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편집인칼럼

[치과신문 편집인 칼럼] 서로 배려하고 사랑하기에도 찰나(刹那)의 시간이다

URL복사

최성호 편집인

칼세이건(Carl Sagan)은 1934년 미국 브루클린에서 출생한 천문학 박사이자 천체물리학자다. 칼 세이건은 행성 표면과 대기상태, 외계생명체 존재 가능성 등을 비롯해 태양계의 다양한 측면을 연구했고 우주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1973년 ‘우주와의 접촉’ 책이 출간되면서 명쾌한 서술로 명성을 얻었다. 1980년에 방영된 ‘코스모스’ 프로의 공동제작자이자 해설자로 활동하였는데 전 세계 7억 5,000만명이 시청한 인기 다큐였다. 이후 칼 세이건은 프로그램 내용을 ‘코스모스’라는 책으로 집필했고 많은 사람에게 우주란 무엇인지 어렵지 않게 알려 대중화에 힘썼다. 과학 도서 중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이 읽은 책이 바로 ‘코스모스’일 것이다.

 

멀리서 찍힌 푸른 지구별 사진은 익히 알고 있다.

 

칼 세이건은 푸른 지구별만큼 인간의 자만이 어리석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것은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푸른 지구별은 우리가 서로 친절하게 대해야 하고, 유일한 보금자리를 소중히 보존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는 점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지구가 우리의 고향이고, 우리가 사랑하는 모든 이들이 삶을 영위하는 그곳이다.

 

지구 위에서 유사 이래 모든 문명의 창조자와 파괴자, 모든 영웅과 겁쟁이, 모든 왕좌와 농부, 사랑에 빠진 모든 연인들, 모든 위대한 지도자, 모든 어머니와 아버지가 태양 빛에 부유하는 먼지 티끌처럼 살다가 사라진 것이다.

 

이러한 지구도 우주라는 거대한 극장에서는 극히 작은 무대일 뿐이다. 역사적으로 모든 정복자가 찰나 동안 파란 지구의 점 일부분을 지배하려 했던 까닭에 수많은 사람이 얼마나 많은 피를 흘러야 했나. 지구의 한 점인 극히 일부를 점유했던 주민들이 다른 영역의 사람에게 얼마나 많은 잔혹한 행위를 저질렀는지, 얼마나 자주 불화를 일으켰으며 얼마나 서로를 죽이고 싶어했고 얼마나 서로를 열렬히 증오했는지를 잘 생각해 보자. 우리의 만용, 자만심 그리고 우리가 우주 속의 특별한 존재라는 착각에 대해서 잘 생각해 보자.

 

만일 지구에서 바라보는 일곱 개의 별이 만들어낸 북두칠성을 태양에서 훨씬 멀리 떨어진 다른 행성에서 바라본다면 전혀 다른 별자리 모양이 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별을 바라보는 위치가 변함에 따라 같은 별들이 이루게 되는 별자리 모양이 달라지는 것이다. 지금 내가 보고 있고, 믿고 있는 것이 다른 시각에서 보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은 서로 밀접하게 얽혀 있다. 별 또한 인간들처럼 태어나고 성장하고 결국 죽어 사라진다. 인간의 수명이 100년이 안 되는 데 비하여 별의 수명은 인간의 수억 배나 된다. 별의 일생에 비한다면 인간의일생은 찰나이다. 그렇다면 별의 눈으로 본 인간의 삶은 어떨까? 광활한 우주에 비하면 작은 공만한 지구 안에서 10억분의 1도 안 되는 짧은 시간동안만 반짝하고 사라지면서 그렇게 대립하고 증오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지금 우리는 갈등의 시대에 살고 있다. 언어는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라는데 나와 다른 사람을 혐오하는 신조어가 넘쳐난다. 표를 얻기 위해서라면 뭐든 하는 사람들은 갈라치기 정책으로 우리 사회를 두 개로 쪼갰다. 우리는 어쩌다 이렇게 서로를 극도로 경멸하게 되었을까?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아전인수식 법 해석이 남발되며 우리 사회근간인 법치주의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 또한 커지고 있다. 법치주의를 지탱하는 권력자와 정치인, 수사기관까지 입맛에 따라 각기 다른 잣대를 들이대며 격돌하는 양상이다. 이제는 무의미한 논란을 종식하고, 사회를 갈라치기하는 정치적 선동을 멈춰야 할 때다. 법과 원칙, 공권력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사회가 망하는 건 한순간이다.

 

이 푸른 지구별 작은 행성이 수많은 전쟁과 배신, 대립이 난무하는 각축장이지만 우주에서는 하나의 점일 뿐이자 먼지에 불과하다는 것을 잊지 말자. 서로를 배려하고 사랑하기에도 찰나의 시간이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8월 원달러 환율과 금리사이클 전망

2025년 8월, 원·달러 환율은 글로벌 경제 구조 변화와 금리사이클이 맞물리는 변곡점에 서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 금리사이클, 그리고 과거 금리사이클 프랙탈 분석을 토대로 환율의 큰 흐름을 정리하고, 주기적 자산배분 관점에서 실천 가능한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으로 본 금리사이클 국면 자산배분의 핵심은 ‘현재 기준금리 국면을 파악하고 앞으로 유리해질 자산을 미리 담고, 불리해질 자산은 미리 줄이는’ 정기적인 리밸런싱을 통해 저가매수 고가매도를 반복하는 것이다.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으로 8월 12일 현재 위치를 점검하면, 시장은 B~C 구간의 말미에 가깝다. 과거 프랙탈에 비춰보면 C 이벤트가 2025년 4분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구간에서 위험자산은 종종 마지막 신고가 랠리를 보이지만, 직후 큰 조정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1998년 외환위기,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팬데믹 초기처럼 위기의 형태는 매번 달랐으나, 공통적으로 경제위기 시기에는 원화 약세가 심화되며 환율이 급등하고, 안전자산(금·달러·미국채)이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 다만 이번 사이클은 인플레이션 압력과 장기 역배열의 여파로 미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