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단국대학교 치과대학(학장 고선일)이 주최하고,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동창회(회장 양재영)가 후원하는 학술대회가 오는 11월 3일 SETEC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치과임상 가득한 단아인 학술대회’를 대주제로, 개원의들의 요구와 눈높이에 맞춘 다채로운 강연으로 찾아온다. 컨벤션홀에서는 오전 9시 30분 송영균 교수(단국치대)의 ‘Denture, 쪼개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강연을 시작으로, 장원건 원장(마일스톤즈치과)의 ‘교합과 관련하여 그동안 받은 다양한 질문에 대한 대답’, 조상훈 원장(조은턱치과)의 ‘잃어버린 교합을 찾아서:Ortho gnathic Treatment’, 김남윤 원장(김남윤치주과치과)의 ‘Implant complication의 예방과 처치’ 강연이 진행된다. 오후에는 △Preformed matrix band(Signet)를 이용한 빠르고 정확한 전치부 정중이개 레진 충전(조상호 원장·수성아트라인치과) △지르코니아 크라운 프렙 시 고려 사항(오상훈 원장·전주하루안치과) △진료실에서 통하는 vital pulp therapy(라성호 원장·서울미소치과) 강연이 이어진다. 2강의실에서는 김욱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서울시치과의사회(회장 강현구·이하 서울지부) 창립100주년기념사업준비위원회(위원장 신동열·이하 100주년준비위)가 지난 9월 9일 제4차 위원회를 개최했다. 내년 역사적인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는 서울지부는 100년의 역사를 통찰하고 그 우수성을 대내외에 알리고 기념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기념 엠블럼과 슬로건을 확정된 가운데 2024년 구강보건의 날 캐릭터 공모전에서 선정된 ‘건토’ 캐릭터를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100주년’을 다함께 기념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2025년 개최되는 서울지부 주요행사는 ‘100주년 기념’으로 통일되며, 100주년을 상징하는 엠블럼과 캐릭터 등을 기념품 및 굿즈로 제작해 회원과 함께 하는 구강보건의 날, SIDEX 등 주요행사에 활용하기로 했다. SIDEX 2025 기간 중 ‘창립 100주년 기념 서울나이트’로 기념식을 준비하고, 히스토리 월을 만들어 서울지부 100년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준비에 착수했다. 또한 대내외 기관 등에 창립 100주년의 의미를 홍보할 수 있도록 리플릿을 제작키로 하고 시안을 검토했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턱관절교합학회 영남지부(회장 공정욱)가 오는 9월 27일 학술집담회를 개최한다. 경북대학교치과대학 니사금홀에서 진행되는 이번 학술집담회는 오후 7시 30분 시작된다. 이소현 교수(부산치대 치과보철과)의 ‘The Importance of Occlusal Plane Transfer and Clinical Tips for Analog and Digital Methods’ 강연을 시작으로, 송주헌 교수(조선치대 치과보철과)의 ‘석고 모형과 스캔 파일에서 교합채득법의 차이’ 강연으로 구성된다. 치과의사 보수교육점수 2점이 인정되는 강연으로, 사전등록은 9월 26일까지 가능하다. 특히 참가자들에게는 네오바이오텍의 임플란트 결합 강도 측정기 AnyCheck, 오스템 임플란트 토크 드라이버, 덴티움 골이식재 및 멤브레인, 신세계 상품권, 고급 칫솔 세트 등 다양한 경품을 제공한다는 게 학회 측의 설명이다. 교합학회 회비를 완납한 정회원은 무료, 비회원은 소정의 등록비로 사전등록이 가능하며, 현장등록은 정회원과 비회원 모두 등록비가 있다.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석션보조장비 ‘석션프리’의 국내외 인기가 식지 않고 있다. 유저들의 입소문을 타고 있는 것은 물론 치과경영을 다룬 강연에서도 주목할 만한 진료실의 변화로 꼽히는 것이 덴탈럽의 석션프리다. 단순 석션업무에서 진료스탭을 해방시키고, 치과의사의 1인 진료 가능성도 높여준 석션프리는 치과 진료실의 변화, 치과경영의 변화를 이끄는 한 축으로 주목받고 있다. 덴탈럽 측에 따르면 “진료 중 스탭들이 단순 석션업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도와 업무부담을 줄이는 것은 물론 그 역량을 디지털 전환 등에 활용하며 새로운 조직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면서 “이러한 변화를 체험한 유저들이 세미나를 통해 그 효과를 공유하면서 개원가의 관심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석션을 대체하는 장비 가운데서도 탁월한 기능과 편의성으로 일본 수출 또한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9월 중 진행될 일본 수출 6차 출하 준비도 이미 완료한 상태다. 덴탈럽은 “향후 독립진료를 위한 또 하나의 신제품 출시를 위한 국내 특허 취득을 완료했으며, 더 완벽한 준비를 통한 라인업 구축도 해나가겠다”고 밝혀 기대를 모았다. 한편, 덴탈럽은 "앞으로는 소규모 세미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양악수술학회(회장 이상휘·이하 양악수술학회) 추계학술집담회가 지난 9월 7일 연세대치과병원 강당에서 개최됐다. ‘수술/비수술 교정치료를 위한 최첨단 디지털 셋업과 얼굴 스캐닝’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학술집담회는 성상진 교수(서울아산병원 교정과)와 차정열 교수(연세치대 교정과), 이계형 원장(여수21세기치과교정과)의 강연이 진행됐다. 첫 연자로 나선 성상진 교수는 ‘쉽고 정확하게! 악교정 수술 환자를 위한 디지털 셋업’을 주제로, 복잡한 교정 및 악교정 증례에서 필요한 치료계획 시뮬레이션, 환자-수술의사-교정의사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디지털 셋업을 다뤘다. 특히 디지털 셋업을 준비하는 임상가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인터넷 기반의 무료 협업 플랫폼 ‘덴트원’을 소개하며 그 활용법을 증례와 함께 공유해 관심을 모았다. 바통을 이어받은 차정열 교수는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3D diagnostic surgical simulation과 디지털셋업을 활용한 수술 및 비수술 치료 효과’를 주제로 술전교정 중 정확한 탈보상을 위해 필요한 명확한 술전 교정 목표와 구체적인 치료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원장 염민섭)이 ‘환자 중심의 의료영상 공유 시범사업’ 참여기관 공모에 나섰다.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환자가 주도적으로 본인의 의료영상을 전자적으로 발급받고 공유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의료현장에 적용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시범사업에서는 환자가 의료영상 CD 발급을 요청할 때 CD 발급과 함께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을 통해 의료영상 파일을 전자적으로 발급하고, 환자가 다른 협력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경우, 해당 의료기관 시스템을 통해 바로 의료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 의료기관에서는 시스템 개선과 업무처리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한 만큼 효과도 면밀히 평가한다는 계획이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염민섭 원장은 “환자 중심 의료영상 공유 체계 마련을 위한 첫걸음으로, 국민은 더이상 CD 발급 및 제출의 불편을 겪지 않게 되고 의료기관은 전자적 자료발급, 접수 자동화 등으로 업무효율을 높인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진료정보교류 사업은 2016년 시작돼 2019년부터는 진료기록뿐 아니라 의료영상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했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디지털교정치과의사회(회장 이계형) 2024 심포지엄이 지난 9월 1일 오스템임플란트 대강당에서 개최됐다. ‘Patient-oriented Smart Orthodontics, Beyond technology’를 대주제로 펼쳐진 이번 학술대회에는 150여명의 치과의사가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일본 디지털교정학회 Akira Kanao의 ‘Digital-Based Orthodontics-In-House Ligual Appliance’ 강연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포문을 열었다. 한국과 일본을 잇는 화상강연으로 글로벌 연자들의 최첨단 디지털 기술과 교정진단 노하우를 만나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했다. Akira Kanao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기술의 실제를 공개해 관심을 모았다. 이어 홍미희 교수(경북치대 교정과)는 ‘3D Direct Printed Aligners: Balancing between tech and quality of care’에 대해, 김기범 교수(St. Louis 교정과)는 ‘Advances in Clear Aligner Materials’을 주제로 다양한 임상케이스에 기반한 최첨단 투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치의학회(회장 권긍록)가 ‘골다공증, 당뇨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 시 주의사항’을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권용대 교수(경희치대)의 ‘항흡수치료 환자의 최신경향과 치과 치료 전략’, 김수환 교수(서울아산병원)의 ‘당뇨병 환자의 임플란트 및 치주치료’ 강연이 이어졌다. 일반 환자에게서 발생빈도가 높고 주요 고려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는 골다공증과 당뇨병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 시 주의할 점과 치과의사의 역할에 대한 내용으로 관심을 집중시켰다. 치의학회 허민석 학술이사는 “골다공증과 당뇨병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 시에는 여러 가지 주의사항이 있다. 실제 치과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습득하는 좋은 기회가 됐길 바란다”면서 “연말에도 유용하고 흥미로운 주제의 학술대회로 돌아오겠다”고 전했다. 같은 날 치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이하 치편협) 정기세미나도 진행됐다. 치의학회 회원학회 편집인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가 나아갈 길(한동수 회장·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연구자를 위한 그래프 그리기(김지형 교수·서울성심병원) △Chat GPT를 활용한 논문쓰기(권정민 교수·서울교육대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이성복 명예교수가 지난 9월 3~5일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제26차 CSA(중국치과의사협) Annual Congress & China Dental show와 2024 FDI(국제치과의사연맹)-CSA Dental Summit의 초청연자로 참여했다. 이성복 교수는 ‘Immediate functional approach to All-on-X full-arch fixed implant prostheses’를 주제로 강동경희치대병원 병원장 재임시절 구축한 ‘Digital workflow’의 역사적 배경과 경희치대 보철과에서 이뤄진 치과보철학 및 치과임플란트 임상에 미친 디지털의 영향과 혁신적 변화 등에 대해 강연했다. 이성복 교수는 “발전된 디지털치의학 세상에서도 환자들은 AI나 로봇의사에게 진료받지는 않는다”면서 “첨단 디지털과 AI의 도움을 받아 더욱 진보적인 진료를 하게 되겠지만, 진정한 치료의 최종 마무리와 정밀한 조절능력은 고도로 훈련된 치과의사의 손에 의해 완결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전했다.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지난 9월 6일 개최된 2024년 제17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박민수·이하 건정심)가 개최됐다. 건정심은 이날 위원회에서 2025년도 건강보험료율을 올해와 동일한 7.09%로 결정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보험료율을 동결한 것은 역대 4번째, 2년 연속 동결은 처음이다. 보험료는 보수월액에 보험료율을 곱해 결정되는 것으로, 지역가입자의 보험료 부과점수당 금액은 208.4원이 적용된다. 건강보험 준비금은 2024년 7월말 기준 27조원으로 확인됐다. 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보험료율이 동결돼도 당초 계획은 차질없이 진행된다”면서 “지속적인 지출 효율화 노력과 재정누수 방지 등 재정관리를 강화해 지속가능한 건강보험제도 운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보험료율이 동결되더라도 필수의료에 대한 건강보험 투자는 계속된다는 것. 정부는 △중증 △고난도 필수진료 △응급 △야간·휴일 △소아·분만 △의료취약지의 6대 우선순위에 대해 집중 보상이 필요한 분야에 공공정책수가 도입 등 올해 1월부터 1조 2,000억원 투자가 이뤄졌으며, ’28년까지 10조원 투자를 지속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내년부터 예정된 수련환경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치의학회(회장 권긍록)가 2024년 제1회 회원학회 워크숍을 개최했다. 지난 8월 31일 서울대치과병원 서정선세미나실에서 진행된 워크숍에는 회원학회장들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발전방향을 공유했다. 치의학회는 그간 ‘분과학회 워크숍’을 개최해왔으나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단절된 바 있다. 그리고 이번에 다시 한번 재개 소식을 알리게 된 것. 우리나라 치의학 발전과 회원학회의 건의사항을 수렴하고 소통하는 시간으로 앞으로 매년 개최한다는 계획도 전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회원학회 제출 안건을 검토하고, 치과의사전문의제도 발전방향, 분과학회 분류 개선, 보수교육 관리 방안 등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치의학회 권긍록 회장은 “제8대 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처음 개최한 워크숍임에도 많은 학회장들이 참석해준 데 깊이 감사드린다”면서 “논의된 내용들은 추가적인 검토를 거쳐 개선방안을 찾아가겟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통의 장을 열어 회원학회 의견에 귀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참석한 학회장들 또한 정기총회와는 또 다른 자유로운 토론방식으로 소통의 장이 된 것에 만족감을 표하며, 앞으로도 지속되길 바란다는 의견을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민국 요양원 구강검진 프로젝트 (가칭)‘식사는 하셔야쥬’ 캠페인이 시작된다. 요양원 어르신들의 구강건강 및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전국단위 요양원 구강검진을 펼치는 프로젝트로,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모임이 지난 8월 26일 개최됐다. 구강돌봄의 중요성을 확인하게 될 이번 프로젝트는 노인의 날인 10월 2일을 기점으로 시작, 4~5개월간 전국 요양원에서 펼쳐진다. 그리고 검진결과에 대한 분석, 보건복지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의 협의를 통해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종합구강돌봄 정책 제안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요양원 구강검진에 사용할 검진기록지를 검토하고, 프로젝트 진행과 관련한 세부적인 내용을 다뤘다. 문진항목에 정신병력과 구강관리 기록뿐만 아니라 영양관련 내용도 포함해 어르신들의 구강상태에 따른 식사 및 영양상태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로 했다. 식사는 하셔야쥬’ 프로젝트는 치과의사들의 자발적인 봉사로 진행된다. 챌린지 형식으로 참여를 독려하며 치과계 안팎의 관심을 유도한다. 이를 위해 참여한 치과의료진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도록 혜택을 제공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대한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서울시치과의사회(회장 강현구·이하 서울지부) 보험위원회(위원장 김두용) 제7회 위원회가 지난 8월 24일 신흥 연송캠퍼스에서 진행됐다. 하반기 회원 교육 및 대의원총회 수임사항에 대한 검토를 통해 주요사업계획을 수립했다. 보험위원회는 먼저 전자차트 핸즈온 개최를 확정했다. 11월 2일에는 덴트웹, 11월 9일에는 원클릭 프로그램을 활용해보는 시간으로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턱관절증식술이 비급여로 인정됐고 회원들의 관심이 필요한 만큼 보톡스 등과 연계해 핸즈온 교육도 준비하기로 했다. 강연 구성 등에 있어서는 학술부와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회원 호응이 높은 ‘치과건강보험 가이드북’은 최근 변경사항을 반영해 2025년판 준비에 돌입하기로 했으며, 정기대의원총회에서 통과된 보험관련 안건들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회원들의 요구와 의견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보험위원회의 역량을 모아간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보험위원회는 또 본인확인 의무화제도의 본격적인 시행과 365일 이상 급여진료 시 본인부담금 90%를 적용하는 등 변경된 고시내용을 적극 홍보해 회원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날 보험위원회에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정현수 원장(해밀턴치과)이 치과의사를 위한 실리프팅 세미나를 개최한다. 오는 10월 6일 라마다 서울 동대문에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는 ‘치과의사 얼굴을 잡다’를 주제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된다. 정현수 원장의 단독 실리프팅 세미나는 지난 7월에 이어 두 번째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실리프팅의 원리와 그 이론적 배경 △실리프팅의 생역학 △Designing of Thread Lifting △Practice & Live 등이 진행된다. 원리부터 시연, 그리고 질의응답으로 치과의사들의 궁금증을 해소해줄 계획이다. 치과에서의 미용시술은 대부분 레이저, 보톡스, 필러 등에 집중돼있다. 여기에 실리프팅을 더해 미용치과의 경쟁력을 부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특히 오랜 기간 이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뤄온 정현수 원장의 노하우를 통해 전문적인 치과치료의 영역을 넘어 치과에서 가능한 미용시술까지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키울 수 있을 전망이다. 한편, 세미나 참석을 희망하는 치과의사는 카카오톡 또는 유선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 정기석 이사장이 지난 8월 28일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진천군 현장을 방문해 간담회를 진행했다. 보건복지부가 총괄하고 건보공단이 운영하는 시범사업이 시행 1주년을 맞이한 상황에서 진천군 시범사업 현황 및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한 시간이었다. 이 자리에는 건보공단, 지자체 담당자, 방문형 의료서비스, 장기요양재가서비스 등 시범사업과 연관된 서비스 제공기관이 함께 참여했다. 현재 진천군은 건보공단-지자체-서비스 제공기관의 협업을 통해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모범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방문의료 활성화를 위해 퇴원환자 재가복귀를 지원하는 통합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간호센터 운영, 농촌 지역 특성을 반영한 ‘케어팜(carefarm)’ 사업 등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은 급속한 초고령화 및 질병구조 변화 속에서 노인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역 내 다양한 의료·요양·돌봄·주거 등 서비스를 연계해 대상자 욕구 중심의 서비스 이용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