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구강검진을 두고 일선 개원의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다.
A구회는 최근 모 초등학교 측과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았다. ‘갑을관계’ 운운하며 “방학 중이 아니면 안 된다”고 일방적인 일정을 강요하던 보건교사는 구회 측이 배정해준 네 곳의 치과가 난색을 표하자 “다른 구에도 있어봤지만 이렇게 말이 안 통하는 곳은 처음이다”, “학생 한 명당 2~3분이 고작이면서 시간이 없다니 말이 되느냐”, “우리가 돈을 벌게 해줬으면 성의를 보여야 하는 것 아니냐” 등 막말을 퍼부었다. “진료거부로 고발하겠다”는 말도 서슴지 않았다.
네 곳 치과를 대표해 의견 조율에 나섰던 B원장은 “물론 무료진료는 아니지만 국민구강건강증진의 일익을 담당한다는 책임감을 갖고 있었는데 학교에서는 본인들의 일정과 조건만을 강요하고, 학생 및 보호자의 만족도도 낮은데다, 기존 환자들도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등 불편을 겪게 돼 여기저기서 불만만 쏟아지니 ‘삼중고’가 따로 없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물론 학교 측과 좋은 관계를 맺고 원활하게 검진을 진행하는 경우도 많지만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비난은 비난대로 받는 ‘샌드백’이 되는 경우도 적지 않으니 구회나 지부 쪽에서 관심을 갖고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주면 좋겠다”는 바람도 전했다.
C구회의 D원장도 비슷한 상황을 겪었다고 했다. D원장은 “구강검진의 본 취지는 온 데 간 데 없고 ‘5,950원 곱하기 몇 명’이라는 이해타산에 얽혀 갑과 을만 따지니 좋은 방향으로 진행이 될 수 있겠느냐”며 분통을 터트렸다.
“수가 자체에는 불만이 없지만 검진 일정이나 운영을 학교 측 자율에 맡기는 시스템은 불만이다”며 “학교와 병원 간 협력관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치과 쪽에도 일정 부분 주도권을 주고, 반드시 몇 차례의 회의를 거치도록 지침을 마련해 잡음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또 다른 E원장은 “안정기에 접어들 참이면 보건교사가 바뀌는 점도 문제”라며 “하다못해 정해진 계약서 양식이라도 있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새로운 수익구조 창출의 기대가 무너진 데 대한 실망감이 불만으로 번지는 경우도 많았다. F구회의 G원장은 “검진을 받는 모든 학생들이 본인의 환자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낮추고, 소재한 지역의 특성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홍혜미 기자/hhm@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