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하나씩 사라지고 있다

URL복사

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이야기(714)

지난 일요일 마포에 위치한 사찰을 다녀오면서 마포에 가면 항상 들르는 가든호텔 뒤편에 위치한 족발집을 찾았으나 보이지 않았다. 오랜만에 방문해 위치를 못 찾는 것이라 생각하고 인근 철물점에 물어보았다. 식당은 예전에 운영하시던 부모님이 노환으로 일을 못하게 됐고, 자식들이 식당을 원하지 않아서 없어진 지 몇 년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예전 주인의 손맛을 더이상 맛볼 수 없는 것과 필자의 추억들이 사라지는 것에 대한 아쉬움을 남기고 되돌아왔다.

 

서울서 60여년을 살다 보니 가끔 한 번씩 들르는, 지역마다 찾아가보는 필자만의 맛집이 있다. 공덕동 시장통에 선지해장국집, 위생병원 앞 막국수집, 을지로 2가 냉면집, 신사동에 아구찜, 건대 앞 칼국수집과 순대국집, 송파구청에 곱창집, 용두동 삼합집, 마장동에 닭곰탕 기사식당 등 허름해도 장인의 손맛을 느낄 수 있는 곳들이다. 그중 한 곳이 사라졌다. 이런 오래된 식당(노포)이 사라지는 것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미 일본에서 시작된 일이다. 일본에서 3대에 걸쳐 100년 된 소바가게가 문을 닫으면서 일본의 장인 정신이 사라지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은 지 오래다. 코로나 시절에는 8대에 걸쳐 대를 이어 운영하던 231년 된 노포가 폐업하기도 했다. 일본엔 100년 이상 된 노포가 2018년에 약 2만8,000여 곳 정도였다. 1000년 이상 된 곳도 8곳이나 있었다. 이런 일본에서 노포들이 지속적으로 사라지고 있다.

 

130년 된 노포 료칸 ‘하케이테이(八景亭)’는 생선 요리를 맛볼 수 있는 요리 료칸으로 유명했으나 7년 전 폐업했다. 후계자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3대째인 대표가 운영하다 병으로 쓰러진 후 후계자를 구했지만 음식 맛을 잇겠다는 사람이 나서지 않았다. 두 명의 자녀가 있었지만 아버지의 뒤를 이을 생각은 없었다. 부인은 주위에 피해를 주기 싫다면서 폐업을 결정했다. 시에서는 그 건물을 보존 수리해 유적지로 보존했다. 결국 마포 족발집과 같은 이유였다. 작게는 가족들의 문제로 보이지만 사실은 사회적으로 저출산·고령화가 근본 원인이다.

 

이미 일본은 우리보다 먼저 40여 년 전 저출산과 고령화에 진입했다. 일본에서 수십 년 전에 시작된 문제가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시작된 것이다. 저출산에 의한 소수의 자녀들은 아무리 전통과 장인의 가게라고 해도 이어받을 생각이 전혀 없다. 몇 가지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가장 안타깝고 슬픈 이유로 부모가 그동안 모은 돈으로 잘 먹고 잘살 수 있으니 굳이 고생하면서 일하기 싫은 것이다. 다음은 식당과 같이 노동을 요하는 직업을 회피해서다. 마지막은 그나마 바람직한 것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서다. 이런 이유로 흑자에도 불구하고 노포들이 문을 닫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물론 소비자의 기호나 시대의 변화에 밀려 사라진 경우도 많았다.

 

요즘 우리 사회에서 2·30대 중 50만명이 전혀 일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건설 노동 현장에는 대다수가 외국인 노동자들이 된 지 오래다. 3D업종에 종사하려는 젊은이들은 이제 없다. 최근 요리사가 각광받고 있지만 오래된 족발집을 물려받는 것이 아니라 폼나는 셰프가 되고자 한다. 이런 풍토가 부모 직업이 폼나지 않으면 물려받지 않는 것은 이제 당연하다. 물려받아도 자신이 직접 만들지 않고 전문 요리사를 고용하면 아쉽게도 옛 맛이 사라진다. 이렇게 자식들이 운영하면서 필자의 맛집이 사라진 곳도 몇 군데가 있다.

 

디지털시대에 아날로그의 향수가 사라지듯이 그렇게 향수의 맛집 또한 사라지고 있다. 요즘은 사찰을 가도 예전의 고즈넉함의 정취가 사라진 곳이 많다. 중국풍의 어수선함으로 장식된 곳이 증가하면서 안타까움과 아쉬움이 많았다. 결국 이 또한 시대의 흐름으로 받아들여야 하지만 마포 족발집처럼 필자의 아날로그적 향수가 하나둘씩 사라지는 것이 그립고도 아쉽다. 사실 필자는 족발을 좋아하지 않았다. 장충동 족발은 너무 부드럽고 아니면 너무 퍽퍽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맛본 것이 마포 족발이었고 유일하게 먹는 족발이었다. 이제 필자가 족발을 먹을 일 또한 없을 것이 아쉽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7월,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를 위한 자산배분 전략

2025년 7월 3일, 미국 증시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새로운 투자 국면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4월 이후 역대급의 V자 반등이 나타나면서 주식시장 상승에 따른 투자자들의 관심 역시 크게 높아졌다. 특히 이제 막 투자를 시작하거나 자산배분을 고민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앞으로의 시장 방향성에 대한 기대와 불확실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는 시점이다. 자산배분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투자 전략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위험자산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자산배분을 어떻게 시작할지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칼럼에서는 2025년 7월의 금리 사이클과 현재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처음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하는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포트폴리오의 목표 비중을 설정하는 일이다. 이는 금리 사이클의 흐름을 이해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자산 비중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필자는 과거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 사이 비중을 축소하고, 이후 2020년 4월부터 하반기까지 다시 비중을 확대해 코로나19 위기 상황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