의 환자들에게 신뢰가 가도록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먼저, 알코올 함유 구강청결제가 구강점막을 건조하게 할 것이라는 우려와 관련한 실험 논문결과를 보자. 2004년 Fischman SL 등의 연구에 따르면, 14일 간 알코올 함유 구강청결제를 권장량 이상 사용한 결과 구강 점막의 건조 현상이나 타액분비량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8 마찬가지로 트리플 오(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Oral Radiology)에 실린 Kerr AR 등의 2015년도 연구에서 3개월간 알코올 함유 구강청결제와 무알콜 구강청결제를 임상에서 비교 연구 했을 때에도 두 가지 제품 모두 구강 내 건조가 발생하지 않았다.9  물론 그외의 신뢰할 만한 문헌은 다수가 있지만 중략한다.


한편,구강암 연관성 우려에 대해서는 믿을 만한 기관이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2003년 미국 FDA 자문위원회는 7개의 스터디를 검토한 결과, 구강청결제 사용과 구강암은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만장일치 결론을 내렸다.10  당시 미국치과의사협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에 실린 연구(Cole P et al., 2003)에서도 9개 스터디 분석 결과 FDA와 마찬가지로 알코올 함유 구강청결제가 구강암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내용이 발표되었다.11


3. 구강청결제 ‘착색’ 논란

최근 언론에서 구강청결제로 인한 착색 논란이 있었다. 칫솔질 후 입 안에 남아있던 치약의 계면활성제 성분이 구강청결제의 CPC 혹은 CHX 성분이 만나 착색을 일으킨다는 것이 논란의 요지다.12 밝고 깨끗한 치아는 환자에게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따라서 예방치과 전문의로서 논란이 되는 요소를 피하고자 한다. 만약 이러한 논란으로 불안을 느낀다면 에센셜 오일 기반 구강청결제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에센셜 오일 기반 제품은 장기간 사용 시에도 치아 부식이나 착색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Charles CH et al., 2001).13


3 step 구강 관리, 국내에 알맞은 형태로 확산돼야

진료현장에서 다양한 환자를 만나다보면 환자의 구강관리에 있어 아쉬움이 느껴질 때가 종종 있다. 적절한 치료방안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예방치과 전문의로서 예방단계에서부터의 관심과 관리도 필요하다. 


특히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칫솔질 힘이 약해지거나 구강보조용품 사용빈도가 낮은 노인층은 구강 질환에 보다 쉽게 이환될 수 있으며, 그들에게 구강 건강 문제는 삶의 질과도 직결된다. 또한 보철 및 교정치료를 받거나 임플란트를 시술한 환자도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들을 위한 칫솔, 치실 등이 많이 존재하지만, 보철물 틈까지 완벽하게 관리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또한 치료를 받는 과정 중 약해진 잇몸은 치은염과 같은 질환에 더 취약해지기 때문에 치과의사의 적절한 조언에 따른 구강관리가 필요하다.


‘입은 건강의 창문이다’라며 구강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미국치과의사협회(ADA)에서는 이미 치과 환자들에게 칫솔질과 치실 사용 외에 구강청결제를 일상 속에서 사용하도록 권하고 있다. 필자도 진료실에서 만나는 환자에게 치실은 하루 1회, 구강 헹굼은 하루 2회, 칫솔질은 하루 3회로 권하는 이른바 123 캠페인을 설명하고 있다. 이처럼 구강 내 칫솔질로 관리할 수 없었던 나머지 70%부분까지 해결하도록 구강청결제를 포함한 3 step 구강관리 습관이 국내에서도 널리 알려지고 도입되었으면 한다.



* Reference

1. ‘치주질환및치주염’국민관심질병통계,건강보험심사평가원.

accessed May 30, 2018 at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4thDsInfo.do

2. Collins LM, Dawes C. The surface area of the adult human mouth and thickness of the salivary film covering the teeth and oral mucosa.JDentRes.1987, vol. 66. 1300-1302

3. 대한예방치과학회, 필립스소니케어. 대한민국구강건강및양치습관실태조사보고서(presentation).

2017;accessed June 7, 2018 at https://www.philips.co.kr/c-dam/Homepagecontent/ko_KR/ohc/

Philips_KR_the_research_that_we_did_together_with_Korea_Prevention_Dental_Science_Societ.pdf

4. 한국치과의료연감,대한치과의사협회. 2016

5. Pan P, Harper S, Ricci-Nittel D, Lux R, Shi W. In Vitro evidence for efficacy of antimicrobial mouthrinse. J Dent. 2010 Jun;38 Suppl 1:S16-20

6. Fine DH, Furgang D, Barnett ML. Compara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ntiseptic mouthrinses against isogenic planktonic and biofilm forms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J ClinPeriodontol, 2001 Jul;28:697-700.

7. Sharma N, Charles CH, Lynch MC, et al. Adjunctive benefit of an essential oil-containing mouthrinse in reducing plaque and gingivitis in patients who brush and floss regularly: a six-month study. J Am Dent Assoc. 2004; 135:496-504.

8. Fischman SL, Aguirre A, Charles CH.Use of essential oil-containing mouthrinses by xerostomic individuals:determination of potential for oral mucosal irritation.Am Journal of Dent. 2004;17(1):23-26

9. Kerr AR, Corby PM, Kalliontzi K, McGuire JA, Charles CA. Comparison of two mouthrinses in relation to salivary flow and perceived dryness.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2015;119(1):59-64

10. Oral health care drug products for over-the-counter human use: antigingivitis/antiplaque drug products; establishment of a monograph; proposed rules. Part III,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 USA. Federal Register. May 29, 2003;68:32231-32287

11. Cole P, Rodu B, Mathisen A.Alcohol-containing mouthwash and oropharyngeal cancer: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J Am Dent Assoc. 2003;34(8):1079-87

12. Sheen S, Owens J, Addy M. A possible predictor of inactivation.J ClinPeriodontol2001;28:46-51

13. Charles CH., etal.Extended Effects (Daytime 12-hour) of an Essential Oil-Containing Mouthrinse on Oral Bacteria(Study No. 951-9091).J Am Dent Assoc. 2001;132:670-675.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데이트폭력의 심리
수능만점자였던 의대생이 데이트 폭력을 넘어 피해자를 사망하게 한 사건이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최근 데이트폭력이 급증했다. 3일에 1명꼴로 데이트 사망이 발생한다고 한다. 데이트폭력의 심각성은 폭력을 당한 피해자는 평생 심리적인 트라우마를 겪는 것이다. 통상 데이트폭력 가해자는 친절하게 잘해주다가 서로 간에 트러블이 생기는 날부터 조그만 폭력이 시작된다. 그리고 점점 강도가 증가하며, 항상 ‘폭력→사과→애걸→맹세→협박’이란 동일한 패턴을 반복한다. 심리학적으로 데이트폭력 원인은 간단하다. 집착이다. 어려서 사랑하거나 신뢰했던 사람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멀어졌거나, 심리적으로 버림받았다고 느꼈거나, 버림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을 경험한 경우에 집착이 심해진다. 이들은 헤어짐을 이별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버림받음으로 인식한다. 버림받는다는 인식은 단지 상상만으로도 절망에 빠지고 결국 극단적인 행동으로 치닫게 될 수 있다. 인기드라마 ‘눈물의 여왕’에서 악역 배우의 마지막 대사인 “내 것이 아니면 남의 것도 될 수 없다”가 집착 심리의 전형적인 말이다. 심리적으로 그는 경계성 성격장애에 속한다. 이들은 과거에 버림받은 경험에 대한 반발심리로 자신은 사랑하는 사람에 대

재테크

더보기

2024년 미국배당 투자에 대한 생각 feat. 하이퍼 인플레이션과 부채위기

하이퍼 인플레이션과 배당 투자에 대해서 지난 시간에 최근 1~2년 간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배당투자 인기에도 불구하고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배당성장 ETF인 ‘SCHD(Schwab US Dividend Equity ETF)’와 JEPI(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의 최근 수익률이 S&P500 지수 대비 저조했다는 사실을 알아봤다. 다른 통화 대비 강세를 보이고 있는 달러의 cash flow(현금흐름)를 기반으로 한 미국 배당투자가 기대에 못 미쳤던 이유는 인플레이션과 화폐가치 절하 때문이다. 전 세계 명목화폐의 기축통화인 달러를 사용하는 미국마저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가고 있는 길목에 있는 지금 현금흐름의 가치와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한 투자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번 시간에는 최근 금융 환경의 변화가 배당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뤄 보겠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미국 정부의 대규모 경제 부양책과 연준의 제로금리와 무제한 양적완화로 인한 통화정책이 초래한 인플레이션은 기준금리 사이클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1970년대 인플레이션을 고금리 통화정책과 지정학적 위기 해소(소련 붕괴와 미중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