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묘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모두가 복 많이 받으시고 좋은 일이 가득하기를 바랍니다. 코로나19가 점차 일상에서 사라지고 새해엔 완전한 일상생활을 꿈꾸어봅니다.
동양철학에서 계묘년은 열 번째 천간으로 수水인 계癸와 네 번째 지지로 봄과 토끼를 의미하는 묘卯로 구성되었으며, 겨울잠에서 깨어나 눈밭 위에 나온 ‘예쁜 검은색 토끼’로 봄에 움직이기 시작한 토끼해입니다. 비록 들녘에는 아직 눈이 남아있지만 그래도 긴 겨울잠에서 깨어나 봄의 따사한 햇살을 받으며 활동을 시작하고 앞으로 다가올 여름의 풍성함을 꿈을 꾸는 토끼입니다. 천간의 癸는 확산 성향을 지닌 안개 같은 壬을 수렴하여 실체가 있는 습기를 머금은 이슬 같은 水로 癸입니다. 습기가 있다함은 밀가루를 반죽할 때 물기가 있어야 뭉치듯이 새해엔 내부적 갈등이 있다 해도 같은 편끼리는 사이좋게 뭉쳐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 해입니다. 癸는 10개 십간의 마지막으로 새로 시작하는 다음 해인 갑진년의 甲으로 넘어가는 과정으로서 의미가 있습니다. 지지 卯는 방위로는 정동진의 正東을 의미하고, 계절로는 아직 한기는 남아있으나 눈이 녹기 시작하는 봄입니다. 卯의 봄에 땅 위에는 큰 변화가 보이지 않지만 땅 밑에서 다음 달에 겨우내 얼었던 지표를 뚫고 올라올 새싹들이 바쁘게 태동하고 있는 때입니다. 형상으로는 木으로 나무가 큰 줄기에서 작은 싹이 나오며 가지를 만드는 의미를 지닙니다.
이런 천간癸와 지지卯가 만난 해가 계묘년입니다. 오행으로는 수생목(水生木)으로 하늘의 물 기운이 땅의 나무를 키우는 의미로, 간단히 ‘화초에 물을 준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또 달리 생각하면 ‘화초에 물을 주어야 하는 때’입니다. 水(물)의 목적은 木(나무)를 키우는 데 있고 木(나무)는 火(꽃)을 만들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계묘년에 화초에 물을 주는 것은 장차 돌아올 火(꽃)의 기운인 병오년과 정미년에 목적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준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대학시험 준비를 할 때, 중3부터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시작하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 그런 목표는 지나온 경자년, 신축년, 임인년, 과거 3년 동안 노력해온 것을 기반으로 결론을 추론하고 내년 갑진년에 일차적 결과를 내기 위한 시간적 흐름 속에서 연결되는 과정의 해입니다. 중3에서 고1로 변화되는 의미일 것입니다. 준비하고 도약을 위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모두가 화합하고 협력하는 것이 입니다. 계묘년은 이런 화합과 협력을 해야 하는 해입니다.
명심보감에 ‘순천자는 흥(順天者興) 역천자는 망(逆天者亡)’이라 했습니다.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자는 흥하고 거스르는 자는 망한다는 뜻입니다. 비가 오면 우산을 팔고 화창한 날에는 짚신을 파는 것이 하늘을 따르는 順天입니다. 반대로 비 오는 날에 짚신을 팔면 망합니다. 계묘년의 동양철학적 의미는 ‘미래를 준비하기 위하여 협력해야 흥하고 분열되면 망한다’입니다. 준비를 하지 않아도 안되고 협력을 하지 않아도 안됩니다. 사람이 사람답기 위해서는 서로 돕고 협력해야 합니다. 사람을 뜻하는 한자어 人은 두 사람이 서로 협력하는 모습을 본떠서 만든 글자입니다. 수렵시대에는 동물들에 비하여 약한 인간들은 협력하여야 동물을 잡을 수 있었고 농경시대에는 서로 협력해야만 많은 수확물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먼 길을 갈 때 남들과 같이 가야 할 때가 있고, 독립을 위하여 혼자 가야 할 때가 있듯이 일도 남과 같이 협동으로 해야 할 때가 있고 혼자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계묘년은 인간이 협력할 때라고 가르쳐줍니다. 협력해야 할 집단은 많습니다. 작게는 부부 간에, 가족 간에, 회사 부서 간에, 모임이나 협회나 동호회 간에, 크게는 공직이나 기관 혹은 국가 간에 협력이 필요합니다.
때라는 것은 시기(時機)를 의미하며 기회가 되었음을 말합니다. 기회는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기회를 살리면 도약의 발판이 되지만, 놓치면 다음 기회가 오기를 오랜 기간 기다려야 합니다. 인간적인 어떤 이유로도 불협하는 것은 자연의 순리가 아닙니다. 순리는 모두 알지만, 순천과 역천은 개인의 자유의지입니다. 계묘년 새해에 복 많이 받으시고 행복하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