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인공지능치의학회(회장 이승표·이하 인공지능치의학회)가 지난 11월 15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추계학술대회를 열고 치과진료 현장에서 실제 활용되는 인공지능(AI) 기술과 최신 연구 흐름을 집중 조명했다.
‘치과의사의 일상에 스며든 AI’를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기술·임상·산업계를 아우르는 실전 중심 구성으로 관심을 모았다.
오전 학술 세션에서는 △AI 기반 파노라마 영상 분석 △디지털 의료기기 개발 흐름 △의료 AI 기술 동향 △FPGA 기반 AI 구현 등 기술적 기반을 다루는 강연이 이어졌다. 파노라마·CT 영상 분석부터 의료기기 내 AI 탑재까지 다양한 연구가 소개되며 국내 치과 AI 연구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후 임상 세션은 개원의들이 체감할 수 있는 임상 활용에 초점이 맞춰졌다. AI 기반 교정 진단 워크플로우, 자동 보철 디자인, 사진 기반 상담 시스템, 음성 인식 차팅 등 실제 진료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솔루션이 발표됐으며, 임상에서 사용 중인 AI 툴을 사례와 함께 공개해 관심을 이끌었다.

이날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인공지능치의학회는 “AI가 여전히 추상적이라고 느끼는 개원의들이 많아 ‘실제로 AI가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또한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보철 디자인 자동화 등 여러 분야에서 국내 연구 성과가 국제적으로도 경쟁력이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승표 회장은 “AI 기술이 치과의사들에게 다양한 형태로 접목되면서 이제 본격적인 실용화 단계로 진입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AI에 대한 임상가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고 강조했다.
또 이 회장은 학술·임상·산업이 서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학회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말했다. “대학은 교육과 연구를 담당하고, 임상 현장은 실제 데이터를 제공하며, 산업계는 기술을 구현하는 만큼, 세 영역이 하나의 써클을 이뤄야 치의학 분야의 AI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면서 “AI는 이미 세계적인 흐름으로, 국가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분야다. 우리나라 치의학계가 글로벌 무대에서도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학회가 중심적인 역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