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 지역별 월평균 순익격차 최대 810만원

URL복사

2015년 영업이익 1위 충북 2,040만원 Vs. 17위 세종 1,230만원

본지는 지금까지 총 4회에 걸쳐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등 의원급 의료기관의 경영실태를 분석했다. 통계청이 2010년부터 5년마다 발표하고 있는 경제총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삼은 이번 기획기사를 통해 지역별 의료기관의 수와 매출액, 영업비용, 영업이익 등 경영에 관한 전반적인 상황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의원, 그래도 아직은 서울…치과·한의원은 脫서울 뚜렷

총 4회에 걸쳐 보도된 기획기사를 정리해보면, 먼저 2010년과 2015년 사이 의료기관 증가율에서 의원과 한의원은 제주, 치과에서는 경북이 증가율 1위를 기록하며 대도시보다는 상대적으로 포화가 덜 된 중소도시의 증가율이 가파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별과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했는데, 가장 대표적인 도시는 서울이었다.

 

2010년 6,844개소에 달했던 서울지역의 의원은 2015년 7,580개소로 10.8%의 증가율을 보이며, 16개 광역시도(2010년 비교대상이 없는 세종은 제외) 중 5위에 달하는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반면, 서울지역 치과의 경우 2010년 4,327개소에서 2015년 4,588개소로 6.0%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16개 광역시도 중 최하위에 해당하는 증가율이다. 서울지역 한의원에서도 2010년 3,221개소에서 2015년 3,468개소로 15위에 해당하는 7.7%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인구총조사와 경제총조사를 바탕으로 5년간의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인구 보다 의원급 의료기관의 증가율이 훨씬 가팔랐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는 2010년 4,858만293명에서 2015년 5,106만9,375명으로 0.05% 증가한 데 반해, 의원급 의료기관은 2010년 5만2,095개소에서 2015년 5만8,289개소로 11.89%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의원, 매출은 가장 높지만 순이익 가장 낮아

계속해서 지역간 불균형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매출액과 영업비용, 영업이익 등 각 지표에서 1위와 최하위간의 격차를 살펴봤다. 먼저 2015년 의원을 살펴보면, 서울이 6,710만원의 월평균 매출로 1위를 기록했다. 최하위에 해당하는 17위는 광주로 5,040만원의 월평균 매출을 기록, 1위와 1,670만원이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료와 인건비를 비롯해 재료와 장비 등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데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통칭하는 영업비용에서도 서울이 5,030만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전남이 3,240만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들 간의 격차는 1,790만원으로 매출 격차보다 오히려 영업비용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다음 지표인 영업이익은 매출에서 영업비용을 제한 순이익으로, 충남이 매월 2,260만원의 수익을 올려 이 부분 1위에 올랐다. 서울은 1,680만원으로 영업이익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충남과 서울의 격차는 580만원이었다. 한편, 서울은 매출에서 6,710만원으로 1위를 기록했지만, 지출을 뜻하는 영업비용에서도 1위를 기록하며 가장 비효율적인 운영을 한 도시로 기록했다. 

 

 

치과, 충북과 광주의 월매출 격차 1,230만원

치과의 지역간 격차를 살펴보면, 월평균 매출 1위는 5,410만원의 충북이었다. 반면 광주는 4,180만원으로 최하위를 기록, 충북과 1,230만원의 월매출 격차를 나타냈다. 영업비용에서는 1위에 오른 충남(3,390만원)이 최하위의 광주(2,650만원)와 740만원의 격차를 보였으며, 월평균 영업이익에서는 2,040만원으로 1위를 기록한 충북이 1,230만원으로 최하위를 기록한 세종과 810만원의 격차를 나타냈다.

 

 

한의원 영업비용, 서울과 제주의 격차 460만원

마지막으로 한의원은 경기가 2,930만원으로 월매출 1위를 기록했으며, 2,390만원으로 최하위 매출을 올린 제주와 540만원의 격차를 보였다. 영업비용 역시 서울이 2,010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최하위를 기록한 제주(1,550만원)와 460만원의 차이를 나타냈다. 월평균 영업이익에서는 1,000만원의 경북이 1위를 올랐으며, 세종이 720만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들 간의 월평균 영업이익 격차는 280만원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월평균 매출과 영업비용의 격차는 규모에 따라 의원, 치과, 한의원 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월평균 영업이익 격차에서 치과가 810만원으로 580만원의 의원보다 높게 나와, 영업이익에서만큼은 치과의 지역간 불균형이 더 심하다고 볼 수 있다.  

 

전영선 기자 ys@sda.or.kr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맞는 말이라도 항상 옳은 것만은 아니다
살다보면 맞는 말인데 옳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것들이 있다. ‘맞다·틀리다’는 참과 거짓을 나누는 명제로 객관적인 관점이고, ‘옳다·그르다’는 주관적 관점이기 때문이다. 객관적으로는 맞는 것이지만 주관적으로는 옳다고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 것이다. 옳고 그름에 대한 인식은 선거에서 보였듯이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다. 반대로 옳다고 하는 말이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자신이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시어머니 잔소리나 혹은 직장 상사나 선생님, 선배 혹은 부모가 될 수도 있다. 얼마 전 전공의대표가 대학 수련 병원 시스템을 이야기하면서 “의대 교수는 착취사슬 관리자, 병원은 문제 당사자”라고 표현하였다. 객관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대학병원 현 상태를 명쾌하게 한마디로 정의한 깔끔한 표현이었다. 다만 모두가 알고 있지만 차마 입 밖으로 낼 수 없었던 사실로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 표현을 보면서 뭔가 마음이 불편함을 느꼈다. 수련의가 지도교수들을 착취의 관리자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서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도제식 교육이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직업 중 하나가 의료계인데 이런 도제식 교육적 개념을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기술자는 교과서에

재테크

더보기

원달러 환율과 인플레이션

연고점을 경신하는 달러원 환율 원달러 환율(달러원 환율 같은 뜻이다)이 연고점을 연이어 경신하고 있다. 4월 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53.2원이었는데, 글을 쓰고 있는 4월 9일은 장중 1,355원까지 올랐다. 원달러 환율 상승이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천정이 뚫려있는 모양새다. 외환 당국이 방어를 하던 환율 박스권도 돌파된 상황이다. 환율이나 금리 같은 경제지표의 최신 가격을 단순히 지식으로 알고 있는 것과 환율 상승이나 금리 인하의 이유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과는 천지차이다. 그리고 올바른 해석을 바탕으로 실제 투자에 적용해 수익을 내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매크로 변화의 표면적인 이유를 겉핥기 하거나 뉴스에서 제공되는 뒷북 설명을 뒤따라가기도 바쁜 것이 현실이다. 필자는 2023년 초부터 일관되게 원달러 환율 강세를 대비한 달러화 자산의 중요성에 대해 본 칼럼과 유튜브를 통해 강조해왔다. 그리고 실제로 투자에 적용해 작년 초 미국주식, 미국채, 금, 비트코인 등 원화 약세를 헤징할 수 있는 달러화 표기 자산들을 전체 총자산의 80%까지 늘려 편입했으며, 원달러 환율 상승의 리스크 헤지는 물론 추가적인 수익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