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구름많음동두천 12.0℃
  • 흐림강릉 11.8℃
  • 흐림서울 15.0℃
  • 흐림대전 14.6℃
  • 대구 14.4℃
  • 울산 14.3℃
  • 광주 13.9℃
  • 부산 14.9℃
  • 흐림고창 14.7℃
  • 제주 17.7℃
  • 흐림강화 12.1℃
  • 흐림보은 12.8℃
  • 흐림금산 13.8℃
  • 흐림강진군 14.0℃
  • 흐림경주시 12.9℃
  • 흐림거제 14.8℃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분열과 대립의 시대에

URL복사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이야기(706)

요즘 치경에 비친 세상을 보면 분열과 대립 외에는 보이지 않는다. 치경이 작고 좁아서 그런 탓도 있지만 요즘 시대가 그런 탓도 있다.

 

우리나라는 작년 계엄 이후에 완전히 반으로 나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닌 듯싶다. 세계로 시야를 돌려보아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에 혼란이 극도로 이르고 이젠 혼돈의 상태다. 한때 우리도 한마음으로 합쳐진 때가 있었다. 2002년 월드컵 때는 모두가 하나로 합쳐졌었다. 전 국민이 동일한 붉은악마 티셔츠를 입고 한마음으로 응원했다. 그러나 23년이 지난 지금 완전히 분열된 모습을 보인다. 주말이면 여야가 반으로 나뉘어 광장에서 대립된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젠 정치문제는 친구 간에도 가족 간에도 절대로 피해야 하는 덕목이 되었다. 심지어 최근 한 항공사에서는 기장과 부기장이 정치문제로 토론하다 주먹다짐까지 해 귀국할 비행기가 출발 못한 웃지 못할 일화도 있었다.

 

분열과 대립의 가장 큰 문제는 각자도생(各自圖生)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각자가 스스로 알아서 살아야 한다는 의미다. 물론 흩어지면 합해지고 합해지면 다시 흩어지는 것이 동양철학의 가장 기본적인 진리지만, 그 속에서 힘들어지는 것은 늘 민초들의 몫이기에 안타깝다. 지난 역사를 돌아보면 세계는 한동안 미국·소련 대립의 시대가 유지되었다. 소련이 붕괴된 이후 미국 대통령 레이건과 클링턴 주도로 시작된 세계화로 세상은 대립의 시대에서 통합의 시대로 변했었다. 그런데 이제 세상이 바뀌어 미국 대통령 트럼프의 주도로 시작된 상호관세부터 세계화가 끝나고 다시 분열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분열은 숙명적으로 대립을 가져온다.

 

태극기를 보면 한가운데 적색과 청색의 태극 문양이 있지만,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는 이들은 드물다. 태극 문양의 가운데 곡선을 중심으로 적색과 청색이 나뉜다. 이 태극의 의미는 대각선으로 적색과 청색을 합치면 항상 같은 양이며, 청색이 점점 커지면 그만큼 적색이 줄어든다. 청색이 최대가 되면 적색은 최소이며 다시 줄어들기 시작한다. 차면 기우는 이치다. 양(적색, 흩어짐)과 음(청색, 뭉쳐짐)의 의미다. 분열되어 대립하고 흩어지는 것 또한 자연의 이치지만 각자도생은 소수의 힘있는 자에게는 기회가 될 수도 있으나 다수의 힘없는 자에게는 늘 어려운 구명도생(苟命圖生)이 된다. 苟는 구차하다는 의미로 구명(苟命)이란 ‘구차하게 목숨을 이어간다’란 의미다.

 

苟자에서 머리에 풀초(艹)를 벗고 개사슴록변(犭)을 달면 개구(狗)가 된다. 어린 강아지가 된다. 힘없는 작은 강아지처럼 구차해진다는 의미가 된다.

 

시야를 치과계로 돌려보면 ‘임플란트 30만원’이란 광고가 차고 넘친다. 슬프지만 치과계도 각자도생을 넘어 구명도생에 이른지 오래다. 물론 치과계만의 문제도 아니다. 의대정원 증원으로 시작된 의료계 반발과 전공의 파업에서 보여준 의료인들의 모습에는 안타깝게도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보이지 않았다. 물론 각자의 사정이 있기에 탓할 수는 없지만 이렇게 변해가는 의료계 현실이 안타깝다. 먹튀 치과, 야반도주 치과, 성추행 의사, 마약 의사 등으로 이미 의료인에 대한 도덕성은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추락하였다.

 

한 마리의 제비가 여름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노출된 의료계의 문제점은 대중의 지지를 잃기 충분하였다. 의료인 개개인의 문제를 넘어 직업 자체의 문제로 돌아왔다. 이제 의료계는 선택을 해야 할 시점에 있다. 계속해서 각자도생을 택하다가 결국 구명도생의 길을 갈 것인가 아니면 협력을 통하여 같이 살 것인가.

 

분열과 통합은 대립의 관계처럼 생각할 수 있으나 사실은 다르다. 어떤 조직에서 30%만 반대 목소리만 내도 분열은 쉽게 이뤄지는 반면, 통합을 위해서는 80%가 동일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 침묵하는 다수가 많기 때문이다. 분열은 쉬운 반면, 통합은 3배 이상 어렵다. 사랑하는 사람보다 미워하는 사람이 더 많은 이유기도 하다. 이런 분열과 대립의 시대에는 통합과 협력을 생각해야 한다. 그것이 태극의 의미다.

 

태극은 여름에 겨울을 생각하라 하고, 미운 사람이 많을 때 용서를 생각하라 한다. 분열의 시대에 협력을 생각해야만 미래가 있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밸류에이션 지표로 본 S&P500, 역사적 고평가 구간에 들어서다

최근 미국 증시는 역사상 유례없는 수준의 밸류에이션을 보이고 있다. AI 관련 빅테크 기업들이 주요 지수의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으며, 각종 지표들이 과거 어느 시기보다 과열된 수준에 도달했는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리 인하 사이클이 막바지에 이르고 연준의 통화정책이 완화 국면에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이러한 고평가 국면이 지속된다면 자산배분 투자자의 리밸런싱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S&P500의 밸류에이션을 판단할 때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네 가지 주요 지표는 PSR(주가매출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PER(주가수익비율), 그리고 연간 배당수익률이다. 각 지표는 시장의 기대 수준, 기업의 실적, 그리고 주식의 내재가치를 서로 다른 시각에서 보여준다. 이 네 가지 지표를 종합해보면, 현재 미국 증시는 2000년 IT 버블이나 2021년 팬데믹 당시의 고점보다도 더 과열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PSR은 기업의 시가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으로, 주식이 실제 매출 규모에 비해 얼마나 비싸게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최근 PSR은 역사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IT 버블 당시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