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의원급 월매출 증가율 1위, 의과-서울, 치과-전북, 한의과-충남

URL복사

의원·치과 월매출은 중소도시가 상위권…한의원은‘대도시’압도적

2010·2015년 의과·치과·한의과 경영실태 분석③_ 광역시도별 매출 비교

의원급 월매출 증가율 1위, 의과-서울, 치과-전북, 한의과-충남

의원·치과 월매출은 중소도시가 상위권…한의원은‘대도시’압도적

 

대한민국에서 의사는 최고의 직종 중 하나다. 사회적 명성은 물론이고, 그에 따른 부까지도 축적할 수 있는 전문직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의대, 치대, 한의대는 대학입시에도 항상 상위 1%에 속하는 인재들이 앞 다퉈 지원하는 인기과다.
하지만 사회는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의사가 된다고 성공을 100% 확신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이러한 우려는 의료계 내부에서도 ‘의료인 과잉배출’이라는 이름으로 표출되고 있다.
수익으로 모든 것을 말할 수는 없지만, 의료기관의 경영상황을 분석하는 것은 우리나라 1차 의료기관의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간접 지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지는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의원, 치과의원, 한의원)의 매출과 순이익, 영업비용 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획기사를 연재한다. 광역시도별 의원급 의료기관의 수를 분석한 지난 호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광역시도별 의원·치과의원·한의원의 매출현황을 분석한다. 이번 기획기사는 의료인 과잉배출과 지역 간 의료공급의 불균형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통계청이 2010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는 경제총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2010년과 2015년 두 시기로 나눠 전국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의 매출을 분석할 계획이다. 참고로 2020년을 기준으로 한 경제총조사는 2022년께 발표될 예정이다.
분석에 사용될 각 지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매출액’은 급여와 비급여를 모두 포함한 의원급 의료기관의 총 매출을, ‘영업비용’은 임대료, 인건비, 각종 의료장비 및 재료 구입 등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데 사용된 모든 비용, 그리고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영업비용을 제외한 순이익을 뜻한다. 또한 치과의원 및 한의원과 달리 진료영역이 전문분과별로 나눠져 있는 의원의 경우 흔히 알고 있는 피부과의원, 성형외과의원, 이비인후과의원, 내과의원, 비뇨기과의원 등 의과의 모든 의원급 의료기관을 통칭한 지표다.  [편집자주]

 

의원 월평균 매출…2010년 1위 강원, 2015년 1위 서울

2010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의원의 월평균 매출에서는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2010년에는 중소도시가 강세를 보였고, 2015년에는 서울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먼저 2010년 의원의 월평균 매출을 살펴보면, 4,680만원을 기록한 강원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충남이 4,610만원으로 2위, 충북이 4,550만원으로 3위, 전북이 4,380만원으로 4위를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중소도시가 상위권을 모두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대도시로는 경기가 4,340만원으로 5위를 기록하며 그나마 체면을 차렸다. 대전과 울산은 각각 4,280만원과 4,260만원으로 7위와 8위를 기록하며 중위권을 형성했고, 부산과 광주는 4,220만원으로 공동 10위, 서울은 4,200만원으로 12위, 인천은 4,160만원으로 13위, 그리고 대구는 3,690만원으로 최하위에 랭크됐다.

 

2015년에는 서울의 강세가 눈에 띄었다. 2010년 12위에 랭크됐던 서울은 2015년 6,710만원의 월평균 매출을 기록하며 1위로 올라섰다. 6,600만원과 6,480만원의 월매출을 올린 충남과 충북이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하며 2010년 순위를 지켰다. 또한 2010년 중위권에 머물던 울산이 6,230만원으로 4위에 랭크되며 상위권에 진입했으며, 13위로 하위권을 형성했던 인천은 5,860만원을 기록하며 7위를 기록했다.

 

2010년 1위를 차지했던 강원은 2015년 5,610만원의 월매출을 기록하며 12위로 떨어졌고, 4위의 전북도 5,740만원으로 11위, 그리고 공동 10위를 기록했던 광주가 5,040만원으로 최하위로 떨어졌다. 2015년 처음 집계를 시작한 세종은 5,600만원의 월매출을 올리며 13위에 랭크됐다.

 

 

5년간의 변화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2010년과 2015년 사이의 증가율을 살펴보면, 서울이 59.6%의 증가율로 1위를 차지했다. 16위와 15위로 순위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3,690만원에서 5,400만원으로 약 1,700만원을 더 벌어들인 대구가 46.3%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46.1%의 증가율을 보인 울산이 3위, 43.3%의 충남이 4위, 42.5%의 충북이 5위에 랭크됐다.

 

부산은 36.1%의 증가율로 11위, 경남이 35.5%로 12위, 제주가 35.4%로 13위, 그리고 전북이 31.0%로 14위를 차지했다. 15위와 16위는 강원과 광주가 차지했는데, 증가율도 각각 20.0%와 19.5%에 머물며, 14위를 기록한 전북 보다 10% 포인트 이상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치과의원 월평균 매출, 서울·부산·광주·대구 등 대도시가 하위권

치과의원의 경우 의원과 마찬가지로 2010년 월매출 1위를 기록한 지역은 강원이었다. 강원지역 치과의원은 2010년 한 해 동안 월평균 4,050만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어 3,950만원을 기록한 경북이 2위, 3,830만원의 충남이 3위, 3,810만원의 충북이 4위, 그리고 3,780만원의 경남이 5위를 차지하며 상위권을 형성했다.

 

대전이 3,770만원으로 6위를 기록하며 중위권의 시작을 알렸고, 이어 인천이 3,720만원으로 7위, 울산이 3,610만원으로 8위, 경기가 3,540만원으로 9위, 전남이 3,500만원으로 10위를 기록했다. 서울, 부산, 광주, 대구 등의 대도시는 하위권을 면치 못했다. 먼저 부산이 3,460만원으로 11위를 차지했으며, 서울은 3,210만원으로 14위, 광주가 3,110만원으로 15위, 그리고 대구가 3,000만원으로 최하위를 차지했다.

 


2015년에는 상위권에서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2010년 1위를 차지했던 강원이 5,260만원을 기록하며 3위로 밀려났고, 2010년 4위를 차지했던 충북이 5,410만원을 기록하며 그 자리를 차지했다. 충남이 5,320만원으로 2위를, 그리고 전북과 대전이 각각 5,000만원을 기록하며 공동 4위를 차지했다.

 

2015년과 마찬가지로 △부산 13위(4,720만원) △대구 14위(4,390만원) △서울 15위(4,370만원) △광주 17위(4,180만원) 등의 대도시가 하위권을 형성했다. 특히 의원의 경우 2010년 12위를 기록하며 하위권을 형성했던 서울이 2015년 1위로 올라선 데 반해, 치과의원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감지할 수 없었다.

 

 

증가율에서는 2010년 12위에서 2015년 공동 4위로 8계단이나 뛰어오른 전북이 49.4%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으며, 대구가 46.5% 상승하며 2위를, 제주가 44.2%로 3위, 전남이 42.4%로 4위, 충북이 41.9%로 5위를 기록했다. 부산은 36.4%의 증가율을 보이며 8위를, 서울이 36.1%로 9위, 광주가 34.3%로 11위, 대전이 32.7%로 12위, 그리고 인천이 30.6%로 14위를 기록했다. 치과의원의 경우 19.9%로 최하위를 기록한 경북을 제외하고는 30~40%대의 고른 증가율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의원 월평균 매출, 경기 1위 비롯해 대도시 상위권 랭크

의원과 치과의원의 경우 대체로 서울, 부산, 광주, 대구, 경기 등 대도시의 매출이 저조했다면, 한의원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도시의 월매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2010년 한의원의 지역별 월매출을 살펴보면 2,260만원을 기록한 경기와 부산이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경남이 2,230만원으로 3위를, 서울과 제주가 2,170만원으로 공동 4위를 차지했다.

 

 

2,140만원을 기록한 울산이 6위를, 광주와 경북이 2,120만원으로 공동 7위, 인천이 2,110만원으로 9위, 그리고 대전과 충북이 2,009만원으로 공동 10위를 기록했다. 12위부터 16위까지의 하위권은 △충남(2,008만원) △강원(1,980만원) △전남(1,950만원) △대구(1,930만원) △전북(1,920만원) 순으로 구성됐다.

 

2010년과 마찬가지로 경기가 2015년에도 2,930만원의 월매출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어 6위를 기록했던 울산이 2,870만원의 월매출로 4계단이나 뛰어오르며 2위를, 서울이 2,850만원으로 3위, 인천이 2,840만원으로 4위, 그리고 충남이 2,810만원으로 5위를 기록했다.

 

 

2,740만원의 월매출을 기록한 부산이 6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2,730만원의 경남 △2,720만원의 광주 △2,710만원의 경북 △2,680만원의 충북과 대전 순으로 중위권을 형성했다. 최하위는 2,390만원의 월매출을 올린 제주가 차지했는데, 2010년 공동 4위에서 13계단이나 떨어진 수치다.

 

증가율에서는 2010년 12위를 기록했던 충남이 2015년 5위를 차지하며 35.2%의 증가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인천이 34.8%로 2위, 울산이 34.2%로 3위, 서울이 31.2%로 4위를 차지했으며,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킨 경기도가 29.7%로 5위권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반면 13계단이 떨어진 제주가 10.3%의 증가율로 최하위를, 공동 1위에서 6위로 하락한 부산이 21.2%의 증가율로 15위를 차지했다.

 

※ 다음 호에서는 이번 기획연재의 마지막 회차로 광역시도별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을 통해 어떤 종별의 의료기관이 가장 효율적인 경영을 했는지 살펴본다.

 

전영선 기자 ys@sda.or.kr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맞는 말이라도 항상 옳은 것만은 아니다
살다보면 맞는 말인데 옳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것들이 있다. ‘맞다·틀리다’는 참과 거짓을 나누는 명제로 객관적인 관점이고, ‘옳다·그르다’는 주관적 관점이기 때문이다. 객관적으로는 맞는 것이지만 주관적으로는 옳다고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 것이다. 옳고 그름에 대한 인식은 선거에서 보였듯이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다. 반대로 옳다고 하는 말이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자신이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시어머니 잔소리나 혹은 직장 상사나 선생님, 선배 혹은 부모가 될 수도 있다. 얼마 전 전공의대표가 대학 수련 병원 시스템을 이야기하면서 “의대 교수는 착취사슬 관리자, 병원은 문제 당사자”라고 표현하였다. 객관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대학병원 현 상태를 명쾌하게 한마디로 정의한 깔끔한 표현이었다. 다만 모두가 알고 있지만 차마 입 밖으로 낼 수 없었던 사실로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 표현을 보면서 뭔가 마음이 불편함을 느꼈다. 수련의가 지도교수들을 착취의 관리자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서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도제식 교육이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직업 중 하나가 의료계인데 이런 도제식 교육적 개념을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기술자는 교과서에

재테크

더보기

원달러 환율과 인플레이션

연고점을 경신하는 달러원 환율 원달러 환율(달러원 환율 같은 뜻이다)이 연고점을 연이어 경신하고 있다. 4월 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53.2원이었는데, 글을 쓰고 있는 4월 9일은 장중 1,355원까지 올랐다. 원달러 환율 상승이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천정이 뚫려있는 모양새다. 외환 당국이 방어를 하던 환율 박스권도 돌파된 상황이다. 환율이나 금리 같은 경제지표의 최신 가격을 단순히 지식으로 알고 있는 것과 환율 상승이나 금리 인하의 이유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과는 천지차이다. 그리고 올바른 해석을 바탕으로 실제 투자에 적용해 수익을 내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매크로 변화의 표면적인 이유를 겉핥기 하거나 뉴스에서 제공되는 뒷북 설명을 뒤따라가기도 바쁜 것이 현실이다. 필자는 2023년 초부터 일관되게 원달러 환율 강세를 대비한 달러화 자산의 중요성에 대해 본 칼럼과 유튜브를 통해 강조해왔다. 그리고 실제로 투자에 적용해 작년 초 미국주식, 미국채, 금, 비트코인 등 원화 약세를 헤징할 수 있는 달러화 표기 자산들을 전체 총자산의 80%까지 늘려 편입했으며, 원달러 환율 상승의 리스크 헤지는 물론 추가적인 수익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