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건강수명 5080 국민추진위원회(이하 위원회)’가 지난 4월 9일 첫 준비모임을 열고,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범국민 실천운동의 본격적인 출발을 알렸다.
“국민에게 10년 더 건강한 삶을 선물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며, 다가오는 대선을 계기로 건강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e-나라지표 및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기대 수명은 82.7세이나, 건강수명(유병기간 제외건강수명)은 65.8세로 15년 이상의 격차가 있다. 즉, 현재 50대 성인의 경우 향후 평균적으로 20년은 건강하게 살지만 이후 15년은 병원이나 요양시설에 의존해야 한다는 의미다.
위원회는 건강수명을 10년 더 연장해 향후 30년은 스스로 건강하게 살고, 마지막 5년간 만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사회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가족의 돌봄 부담, 국가의 의료·복지 지출 부담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 이제 단순한 생명 연장을 넘어, 스스로 먹고 걷고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삶을 중심에 둔 정책 전환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에 위원회는 건강수명의 세 가지 주요 격차 해소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첫째,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간 15년의 격차를 5년 이내로 줄이고, 둘째, 최대 10년에 달하는 지역 간 격차를 2년 이내로, 셋째, 소득 수준에 따른 9년 가까운 격차도 2년 이내로 축소하겠다는 목표다.
위원회는 오는 5월 2일 국회에서 ‘건강장수의 날(오복데이)’ 제정을 발표하고, ‘건강수명 5080 비전 선포식’을 통해 건강수명 격차 해소를 공식 선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