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회장 구영·이하 KAOMI)가 지난달 26일 서울성모병원에서 ‘2018 동계특별강연회’를 개최, 350여명의 치과의사가 참가해 성황을 이뤘다. KAOMI 우수회원제도위원회(위원장 장명진)가 주관하고 있는 특강은 지난 하계특강부터 ‘임플란트 치료의 조화와 균형’을 대주제로 시리즈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동계특강은 총 3회 시리즈 중 두 번째로 ‘When Digital meets Implant!’를 주제로 진행됐다. 이에 특강에서는 디지털 임플란트와 관련해 구강외과, 보철과, 치주과 등 각 분야별 지견을 한자리서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 ‘Digital implant의 치료계획’을 주제로 기조 강연에 나선 심준성 교수(연세치대 보철과)는 환자안전과 complication 최소화라는 차원에서 디지털 치의학의 발전상과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강상훈 교수(일산병원 구강악안면외과)가 ‘Digital implant에서 navigation’을 주제로 강연했다. 강 교수는 “CT가 보편화됨에 따라 3차원 골격분석방법과 모의수술법이 발달돼 구강악안면 부위의 진단과 수술계획 과정이 비교적 정확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네비게이션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지난달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OSSTEM Meeting 2018 Seoul’을 2,000여명의 국내외 치과의사가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했다. ‘디지털 리더, 오스템임플란트’를 슬로건으로 내건 이번 오스템미팅에는 국내 치과의사 1,800여명이 참가했으며, 중국 및 동남아시아, 중동, 유럽 등에서 해외 치과의사가 200여명이 참석해 오스템의 디지털 기술력을 직접 확인했다. 총 3개의 강연장에서 진행된 심포지엄은 임플란트 수술 및 보철은 물론, 교정분야와 의약품 등도 다뤄 보다 다양한 임상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 총 31명의 연자가 강연 및 라이브 서저리에 나서 그간의 임상 경험과 연구를 통해 얻은 노하우를 가감없이 공개했다. 오스템미팅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라이브 서저리는 더욱 업그레이드 됐다. 오전과 오후로 나눠 진행된 라이브 서저리는 디지털과 아날로그 진료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각 라이브 서저리에 2명의 연자가 동시에 수술을 진행했다. 먼저 오전에는 이인우 원장과 정현준 원장이 연자로 나섰다. 이인우 원장은 오스템 ‘OneGuide’ 시스템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을 진행했고, 정현준 원장은 기존 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가 주최하고, 고려대학교임플란트연구소와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이 후원하는 ‘2018 고려대학교 임플란트 심포지엄’이 오는 15일 고려대학교 유광사홀에서 개최된다. 이번 심포지엄은 총 5개의 강연으로 구성된다. 이동운 교수(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의 ‘Fractured implants. It’s not just a mechanical problem’을 시작으로 박준섭 원장(굿윌치과병원)의 ‘Prevention for patient, management with patient!’와 이수영 원장(오복만세치과)의 ‘Virtual patient dataset in an era of digital dentistry’ 등이 이어진다. 이어지는 세션은 김희철 원장(더블유화이트치과)의 ‘New paradigm of digital implant prosthesis’와 김종엽 원장(보스톤스마트치과)의 ‘Game changing solution, guided implant placement and intraoral scanning of implant’ 등으로 구성된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 류재준 주임교수는 “구강 스캐너와 3D 프린터의 개발 및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이 지난달 16일과 19일, 중국 베이징과 선전에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베이징 심포지엄에는 200여명의 현지 치과의사가 참가해 네오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 첫 번째 강의에는 중국의 Zhang Bin 원장이 연자로 나서 ‘Flapless Surgery Technique of CMI Implant’를 주제로 네오 제품을 활용한 Flapless 서저리를 소개했다. 이어 김남윤 원장이 사이너스 키트를 활용한 임상 케이스를 공유했다. 김 원장은 중국 내에서 관심이 높은 임플란트 합병증에 대한 다양한 솔루션을 소개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특히 다양한 임플란트 합병증을 해결하는 데 사용된 네오 제품에 대한 현지 치과의사의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 이외에도 박철완 원장이 교정치료와 임플란트 식립을 병행하는 임상사례를, 최용관 원장이 디지털 가이드 서저리를 주제로 ‘Neo NaviGuide Kit’와 임상사례를 소개해 호평을 받았다. 지난달 19일 200여명이 참석한 선전 심포지엄은 김종화 원장의 강연으로 시작됐다. 김종화 원장은 네오의 독창적 보철 솔루션인 SCRP 보철 컨셉과 AnyTime Loading을 공유해 큰 호응을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지난달 24일 서울 소재 덴탈빈 디지털 교육원에서 ‘SAVE GBR KIT’를 활용한 성공적인 GBR 시술의 임상 노하우를 다루는 ‘EASY & SUCCESSFUL SAVE GBR 핸즈온 코스’를 개최했다. 이번 핸즈온 코스에는 다년간 임상경험과 다수의 임상증례를 보유한 김용진 원장(일산앞선치과)이 연자로 나섰다. 김용진 원장은 세미나에서 △Current concept & principle of GBR △Technical tips for successful GBR △GBR Hands-on 등 SAVE GBR KIT를 사용한 GBR의 최신 개념부터 성공적인 GBR 시술을 위한 임상 노하우를 공유했다. 김용진 원장은 SAVE GBR KIT 개발에 직접 참여한 만큼 관련 임상 활용법 및 임상 노하우에 참석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김 원장은 SAVE GBR KIT의 정확한 사용법을 교육하는 것은 물론, 핸즈온을 통해 이를 활용한 다양한 GBR 테크닉에 대해 다뤄 참석자들의 더욱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 10월 출시된 ‘SAVE GBR KIT’는 단 하나의 키트로 GBR 전 과정 시술을 가능한 ‘올인원 키트’다. 신종학 기자 sj
디지털 덴티스트리 선도기업을 표방하고 있는 디오(대표 김진백)가 지난 24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8 DIO DIGITAL SYMPOSIUM’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All New Digital’을 주제로 열려, 150여명의 치과의사들이 참가해 디지털 치의학의 수준 높은 임상을 공유했다. 먼저 심포지엄에서는 강재석 원장(예닮치과병원)이 디지털임플란트 세션 연자로 나서 ‘Digital Implant Workflow(From single to full case)’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그는 디지털 솔루션을 활용한 다양한 임상 케이스를 소개하고, 효과적인 활용법을 공유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어 진행된 디지털기공 세션에서는 이재두 소장(웰컴기공소)이 ‘Digital Workflow From Scan To Prosthesis’를 강연했다. 그는 스캔과 보철제작에 대한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면밀히 짚어줬다. 또한 신준혁 원장(디지털아트치과)이 연자로 나선 디지털보철 세션에서는 ‘From Concept To Realization(All about digital)’을 주제로 풀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활용한 정확한 진단과 분석, 치료계획을
아시아골유착임플란트학회(공동회장 이성복, 후미히코 와타나베·이하 AAO)와 ITI국제임플란트학회가 만났다. AAO가 지난 10일과 11일 고려대학교 유광사홀에서 ITI한국지부(회장 이성복), 대한턱관절교합학회(회장 이석형)와 함께 제11차 연합국제임플란트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The Challenge and Sustainability for The Future of Implant Dentistry’를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는 사전등록한 아시아 각국 170명을 비롯해 총 2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학술대회는 자유롭게 각자의 임상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미래의 임플란트 발전방향에 대해 집중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ITI와 AAO 회원 중 호주, 중국, 일본, 태국, 싱가포르, 대만, 한국 등 아시아 7개국에서 선정된 38명의 임플란트 학자가 참가해 동양인이 가지고 있는 특징에 대한 임상적 의견을 나누는 등 뜨거운 학술의 장이 펼쳐졌다. 포스터 발표에는 4개 분야에 총 35개 학술기관이 참가했다. 이중 우수한 평가를 받은 참가자 7명에게 상장과 상금이 수여됐다. 최고상에는 일본 큐슈치과대학의 치히로 마사키 교수가
신흥이 주최한 ‘김현종 원장 초청 사이너스 핸즈온 세미나’가 지난 3일과 10일, 2회에 걸쳐 신흥연수센터에서 개최됐다. ‘SIS(Shinhung Implant System) SINUS KIT’의 공동 개발자인 김현종 원장(가야치과병원)의 사이너스 핸즈온 세미나는 매년 개설될 때마다 꾸준한 인기와 호평을 받으며, 개원의들이 가장 선호하는 강의로 인정받고 있다. 올해로 10회를 맞이한 이번 세미나에서 김현종 원장은 신흥의 임플란트 심포지엄 SID 등 본인이 직접 진행한 라이브 서저리 및 실제 임상 동영상을 통해 수강생들의 이해를 돕는 한편, 상악동 골이식에 대한 노하우를 전했다. 첫 강의가 진행된 3일에는 상악동 골이식과 연관된 해부학적 고려사항과 상악 구치부 치료전략 수립을 알아보며 Lateral approach 실습을 진행했다. 10일에는 상악동 골이식의 complication과 대처법에 대한 강의와 함께 Crestal approach에 대한 실습이 이어졌다. 이날 역시 수강생들은 SIS SINUD KIT를 통해 직접 Pig-jaw에멤브레인을 거상하며, Rotary Plugger를 활용해 Crestal approach에서 골이식재를 쉽게 밀어 넣고 퍼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회장 구영·이하 KAOMI)가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서울대학교 의학혁신연구센터에서 PCOI(Philippine College of Oral Implantologists) 회원들을 대상으로 ‘Implant & Perio plastic Surgery Lecture and Workshop’을 개최했다. KAOMI는 지난 3월에 열린 iAO 2018 중 PCOI 측과 MOU 체결, 이번 임플란트 연수 교육프로그램은 지난 MOU 체결에 따른 것으로 워크숍에는 22명의 필리핀 치과의사들이 참석했다. 워크숍 첫 날인 5일에는 김성태 교수(서울치대)가 Periodontal plastic surgery를 시작으로 extraction socket management, 전신질환자의 치주·임플란트 강의 등을 진행했다. 둘째 날에는 약리학, GBR, flap design and suture, implant esthetics에 대한 강의가 이어졌으며, 셋째 날은 상악동 거상술, FGG, CTG, 임플란트 합병증 등이 다뤄졌다. 넷째 날은 모델과 돼지턱뼈를 이용한 핸즈온 실습이 이어졌고, 워크숍 마지막 날에는 즉시식립, 임플란트 주위염, digital
디오(대표 김진백)가 오는 24일 광주를 시작으로 다음달 1일 부산, 그리고 2일 서울 등에서 ‘2018 DIO Digital Symposium’을 순회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All New Digital’을 타이틀로 디지털 치의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유명 연자들이 총출동할 예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디지털 임플란트 △디지털 교정 △디지털 보철 △디지털 기공 등으로 세션을 나눠 프로그램이 구성된다. 각 분야 최고의 임상가들이 디지털 솔루션들을 활용한 임상 케이스 발표와 효과적인 활용법 등 ‘Digital workflow’ 핵심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임플란트 세션에는 강재석 원장(예닯치과병원)이 ‘Digital implant workflows(From single to full case)’를, 정동근 원장(세계로치과병원)이 ‘2Hour Digital Implant Using Chairside Solution’을 다룬다. 디지털 보철 세션에는 박지만 교수(연세치대 보철과)와 신준혁 원장(디지털아트치과), 이재민 원장(미래로치과) 등이 나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보철 치료의 현재를 짚어준다. 디지털 교정 세션에는
코웰메디(대표 김수홍)가 지난달 13일 체코 프라하에서 ‘코웰메디 국제 컨퍼런스 2018’을 개최, 세계 각국에서 500여명의 치과의사들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코웰메디 국제 컨퍼런스는 지난 2014년 서울에서 첫 개최를 한 이후, 2015년에는 스페인 마드리드, 2016년 서울, 2017년 태국 방콕에 이어 올해는 체코 프라하에서 개최됐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세계 각국의 저명한 연자를 초청해 임상사례 및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라이브 서저리 및 핸즈온 실습 교육 등을 통해 참석자들이 직접 코웰메디 제품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됐다. 첫날은 치과의사인 김수홍 대표가 ‘The Surest Lodestar of Clinical Implant Dentistry’를 주제로 개막을 알렸다. 이어 허중보 교수(부산치대 보철과)가 ‘A fully Digital Procedure from Guided Surgery to Final Prosthesis’를 강연했다. 특히 체코 3DK Clinic과 실시간 영상 연결을 통한 Dr. Martin Tome cek(체코)의 라이브 서저리가 성공적으로 진행돼 전 세계 참석자들의 갈채를 받았다. 이 외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이 지난달 13일과 14일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17th Penang Dental Congress 2018’에 참가했다. 본 행사는 Malaysian Dental Association Northern Zone 주최 하에 연 1회 개최되는 행사로, 올해에는 250여명의 치과의사가 참석했다. 네오는 이번 행사에서 전시와 강의, 핸즈온을 진행하며 말레이시아에 네오 제품의 기술력을 알렸다. 전시에서는 구강스캐너 ‘i500’을 비롯해 △IS-III active △SLA-Kit △SCA-Kit 등 다양한 제품을 홍보했으며, 디지털 덴티스트리와 Sinus Lift 솔루션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는 신개념 치의학에 대한 말레이시아 치과의사들의 이해를 도왔다. 핸즈온에서는 김종엽 원장(보스톤스마트치과)이 네오의 Sinus Kit를 이용한 다양한 임상케이스를 소개하고, 시술 테크닉과 노하우를 전달해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Neo NaviGuide’와 ‘i500’도 함께 소개해, 디지털 덴티스트리에 대한 네오의 잠재가능성을 어필했다. 이외에도 ‘Innovative Sinus Surgery by SCA and SLA Kits’를 주제로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지난 3일 광주에서 ‘3D 프린터 ZENITH, CLINIC에서 제대로 활용하기’ 세미나를 성공리에 개최했다. 덴티스는 지난달 6일 대구를 시작으로 17일에는 수원, 그리고 이번 광주 세미나까지 하반기 ZENITH CLINIC 세미나를 마무리했다. 대구와 광주 세미나는 박시찬 원장(창원늘푸른치과)과 서상진 원장(창원예인치과)이 연자로 나섰으며, 수원은 박시찬 원장과 함께 이수영 원장(서울라인치과)이 연자로 참석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3D Printers for Dentistry △Workflow for chair-side 3D printing △3D Printer의 선택 기준 △ZENITH D의 임상적 유용성 △ZENITH D를 이용한 다양한 임상 활용 등을 통해 디지털 치의학의 변화와 향후 방향성까지 전망했다. 특히 3D 프린팅 경험이 부족한 치과의사들에게 중요한 팁을 전하는 자리가 됐다는 평이다. 세미나에서는 덴티스 3D 프린터 ZENITH D를 활용해 Temporary C&B를 비롯해 △Die model △Castable framework △투명교정 장치 △스프린트 등을 제작, 적용한 다양한 임상 케이스가 공유돼 더욱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지난달 13일과 14일, 27일과 28일 총4회에 걸쳐 진행한 ‘ALL IN ONE 핸즈온 코스’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핵심개념부터 실전응용까지 임플란트 시술에 꼭 필요한 내용만을 다룬 이번 세미나는 김재윤 원장(연수서울치과)과 나기원 원장(나의치과) 등이 연자로 나서 임플란트 식립을 비롯해 △Soft tissue management △GBR & SINUS △Prosthetic procedure 등을 다뤘다. 김재윤 원장은 임플란트 수술의 기초부터 Septum Drill KIT를 활용한 발치 후 즉시 식립, GBR 등 어려운 수술 테크닉에 대한 노하우를 강의했다. 또한 나기원 원장은 임플란트 보철의 기본 개념부터 실전 응용, 디지털 보철까지 임플란트 보철에 대한 노하우 및 유용한 팁을 공유해 참석자의 큰 호응을 얻었다. 세미나 참석자들은 “짧은 시간 안에 임플란트 시술에 필요한 핵심만을 다뤄 만족했다”는 반응이었다. 또한 덴티스 제품을 활용한 실제 임상경험에 대한 강연과 실습이 인상 깊었다는 소감을 나타냈고, 세미나 후 덴티스 제품군에 더욱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한편 덴티스 측에 따르면 GBR에 대한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의 구강스캐너 ‘i500’이 전국적으로 화제다. 네오는 지난달 15일과 17일 각각 청주와 아산에서 ‘i500’ 미니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i500’ 세미나는 지난 8월 대전에서 시작한 이래 13번째로 전국 개원의들을 위해 각 지역으로 찾아가는 세미나를 통해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는 후문이다. 지난달 15일 진행된 청주 세미나에서는 김종엽 원장(보스톤스마트치과)이 연자로 나서 ‘구강스캐너의 최신 트랜드와 선택 시 고려사항’을 주제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접근법과 이점을 소개했다. 아산에서 진행된 세미나에는 김하영 원장(우리들치과)이 연자로 나서 ‘디지털 보철 제작을 위한 스캐너와 캐드 프로그램의 다양한 활용법’을 주제로 디지털 장비를 활용한 임상 케이스를 소개하며, 국내 도입된 다양한 구강스캐너를 비교 분석하는 시간을 가졌다. 강의 후에는 ‘i500’ 핸즈온과 더불어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통해 구강스캐너를 활용한 치과 맞춤 솔루션을 공유했다. ‘i500’ 세미나 담당자는 “세미나를 통해 국내 구강스캐너 도입 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i500’ 세미나를 개최해 많은 유저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