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맑음동두천 21.7℃
  • 맑음강릉 23.9℃
  • 맑음서울 23.0℃
  • 구름조금대전 22.9℃
  • 구름많음대구 26.5℃
  • 구름많음울산 22.2℃
  • 구름많음광주 22.2℃
  • 구름많음부산 23.1℃
  • 구름많음고창 20.2℃
  • 구름많음제주 23.0℃
  • 맑음강화 20.2℃
  • 구름많음보은 19.6℃
  • 구름많음금산 21.2℃
  • 구름많음강진군 22.2℃
  • 구름많음경주시 22.6℃
  • 구름많음거제 22.9℃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HOT PRODUCT] SIC invent Asia-Pacific ‘SICmax·SICace’

URL복사

유럽 정통 임플란트학 집약 'SIC'

SIC 임플란트는 저명한 학술모임‘Schilli Implantology Circle’의 이니셜을 그대로 딴, 유럽 정통 임플란트학의 산물이다.

 

 

오랜 과학적 연구활동의 산물 ‘SIC’

Schilli Implantology Circle은 유럽 정통 임플란트학의 선구자격인 Wilfried Schilli 교수가 의장으로, Daniel Buchbinder와 Christian Foitzik 등이 창설위원으로 참가해 시작됐다. 이 모임은 치과 임플란트학을 주도하는 세계적인 구강악안면외과전문의를 비롯한 치과의사와 치과기공사들의 연합체로 성장하고 있다.

 

SIC 임플란트는 이처럼 유수의 학자들이 주축이 돼 오랜 기간 연구한 결과물로써 탄생하게 됐다.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임상케이스가 축적돼 있고, 전문가 포럼인 SIC를 통해 매년 정기적인 학술교류도 진행하고 있다.

 

‘SIC’ 임플란트는 이같은 학문적·임상적 교류를 통해 지속해서 결과물을 축적하고 품질을 개선하고 있다. SIC는 SIC invent Asia-Pacific을 통해 국내에  공급되고 있는데, 관계자는 “SIC 수입 및 국내 공급에 관한 모든 사항은 현재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대리점 판매에서 지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제품의 공급이 더욱 원활해진 것은 물론 고객 서비스도 더욱 향상됐다”고 밝혔다.

 

지르코니아 블라스팅 공법 도입

SIC 임플란트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SLA’ 표면처리다. 기존의 SLA 임플란트와 과연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면, ‘지르코니아’ 블라스팅 후 특수 산(acid) 처리 과정을 거쳤다는 점을 차별점으로 꼽을 수 있다.

 

기존의 표면처리기술인 SLA와 성격이 동일한 SLA 기술의 핵심은 blasting media 및 산 처리 후 표면 오염 물질을 완벽히 제거한 데에 있다.

 

SIC 임플란트는 지르코니아 미세 결정에 의한 새로운 블라스팅 기술을 도입했다. SIC 관계자는 “기존의 탄화규소(carborundum)에 의한 기술과는 차원이 다르다”고 차별성을 강조했다.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블라스팅 공법은 임플란트 표면에 연마제가 거의 남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픽스처 상의 날카로운 나사선을 파손시키지 않고 표면을 영구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C 관계자는 “모든 표면처리 공정 후 EDX분석을 한 결과 불순물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장기간 연구로 임플란트 디자인 정립

국내의 경우만 보더라도 현재 수백 개가 넘는 임플란트가 출시돼 공급되고 있다. 그야말로 ‘임플란트 홍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함께 임상가들의 요구 또한 하루가 다르게 다양하고  까다로워지고 있어 관련 업계에서는 이 같은 요구에 충실히 부응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한창이다.

 

하지만 특정 임플란트 디자인이 임상에서 실질적이고 성공적인 결과를 낳기 위해서는 1~2년여의 단기 임상 결과만으로는 역부족인 것이 사실이다. 이는 환자들마다 성공을 좌우하는 요인들이 너무 다양하기 때문이다.
10여년 간 국내 임플란트 시장의 급속성장 속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지만 현재는 어디로 갔는지 모르는 제품들도 부지기수다. 이 회사에서 저 회사로 팔려 다니는 메이커도 있었다. 이는 품질보다 마케팅의 덕을 본 제품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SIC 측은 “SIC는 이제 확실한 디자인을 정립하고, 골질에 따른 디자인의 차별성을 실현하고 있다”며 “전문가 스터디 그룹에서 오랜 기간 논의와 연구를 거쳐 얻은 결과물을 제품력으로 바로 직결시켰다는 점이 SIC 임플란트의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SIC 임플란트는 골질에 따른 선택의 폭을 넓혔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골질이 소프트한 상악의 경우와 하악과 같이 하드한 경우에 따라 픽스처 디자인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이에 SIC 임플란트는 Soft bone solution(D2~D4)인 ‘SICmax’와 Hard bone solution(D1~D3)인 ‘SICace’로 제품을 구성했다.

 

골질에 따른 픽스처 디자인 차별화

SIC는 매식체 첨단 부위(apical)에 컷엣지(cut edge)를 작업해 식립을 용이하게 했다. 때문에 골 와동에 매간에도 식립이 용이하다.

 

나사(thread) 디자인은 산간 간격(pitch)을 줄이고, 자가삭감(self-tapping)력을 갖추게 하였는데, 이로 인해 식립 토크는 낮아지고, 초기고정(primary stability)은 향상됐다. 이는 골융합을 위한 매식체 표면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나사의 산간 간격은 독일 AO(Arbeitsgemeinschaft fur Osteosynthese)학회에서 사용하는 추천 값을 적용했다.

 

골질이 무른 경우를 위한 솔루션으로 픽스처 디자인도 달리 했다. 골질이 무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초기고정을 얻기가 매우 어렵다. 소실되기 쉬운 cortical 부위에 매식체의 직경을 두껍게 제작해 매식 시 좋은 고정을 얻을 수 있게 했다.

 

또한 cortical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매식체 상단에 감압구역(decompression zone)을 제작해 압력을 감소시켰다. 특히 소트프한 골질에 사용되는 SICmax의 경우 상악 식립 시에는 천공을 방지하도록 매식체 끝 부위를 둥글게 마감 처리했다.

 

심미적이고 안정적인 보철 디자인

임프란트에서 골융합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표면처리의 중요성은 두말할나위가 없다. 이와 함께 장기적인 심미성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느냐도 임플란트 성공의 결정적인 요인일 것이다.

 

SIC는 심미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수직·수평적 각도를 45도로 인셋(inset) 해 픽스처와 어버트먼트 결합 지역에서 지주대의 직경을 감소시켰다.

 

이로 인해 미세 간격이 crestal bone 마진에서 멀어지면서 필수적으로 지켜야 하는 잇몸 두께를 위한 간격이 수직적으로 마련돼, 경·연조직의 보호와 유지를 돕는 이점이 있다.

 

SIC 임플란트는 유럽을 중심으로 수 십 년간의 연구와 임상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토대로 개발됐다. 특히 세계적인 석학들이 모여 운영하는 전문가 모임은 제품의 퀄리티를 유지하는 가장 큰 디딤돌이다. SIC 관계자는 “좋은 제품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지사체제로 전환한 만큼, 고객들의 요구에 최대한 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종학 기자/sjh@sda.or.kr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투자스터디] 모두가 바라보는 곳에 낙원은 없다 | 부채 위기와 인플레이션의 시기 성공적 투자에 대해서

부채 위기와 인플레이션 부채 위기는 인플레이션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각국의 정부가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통해 성장을 위한 부채를 증가시키는 것은 필연적이지만 적정한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국가 부채가 GDP 대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부채를 갚기 위해 다시 국채(부채)를 발행해야 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이는 자국 통화 가치의 심각한 붕괴를 가져오며 화폐가치 하락으로 인한 물가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위 차트는 유럽 국가들의 연금 기금 준비 상황을 나타낸다. 푸른색으로 표기된 막대그래프는 연금 지급을 위한 기금이 준비돼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데, 대부분의 국가들은 기금이 고갈돼 소진됐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유럽의 많은 국가들이 향후 국민에게 약속한 연금을 지급하기 위해 부채를 늘릴 수밖에 없는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상황은 인구 구조의 변화와 저 출산율로 인해 더욱 악화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인 추세를 보인다. 각국 정부의 부채 증가는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 ‘진정한 돈(money)은 금’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적으로 금은 가치 저장 수단으로 세계적으로 통용돼 왔다. 하지만 소련이 몰락한 1980년대 이후 페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