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기고]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는 체외용 비이식 의료기기다

URL복사

송현종 원장(순천한국병원 치과)

치과 어버트먼트(abutment)는 그것이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이든 보철용 어버트먼트(prosthetic abutment)이든 비이식형 의료기기로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선 치아 주변 치주조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치아라고 하는 구조물은 매우 독특하게도 상피를 통과해 체내와 체외를 연결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피를 뚫고 나오는 구조물은 세균들의 감염경로(infection tract) 역할을 하지만 치아는 그렇지 않다. 이는 치아가 상피를 관통하면서도 체외부와 체내부를 분리하는 기전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치아 주변의 상피 세포는 헤미데스모좀(hemidesmosome)이라는 결합에 의해 치아에 단단하게 결합한다. 바로 이 부위가 체외와 체내를 분리하는 역할을 해주는 접합상피이다. 이 연조직과 치아의 부착은 치주조직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바로 ‘치아의 생물학적 폭경(biologic width)‘라는 이름으로 치과의사들이 매우 친숙하게 접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는 치주질환의 발생 기전을 통해서도 이해할 수 있다. 치아표면에 붙어있는 치면세균막이 열구내로 들어오게 되면, 이 세균막이 뿜어내는 세균으로부터 우리 체내를 보호하기 위해 치면세균막과 접합상피간의 간격을 벌리는 일련의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 이것이 바로 치은염과 치주염이다. 

 

이처럼 치면세균막이 접합상피에 가까워지면, 접합상피는 치근단으로 이주하게 된다. 이때 접합상피가 근단으로 이주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는 치조골 등의 소실이 나타나게 되며. 이를 치주염이라 한다.

 

즉, 치주조직은 접합상피 외측은 체외, 내측은 체내로 구분해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치은열구는 육안으로는 치은 안에 있지만, 체내라고 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 상피접합의 외측에 있기 때문이다.

 

동일한 관점으로 볼 때, 인공치아라고 하는 치과 임플란트에서 이 접합상피의 부착이 어디에서 일어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어버트먼트(abutment)가 이식형인지 비이식형인지를 판단하게 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임플란트, 특히 요즘 대부분 쓰는 임플란트인 Submerged, Internal type implant의 경우 픽스쳐 상부 플랫폼(platform) 부위에서 헤미데스모좀에 의한 접합상피의 결합과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유착으로 자연치아와 비슷한 부착이 일어난다. 임플란트도 치아와 같이 생물학적 폭경(biologic width)이 있다고 인정되는 것이다.

 

즉, 임플란트 역시 자연치아의 치주구조처럼 접합상피를 기준으로 외부와 내부를 나눌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픽스처와 연결되는 구조물인 어버트먼트들, 즉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 그리고 보철용 어버트먼트(prosthetic abutment)는 체외에 존재할까? 아니면 체내에 존재할까?

 

접합상피가 체외와 체내를 구분하는 기준이라면, 어버트먼트는 모두 체외에 있는 것이다. 체내를 관통하는 구조물인 치아의 법랑질(enamel)이 체내에 있는지 체외에 있는지 물어본다면, 전문가들이 다들 체외에 있다고 하는 대답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렇기 때문에 체외에 위치되게 되는 힐링 어버트먼트, 임프레션 코핑, 그리고 보철용 어버트먼트 등은 모두 체내로 들어가지 않는 ‘비이식형’ 의료기기가 되는 것이 타당하다. 반대로, 체내의 골조직으로 들어가는 픽스처, 골절고정용 플레이트나 스크류, 교정용 스크류 등은 이식형 의료기기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과거 치과계에서는 원바디 임플란트(one body implant) 논쟁이 있었다. 원바디 임플란트를 선호하는 측은 “일반 임플란트는 스크류가 들어가는 픽스처 내부공간에 세균이 들어가서 번식하므로 냄새가 나고 감염위험이 크다. 우리는 원바디이기 때문에 이런 세균이 들어갈 여지가 없어 좋은 임플란트다” 등을 크게 홍보해 문제가 된 바 있다.


이때 대한치과의사협회와 관련 학회 등이 손을 잡고 “그렇지 않다. 임플란트 내부공간은 체내와 분리되어있는 체외 공간으로 봐야하기 때문에 여기 세균이 있다고 해서 체내 감염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투바디 임플란트(two body implant)가 원바디 임플란트에 비해 세균감염이 많다는 것은 근거가 없다” 등을 주장해 해당 보도를 한 일간지를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 반론보도까지 이끌어 낸 바 있다. 

 

당시 임플란트 내부의 어버트먼트들이 체결되는 부위인 스크류가 들어가는 곳이 체외라고 주장했던 근거가 바로 이 접합상피 외부였기 때문이다. 치아에 치면세균막이 있어도 체외에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감염이 일어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 이후, 보험 임플란트에서도 원바디 임플란트는 완벽하게 배제되었다. 덕분에 미니 임플란트를 제외한 원바디 임플란트는 시장에서 거의 사장되었다. 그때와 동일한 관점에서 이번 사건을 판단하면 어버트먼트류는 체외에서 연결되는 비이식형 의료기기여야 논리적으로 타당하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교육을 모르는 법원이 교육을 죽인다
얼마 전 교육활동을 침해당한 보건교사가 교권보호위원회에 신고했다. 위원회에 회부된 고등학생은 학교장을 상대로 행정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 법원은 교권보호위원회 심의 결과 통지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하고 소송비용도 모두 부담하라고 학교장에게 명령했다. 사건 내용은 원고 학생이 점심시간에 보건실에 찾아가 보건교사에게 아무런 사전 양해도 없이 상담 중인 다른 학생에게 “잠시 나가 달라”고 했다. 이런 학생의 행동이 무례하다고 생각한 교사는 학교 측에 심의를 신청했다. 학교장은 학생이 보건교사의 교육활동을 침해했다고 판단하고 교권보호위원회 심의를 요청했고, 위원회는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에 따라 학생의 행위가 교육활동 침해했다고 인정하고 보건교사에게 심리치료와 상담을 지원했다. 학생은 징계 등 별다른 조치를 받진 않았지만, 특별법에 의해 피해 교원의 보호조치에 필요한 비용은 학생이나 학부모가 부담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학교장을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에서 학생은 당시 보건 선생님이 다른 학생과 일상적인 이야기를 하는 중이어서 상담을 하는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으며, 다른 학생에게는 정중하게 나가 달라고 부탁했고

재테크

더보기

금리 인하 이후 다가올 경기 침체와 경제 위기: 금리인하 사이클과 대중 심리, 자산 배분 전략에 대해

최근 자산시장에서는 미국의 금리 인하와 관련된 전망과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9월 18일에 열린 FOMC 회의에서 연준(Fed)은 50bp(0.5% 인하, big cut) 기준금리 인하를 발표했다. 시장의 예상보다 더 큰 폭의 금리 인하는 향후 전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경기 침체 예방을 목적으로 한 금리 인하는 대중의 기대심리와 맞물려 단기적으로 자산 가격 상승을 유도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경기 침체의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는 신호가 되기도 한다. 금리 인하의 의미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앙은행은 경기 둔화 또는 침체를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통화 정책을 사용한다. 높은 금리는 대출 비용을 증가시켜 소비와 투자를 억제하고, 반대로 낮은 금리는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만들어 경기를 부양하게 된다. 미국 기준금리의 고점은 2023년 7월이었는데, 23년 11월 FOMC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에 따라 A → B 구간 동안 미국 증시는 22년 하락장을 벗어나 상승 랠리를 거쳤고, 미국채와 금, 비트코인, 원 달러 환율이 저점을 확인하고 반등하기 시작했다. 24년 8월 잭슨홀 미팅에서 연준의 제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