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제19회 2025 DV Conference가 오는 2월 15일과 16일 양일간 코엑스 컨퍼런스룸 4층에서 개최된다. 제19회 DV Conference는 DVmall을 통해 사전등록을 할 수 있다. 다음은 DV Conference 정현성 학술위원장(서울퍼스트치과)과의 인터뷰 전문이다.
메인 타이틀이 ‘신뢰’다. 이번 주제를 선정하게 된 계기는?
신흥이 올해 창립 70주년을 맞는다. DV Conference도 내년이면 20주년이 된다. 이렇게 롱런할 수 있었던 것은 서로의 신뢰가 있었기 때문이다. 메인 주제인 ‘신뢰’를 강연에서도 담아내기 위해 환자와 치과의사간 신뢰가 있어야만 가능한 재치료와 재보철 등을 이번 DV Conference에 포함시켰다.
DV Conference 준비 과정을 소개한다면…
7명의 학술위원이 약 6개월 간 잦은 회의와 연락을 통해 슬로건을 정하고 강연 주제를 구성한다. 연초에 진행되는 학술대회라 해외 컨퍼런스 참여 등으로 연자 섭외가 쉽지 않다. 섭외 후에도 슬로건에 맞춰 강연을 구성하다 보니 연자들에 대한 요청사항이 많을 수밖에 없다. 메인토픽 뿐 아니라 서브토픽까지 연자들과 협의하고 있어 좀 더 짜임새 있는 구성이 가능한 것 같다.
특히 DV Conference의 초록집이 알찬 것으로 유명하다. 초록집에는 임상강연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Take Home Message도 포함돼 있다. 사전에 어떤 강연인지 소개하는 미리보기도 요청하고, 질의응답 내용도 다양하게 논의한다. 이러한 디테일이 켜켜이 쌓여 DV Conference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가장 추천하는 강연은 무엇인가?
DV Conference는 임플란트 강연을 적게 한 편이라 김현종 원장의 강연이 가장 궁금하다. 샤인학술상 수상자는 차기 DV Conference에 연자로 초빙되는데, 자타공인 임플란트 대가인 김현종 원장이 제12회 샤인학술상을 받게 되면서 그때부터 임플란트 강연에 대한 욕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번 김현종 원장의 강연에서는 최신 임플란트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5가지 난제를 다룰 예정이다. 5가지 토픽은 개원 5~10년 차 치과의사들이 궁금할만한 내용으로 정했다. 해당 연차가 임플란트에 대한 경험이 있으면서도 Long-term 결과나 식립 후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고민이 많아지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구성도 특이한 방식으로 준비했다. 김현종 원장과 조영단 교수가 각 주제에 대해 발표하고 짤막한 토론을 하는 방식으로 강연을 이끌어갈 예정이다. 두 연자가 연배 차이가 조금 있어 자칫 강연이 지루해질까 걱정했는데, 상당히 치열한 토론이 이뤄지는 걸 보고 굉장히 흥미로웠다. 임플란트에 대한 뚜렷한 식견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라 자부한다.
DV Conference의 강점은?
DV Conference는 ‘듣고 싶은 학술대회’로 자리 잡은 것이 가장 큰 강점이라 생각한다. 앞서 성무경 원장과 이학철 원장이 학술위원장을 맡았던 축적된 경험도 강점이다. 저 역시도 9회부터 올해까지 11년 째 학술위원, 학술위원장으로 활동하다보니 청중들이 궁금해할만한 점을 캐치하는 노하우가 생겼다. 눈이 즐거운 초록도 큰 강점이 아닐까 싶다. 강연이 종료된 후 강연 중 궁금한 부분을 취합해 연자들에게 전달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받아 공유한다. 이러한 DV Conference의 방식도 임상의들에게 높은 신뢰와 만족감을 제공하는 것 같다.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DV Conference가 19년간 지켜온 모토는 ‘청중들이 오늘 배워서 내일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스킬을 알려주는 것’이다. 치료에 전념하지 않고 덤핑과 과대광고에만 몰두하다 환자들과의 신뢰를 깨트려버리는 일부 치과들을 보면 굉장히 아쉽다. 그런 측면에서 DV Conference에서는 기본에 충실해 임상적인 소양을 높이고 환자들에게 정말로 필요한 치과의사가 될 수 있는 장기적 안목의 강연을 준비했다. DV Conference가 치과의사 보수교육점수가 없음에도 많이 찾아주는 것은 신흥의 전폭적인 지지와 더불어 짜임새 있는 학술강연에 대한 믿음이라고 생각한다. 올해도 DV Conference가 청중들에게 신뢰를 얻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