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지난 10년 월매출 증가 1위 지역, 치과는 전북-의원은 서울

URL복사

[연속기획] 2010~2020년 의원·치과의원·한의원 경영실태 분석 ②광역시도별 매출
치과의원 월매출 강원>충남>충북>전남>전북 순…중소도시 압도적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이번호는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의 경영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획연재 ‘2010~2020년 의원·치과의원·한의원 경영실태 분석’의 두 번째 시간으로 광역시도별 의원급 의료기관의 매출을 분석한다.

 

분석대상은 5년마다 발표되는 통계청 경제총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광역시도별 의원급 의료기관의 매출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에서 언급될 ‘매출액’은 급여와 비급여를 모두 포함한 의원급 의료기관의 총 매출을 가리킨다. 또한 치과의원 및 한의원과 달리 진료영역이 전문분과별로 나눠져 있는 일반의원의 경우 흔히 알고 있는 피부과의원, 성형외과의원, 이비인후과의원, 내과의원 등 의과의 모든 의원급 의료기관을 통칭한 지표다.

 

 

 

 

 

 

 

 

 

 

 

 

 

 

 

 

의원, 10년간 월평균 매출 증가율 1위 ‘서울’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일반의원의 월평균 매출에서는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2010년에는 중소도시가 강세를 보였고, 2020년에는 서울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먼저 2010년 의원의 월평균 매출을 살펴보면, 4,676만원을 기록한 강원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충남이 4,606만원으로 2위, 충북이 4,546만원으로 3위, 전북이 4,379만원으로 4위를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중소도시가 상위권을 모두 차지했다.

 

2020년에는 서울의 강세가 눈에 띄었다. 2010년 4,205만원으로 12위에 랭크됐던 서울은 2020년 8,818만원의 월평균 매출을 기록하며 1위로 올라섰다. 8,245만원과 8,124만원의 월매출을 올린 충남과 충북이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하며 2010년의 순위를 지켰다. 또한 2010년 4,159만원으로 13위를 기록했던 인천이 7,808만원의 월매출로 4위로 올라섰으며, 7,612만원의 경기가 2010년과 동일한 순위인 5위를 기록했다.

 

10년간의 변화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2010년과 2020년 사이의 증가율을 살펴보면, 서울이 109.7%의 증가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대구가 97.1%의 증가율로 2위, 인천이 87.7%의 증가율로 3위에 이름을 올리며 광역시급 대도시의 월매출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경기, 대전, 부산, 울산 등의 대도시가 7위부터 10위까지 나란히 차지하며 중위권을 형성했으며, 광역시급에서 65.8%의 증가율을 보인 광주가 14위에 랭크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치과의원 월평균 매출 증가율 1위는 ‘전북’

광주·서울·경기·인천 등 대도시 중하위권

치과의원의 경우 일반의원과 마찬가지로 2010년 월매출 1위를 기록한 지역은 강원이었다. 강원지역 치과의원은 2010년 한 해 동안 월평균 4,052만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어 3,949만원을 기록한 경북이 2위, 3,831만원의 충남이 3위, 3,812만원의 충북이 4위, 그리고 3,781만원의 경남이 5위를 차지하며 상위권을 형성했다.

 

대전이 3,772만원으로 6위를 기록하며 중위권의 시작을 알렸고, 이어 인천이 3,723만원으로 7위, 울산이 3,613만원으로 8위, 경기가 3,535만원으로 9위, 전남이 3,497만원으로 10위를 기록했다. 서울, 부산, 광주, 대구 등의 대도시는 하위권을 면치 못했다. 먼저 부산이 3,462만원으로 11위를 차지했으며, 서울은 3,208만원으로 14위, 광주가 3,111만원으로 15위, 그리고 대구가 2,997만원으로 최하위를 차지했다.

 

10년 지난 2020년에도 중소도시의 강세와 대도시의 약세 기조는 계속됐다. 2010년 1위를 차지했던 강원이 6,543만원으로 1위를 유지했으며, 6,446만원의 충남이 2위, 6,287만원의 충북이 3위를 차지했다.

 

2010년과 마찬가지로 △부산 13위(5,519만원) △대구 14위(5,262만원) △서울 15위(5,253만원) △광주 16위(5,098만원) 등 대도시가 하위권을 형성했다. 특히 의원의 경우 2010년 12위를 기록하며 하위권을 형성했던 서울이 2020년 1위로 올라선 데 반해, 치과의원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감지할 수 없었다.

 

증가율에서는 2010년 12위에서 2020년 5위로 뛰어오른 전북이 85.2%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전남이 79.4%로 2위, 제주가 76.3%로 3위를 각각 기록했다. 7위의 광주(63.8%)를 비롯해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등 광역시급 대도시들은 대부분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한의원, 인천·경기·서울 등 상위권

일반의원과 치과의원의 경우 광역시급 대도시의 매출이 저조했다면, 한의원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도시의 월평균 매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2010년 한의원의 지역별 월평균 매출은 2,259만원을 기록한 부산이 1위를 차지했으며, 2,256만원의 경기가 근소한 차이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경남이 2,229만원으로 3위, 서울이 2,175만원으로 4위를 차지했다.

 

2020년에는 2010년 2,109만원으로 9위를 기록했던 인천이 3,220만원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어 3,074만원의 경기가 2위를 기록하며 2010년의 순위를 유지했으며, 서울은 3,046만원으로 한 계단 오르며 3위를 차지했다.

 

증가율에서는 2010년 1,915만원으로 16위를 기록했던 전북이 2020년 2,944만원으로 4위를 차지하며 53.7%의 증가율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52.7%의 증가율을 보인 인천이 2위를 기록했다. 반면 2010년 월평균 매출 5위에서 2020년 15위까지 떨어진 제주가 19.4%의 증가율로 15위, 그리고 7위에서 16위로 떨어진 광주가 19.0%의 증가율로 최하위를 차지했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부족한 필수의약품 성분명 처방 강제?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성분명 처방 법안 발의에 의사단체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지난 9월 2일 장종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대표 발의한 ‘약사법-의료법 개정안’은 민관협의체에서 수급 불안정 의약품을 지정해 성분명 처방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이를 따르지 않으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강제조항도 포함됐다. 이에 서울시의사회(회장 황규석)는 지난 9월 26일 서울시의사회관에서 성분명 처방에 반대하는 대표자 궐기대회를 개최했다. 100여명이 참석한 궐기대회에서는 성분명 처방 강제 법안의 부당성을 알리고 법안 철회를 촉구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의료인 탄압이자 직역 모독”이라면서 해당 법안이 의사의 전문적 판단권을 침해하고, 환자 안전을 위협하며, 의약분업 근간을 훼손하고 의료현장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참석자들은 △타이레놀 처방하면 징역살이 웬말이냐 △환자 안전 위협하는 성분명 처방 철회하라 △성분명 처방 논의 전에 의약품 수급 해결하라 등의 피켓을 들어올렸다. 서울시의사회 황규석 회장은 “참담한 현실 속에서 새로운 방식의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다”며 “오늘부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10월, 자산배분으로 읽는 미국 증시의 향방

2025년 10월, 투자자들의 시선은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는 미국 증시로 향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대표 지수인 S&P500과 나스닥100은 여전히 세계 금융시장의 바로미터로서 기능하며, 국내 투자자들의 자산배분 전략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번 칼럼에서는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과 금리 사이클, 그리고 투자심리를 보여주는 공포·탐욕 지수를 중심으로 현 시점의 시장 위치를 진단하고, 자산배분 투자자가 취할 수 있는 전략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기준금리 사이클의 흐름을 살펴보자. 2023년 8월 미국 연준은 마지막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금리고점(A)을 형성했다. 이어 2024년 9월 첫 번째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서 사이클은 B 구간으로 진입했고, 같은 해 12월 FOMC에서 추가 인하가 단행된 뒤 연준은 금리를 동결해왔다. 그러다 2025년 9월, 연준은 본격적인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보다는 예방적 성격의 ‘보험성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이는 금리 사이클상 자산시장이 C 구간에 점차 근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다.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에 비춰 보면 현재는 B~C 구간의 최후반부에 해당하며, 전통적으로 위험자산의 마지막 랠리가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