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신문 논단] 이태원 참사로 본 우리 사회의 자화상

URL복사

양영태 논설위원

지난달 마지막 주말의 밤은 매우 잔인했다. 이태원에서 벌어진 끔찍한 사고는 전 국민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줬다. 매시간 들려오는 뉴스는 고통의 연속이었고, 칼로 가슴을 베이는 듯한 아픔을 느껴야만 했다. 300명이 넘는 사상자, 무엇이 잘못된 걸까?

 

사고 직후 정부는 지난 5일까지 추모 기간을 지정, 정쟁을 자제하고 고인들의 명복을 빌자고 했다. 한편에서는 사고의 원인부터 크라우드 매니지먼트(crowd management·군중 관리) 시스템의 부재, 다수의 신고전화에도 이를 방치한 문제 등을 찾고 있다. 물론 사고 원인과 재발방지책은 반드시 찾아야 한다. 지휘체계에 문제가 있었다면 이 또한 책임여부를 철저히 따져 그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한다.

 

그렇다고 하늘로 간 이들이 다시 돌아오진 않겠지만, 8년 전에도 10대들이 대형참사를 겪었던 일을 생각하면 되풀이되는 이런 대형 사고는 분명 정부와 정치인들의 잘못이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또한 우리 의료인들의 책임도 적지 않을 것이다. 정부나 정치권이 제대로 된 시스템을 마련했는지 함께 검토해 보고 부족할 경우 적극적인 개입으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뒤늦은 자책도 해 본다.

 

이태원과 유사한 국내 압사사고 사례를 보면 △1959년 부산 공설운동장 시민 위안잔치에서 67명 압사 △1960년 서울역 계단 압사사고로 31명 사망·49명 부상 △1980년 부산 용호국민학교에서 1,000여명의 학생들이 계단에서 넘어지며 5명 사망·18명 부상 △1992년 ‘뉴키즈 온 더 블록’ 공연 도중 고교생 1명 사망·50여명 실신 △1996년 대구MBC ‘별이 빛나는 밤에’ 공개방송에서 학생 2명 압사 △2001년 가수 클릭B 사무실 앞에서 10대 팬들이 몰려 1명 압사 △2005년 상주 MBC가요콘서트 압사사고로 11명 사망·70명 부상 그리고 이번 이태원 참사로 158명 사망·196명 부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밖에 1990년 이후 30여년간 100명 이상 사망자를 낸 재난사고로는 1993년 서해 훼리호 침몰로 292명 사망, 70명 실종, 1995년 대구지하철 가스폭발사고로 101명 사망 202명 부상,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로 502명 사망 937명 중경상 6명 실종, 1997년 괌에서 대한항공 추락사고로 225명 사망, 2003년 대구지하철 방화로 192명 사망, 148명 부상, 2014년 세월호 참사로 299명 사망, 5명 실종 등이 있다.

 

대략 3~4년에 한번씩 수십명에서 수백명이 대형사고로 생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나 정치권은 이럴 때마다 대국민 사과와 함께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였다. 정치권은 각 사건을 상호 공격의 재료로 삼아 정치적 이득만 챙기려 했다. 여야 모두의 잘못이라는 생각은 전혀 하지 않는 것 같다. 어느 정권이든 대형사고가 없던 적은 없기 때문에 여야 모두 국민 앞에서는 죄인이므로, 모두 조용히 자숙하길 바란다.

 

이태원 참사가 세계 압사사건 중 10위를 차지했다. 앞서 국내서 압사사고가 발생한 바 있고, 해외에서도 스포츠 경기나 종교행사 중 일어난 압사사고를 목격해왔다면, 정부는 이를 분석해 재난방지 시스템을 미리 구축해 놨어야 했다. 수백명의 자국민 희생이 있고 나서야 정신을 차릴 것인가? 희생자가 생긴 후에야 “다시는 이런 일을 되풀이 하지..”라는 말이 더 이상 들리지 않는 세상에 살고 싶다.

 

정부와 정치권은 지금이라도 세밀한 재난방지 시스템을 만들기 바란다. 이번 이태원 참사와 같은 사회재난은 자연재난과 달라 촘촘한 안전망을 마련하면 재난 제로까지 도전할 수 있다. 물론 대책 마련 시 의료계와도 연계할 필요가 있다. 재난 사고의 최종 결정지는 응급의료이기 때문이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9월 S&P500 자산배분 전략 | 금리인하 사이클과 조정 신호

2025년 9월, 미국 증시는 다시 한 번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대표 지수인 S&P500 역시 단기적 반등과 조정 사이에서 고점을 조금씩 높여가며 불안정한 균형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기일수록 자산배분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단순히 마켓 타이밍을 맞추려는 시도가 아니라, 거시적 흐름 속에서 각 자산이 어떤 위치에 있으며 어떤 비중을 가져가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냉정하게 판단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자산배분 전략은 특정 종목에 집중하거나 단기 매매로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행위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그 핵심은 금리 사이클, 유동성 흐름, 투자 심리와 같은 거시적 요인 속에서 장기적인 위험을 관리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틀이 바로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이다. 금리 인상과 인하, 경제위기와 회복이라는 순환 과정 속에서 자산은 서로 다른 성과를 보여 왔으며, 투자자는 각 국면에서 불리한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앞으로 유리해질 자산을 선제적으로 편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시장은 금리인하 사이클의 B에서 C로 넘어가는 후반부에 놓여 있다. 연준은 2023년 7월 금리 고점(A)을 기록한 이후 202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