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25일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개최예정이었던 (가칭)전국치과의사대회가 전면 백지화됐다.
전국치과의사대회는 지난해 김세영 집행부가 불법네트워크 치과 척결을 선포하면서 구상했던 단계적 로드맵 중 최종단계다.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김세영·이하 치협)는 전국치과의사대회를 통해 불법네트워크 치과 척결 의지와 국민구강건강 증진 실현의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함으로써, 바람직한 치과의사상을 국민과 정부에 각인시키는 한편, 치과계 내부결속을 다시금 다진다는 취지였다.
지난 13일 개최된 전국지부장협의회(회장 고천석·이하 지부장협의회)에서는 전국치과의사대회 개최여부를 놓고 심도있는 논의를 가졌으나, 무기명 비밀투표 끝에 ‘개최반대’에 무게가 실렸다.
지부장들의 개최반대 결정에는 최근 보건의료인단체들의 잇단 장외집회에 대한 사회 각계의 부정적 시각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대선을 한 달 여 앞둔 상황에서 전국치과의사대회를 통해 결집된 치과계의 목소리가 얼마나 전달될 것인가에 대한 우려도 컸다. 굳이 3~5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전국치과의사대회를 개최하는 것보다 치협 집행부가 정치권과 면담을 통해 치과계의 현실을 정확히 전달할 수도 있다는 대안이 설득력을 얻었다.
무엇보다 불법네트워크 치과 척결사업과 맞물렸던 전국치과의사대회가 현시점에서 전국 회원들을 한자리로 이끌 수 있을지, 오히려 회원들의 피로만 가중시키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에 힘이 실렸다.
지부장협의회에 참석한 치협 김철신 정책이사는 “전국치과의사대회를 통해 치과계 핵심사항을 제기하고 불법네트워크 치과 및 사무장 치과의 즉각 단속, 영리병원 정책 완전폐기 등 가시적인 성과를 이끌어내야 하지만, 현재 복지부가 시행규칙을 마련하고, 실태조사를 시행하는 등 치과계의 요구가 전면적으로 외면당하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대회 개최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지부이사회에서 사전 논의를 거쳤다는 모 지부장은 “대선 전에 집회를 통해 정치권을 압박하는 계기가 되고, 전국 규모의 치과의사대회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임원들이 공감했지만, 현시점에서는 여러 분위기를 감안할 때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기엔 어렵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고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이날 참석한 상당수 지부장이 적극적인 찬성보다 우려의 목소리를 더 크게 전달한 가운데 지부장협의회는 결국 무기명 비밀투표를 통해 11월 전국치과의사대회 개최에 대한 반대입장을 치협에 전달키로 했다.
지부장협의회의 결정은 지난 16일 치협 정기이사회에 전달됐으며, 이사회에서도 시도지부의 이같은 결정을 겸허히 수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치협 김세영 회장은 “보건의료인단체의 장외집회가 잇달아 이어진 가운데 우리가 11월 말에 개최한다는 것은 뒷북이 될 수 있다”며 “11월 전국치과의사대회는 개최하지 않되, 언제든지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다시금 지부장들의 의견을 취합해 강력히 재추진하겠다”고 입장을 정리했다.
김세영 회장은 또 “우리가 이번에 전국치과의사대회를 개최하지 않는 것은 아직 치과계가 집단시위를 할 정도로 내몰리지는 않았다는 판단으로 위안을 삼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