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번째 글을 쓰려니 거의 1년 가까이 글을 쓴 필자가 대견하기도 하고 마감시간에 시달리고 소재가 달리면 어쩌나 하는 두려운 마음과 언젠가는 그만 쓰는 날이 올 거라는 막연함 등등 여러 가지 생각이 머리에 떠오른다. 아마도 이런 마음이 40대를 지나며 50대를 맞이할 때 느끼던 마음이었던 것 같다.
수련 받고 공부하던 30대 중반과 학문에 열중하고 무서울 것 없던 30대 후반을 지나, 마음을 비우면서 평안을 찾던 40대 초반, 아이들 문제로 정신없던 40대 중후반, 노후를 생각하고 그에 대한 대비와 체력의 준비를 시작한 50대에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는 것 등이 너무도 비슷한 것 같다.
여성의 마음은 남자들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여성들은 통상적으로 생리적인 변화가 오는 시기에 심리적인 변화를 많이 겪는다. 예를 들어 신체의 콜라겐 타입이 변하여 피부의 탄력이 없어지기 시작하는 30대 초반에는 청춘이 상실되어감을 느낀다.
또한 그때, 아이들이 유아기를 지나 학교에 들어가며서 일거리가 줄어들며 생각할 시간이 늘기도 한다. 또 40대 진입을 목전에 둔 30대 후반기에는 인생에서 젊은 시절의 마감이라는 강박감에 시달린다.
따라서 이런 시기에 여성들의 이혼이 집중되어 있기도 함이 우연은 아닐 것이다. 그리고 40대 초중반이 되면 바쁜 아이들과 남편으로 인해 혼자 집을 지키며 외로움과 공허함을 느끼는 ‘공허감 증후군’으로 일명 ‘빈둥지 증후군’이 온다. 40대 후반과 50대 초반엔 폐경으로 인해 여성의 정체성을 상실함에 따른 심리적 방황에 빠진다.
반면 남자들에게 있어서는 40대는 한창 활동해야 하는 시기다. 회사에서는 책임이 막중한 중견 간부이고 가정에서는 대학생 정도의 자녀가 있으며 가족의 기둥으로 사회에서 존경받는 시기이다.
그러나 요즘은 불행히도 이즈음에 직장에서 명퇴를 당할 불안감에 시달리고 수명이 연장된 부모님을 모셔야 하며 자식들은 독립하여야 하는 그런 시기다.
더불어 이 시기에는 남녀 모두 체력의 감퇴와 함께 본인의 나이를 과거에 본인이 생각하던 관점에서 보며 놀라기도 한다. 또한 요즘은 필자를 비롯하여 본의 아니게 홀로 되는 경우가 있다. 바로 기러기 아빠이며 치과의사 중에도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이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을 필자는 ‘기러기 아빠 증후군’이라고 하였다. 그 중 위험군은 일찍 집에 귀가하는 경우, 혼자 술을 마시는 경우, 식사를 자주 거르는 경우, 입은 옷을 또 입는 경우이며, 가장 위험한 경우는 가족에게 인생을 올인하고 후에 보상받고자 하는 마음을 지닌 경우이다.
이미 외국생활을 2년 이상하면 한국식 사고방식을 하지 않게 되므로 심한 경우에는 언어적으로든지 문화적으로 아이들과 대화가 되지 않는다. 마음에 준비 없었다면 모든 것을 잃을 수도 있다.
요즘 치과의사가 아닌 친구들에게서 명퇴를 하거나 이직하는 친구들을 하나둘씩 보기 시작했다. 얼마 전 치과 선배님께서 당신이 치과의사가 된 것에 대하여 감사하며 사신다고 한 이야기가 가슴에 다가온다.
요즘 치과계 신문을 보거나 방송을 들어도 희망적인 이야기는 찾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을 잃어버리고 가족이나 병원이 전부이고 자식을 성공시키는 것만이 자신의 역할이라고 전념하던 지금까지의 방식만 고집하다가는 무력감이나 우울증에 빠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이것을 ‘성취욕상실 증후군’이라고 한다. 이제는 본인만의 취미생활을 발견하고 새로운 활동에 참여하는 등 새롭게 전념하여 나만의 시간을 찾아야 한다. 필자도 드럼도 배우고 그림도 배운다.
옛날에 공자는 논어에서 40세를 ‘불혹’의 나이라고 했다. 그때는 평균수명이 50세쯤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공자가 이 시대를 산다면 지금의 불혹은 70세쯤 되지 않을까? 이 시대의 아픔인 30만 기러기 아빠들이 자식을 잃어버리는 또 한 번의 아픔을 피하기 위하여 스스로 변하길 바라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