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조용범·이하 근관치료학회)가 오는 26일 서울대치과병원 대강당에서 ‘제45차 추계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Adhesion and Endodontics’를 주제로 근관치료 뿐만 아니라 근관치료와 관련한 접착치의학까지 다룰 예정이다. 특히 개원가 시선에 맞춰 치과보존진료의 시작에서 마무리까지 기본에 충실할 수 있도록 그 해법을 제시한다.근관치료학회는 국내 유명연자의 강연은 물론 해외 초청연자와 효율적인 임상 적용을 도울 핸즈온 등으로 알차게 학술대회를 준비했다. 초청 강연은 Asgeir Sigurdsson 교수(뉴욕치대)가 ‘Contemporary approach to root canal instrumentation : from biology and technology to your practice’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주제강연은 이빈나 교수(전남치대)의 ‘Diagnosis of pulp vit ality’로 시작되며 김평식 원장(수원 초이스치과)이 ‘Protaper NEXT와 MTA의 임상적용’, 이동균 원장(목포 미르치과병원)이 ‘근관치료용 포스트:선택 기준의 고찰’을 주제로 강연을 이어간다. 오후에는 최경규
로벨코리아는 오는 21일 제23차 SAVETOOTH 심포지엄을 서울대치과병원에서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단순한 증례 제시를 뛰어 넘는 체계적인 시술법 정리로 인기를 얻어온 Dr. Michel Costesseque이 메인연자로 나선다. 레이저 근관 치료의 원리와 어려운 케이스에 대한 성공사례를 보여줄 예정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특히 Dr. Michel은 초청 엔도 특강은 수직열 가압법으로 충전하기 어려운 부근관 충전, 근관계의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물 내에 있는 감염치수 조직의 철저한 제거 및 소독에 대한 내용은 물론 골 석회화된 근관과 치수-복합병소의 트리트먼트에 대한 소개와 치조골의 조직재생유도를 쉽게 하기 위한 방법을 강연한다. 더불어 이번 강연에서는 근관내 잔존하는 감염원 제거와 석회화된 근관을 레이저로 제거함으로써 근관의 개방성 확보 실현에 대해서도 전달할 계획이다. 이어 최용훈 교수(분당서울대병원)가 연자로 나서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근관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해 강연한다.세미나가 끝난 후에는 Yap-Laser 유저를 위한 특별강연 ‘Advance 프로그램’을 별도로 진행한다. 특별강연에서는 조직에 대한 레이저의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과
부작용 없는 간접 심미수복 치료에 필요한 핵심 사항을 짚어주는 맞춤 강연이 마련됐다. 한국접착치의학회(회장 최상윤·이하 접착치의학회) 제10회 학술대회가다음달 21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열린다.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간접수복물 접착의 모든 것’을 대주제로 다양한 간접 수복물을 위한 접착과 합착에 관한 기본 이론과 임상을 다룰 예정이다. 학술대회는 최경규 교수(경희치대)의 ‘간접수복을 위한 접착제의 올바른 사용’을 시작으로 박정원 교수(연세치대)의 ‘레진 시멘트,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류길주 원장(굿월치과병원)의 ‘간접수복물 접착시 고려사항’ 등으로 이어진다.오후에는 CAD/CAM과 관련된 강연이 준비돼 디지털 시대로 변화해가고 있는 치과에서의 접착을 다룰 예정이다. 박지만 교수(이대목동병원)는 ‘디지털 작업흐름에 따른 CAD/CAM 시스템’을, 허중보 교수(부산치대)는 ‘CAD/CAM으로만 가능한, 재미있는 임상이야기’를 강연할 예정이다. 접착치의학회 측은 “성공적인 심미수복을 위해서는 수복물의 올바른 합착이 중요하다”며 “간접 수복물을 위한 접착과 합착에 대한 이론과 임상을 모두 다룰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전했다.학술대회 사전등록은다음달 19일까지며,
㈜신흥이 김현기 원장(연세휴치과)과 임정선 원장(연세림치과)을 초청해 ‘기본에서 답을 찾는 근관치료와 보험청구’라는 타이틀로 엔도 핸즈온 코스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다음달 24일을 시작으로 오늘 10월 8일까지 매주 수요일 총 3차례에 걸쳐 신흥연수센터에서 진행된다.주최 측은 “정확하고 실용적인 근관치료 프로토콜을 제시함으로써 좀 더 확실하고 안정적인 솔루션을 제공 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전했다. 김현기 원장은 “근관치료가 어렵게 느껴질수록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연수생들이 세미나를 통해 근관치료에 대한 기본기를 다지고, 개원의의 고민거리 중 하나인 보험 청구에 대해 알아보는 유용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첫 세미나에서는 Ni-Ti rotary instrumentation의 기본 및 최신 경향에 대해 살펴보고, 2회차 강의에서는 치아 형태와 상황에 따른 근관치료 프로토콜을 수립할 예정이다. 3회차 강의에서는 개원가에서 근관치료가 실패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그 대처 방안을 알아본다. 이와 함께 임정선 원장이 ‘데칼코마니 in 보험청구’라는 타이틀로 근관치료에 대한 보험특강을 진행할 예정이다.한편, 이번 세미나는 NI-TI 파일 ‘K
대한치과재료학회(회장 고영무)가 지난 11일과 12일 부산과 서울에서 ‘2014년도 대한치과재료학회 학술강연회’를 개최했다. (주)지-씨코리아 후원으로 열린 부산과 서울 학술강연회에는 각각 4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학술강연회에서는 허익 교수(경희치대 치주과학교실)와 조경모 교수(강릉원주치대 보존학교실)가 연자로 나서 치아동요의 해결책을 제시했다.먼저 허익 교수는 ‘ 치아동요도 : 임상에서 얼마나 고려하시나요?(Tooth Mobility Revisited)’를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그는 △병적 치아동요도의 의미 △외상성 교합의 임상적 의의 △Ante’s law에 대한 재고 등을 통해 동요치 해결책을 모색했다.조경모 교수는 ‘섬유강화 복합레진 고정과 수복의 임상-Clinical considerations for Fiber-reinforced composite splint and restorations’을 주제로 강연에 나서 △치주적인 문제로 발거가 필요한 치아의 섬유강화 복합레진 수복 △동요치아의 섬유강화 고정 동요치아의 또 다른 고정법 등을 다뤘다.조 교수는 강화 섬유와 복합레진을 이용해 자연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심미적인 결과를 만드는 방법에 대
지씨-코리아가 후원하는 ‘임상의를 위한 Advanced Hands on Course’ 26기가 다음달 1일 지씨코리아 덴탈 컬리지 세미나실에서 진행된다.이 코스는 지금까지 25기가 진행 되는 등 개원의 들로부터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레진수복 핸즈온 코스다. 특히 일반 개원의들에게 유용한 정보와 임상 팁을 제공해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 이번 26기 핸즈온 코스에도 지난 세미나와 마찬가지로 박정길 교수(부산치대 보존학교실)와 최경규 교수(경희치대 보존학교실)가 연자로 나선다.이들은 임상의들이 꼭 알아야 할 구치부 및 전치부 수복 관련 필수 임상 노하우를 가감 없이 전달할 예정이다. 먼저 박정길 교수는 ‘전치부 수복 Class Ⅲ, Ⅳ, Ⅴ, Diastema closure’를 주제로 이론 및 핸즈온 실습에 나선다. 이어 최경규 교수는 ‘치과용 접착제에 대한 이해와 종류에 따른 올바른 사용법’과 ‘구치부 직접 복합레진 수복 후 문제가 없으려면’ 등을 주제로 이론 및 실습을 지도할 예정이다.이번 핸즈온 코스는 전치부와 구치부 모두에서 심미와 기능을 다 잡는 임상 노하우가 공개될 예정이어서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치과보존학회(회장 신동훈·이하 보존학회)가 춘계학술대회를 오는 23일과 24일 양일간 전남대에서 개최한다. 총 70편에 달하는 전공의 임상 증례발표와 국내·외의 저명연자들의 특강이 마련돼 있어 보존학의 깊이를 더할 수 있을 전망이다.학술대회 첫날인 23일에는 전공의 임상 증례발표가 진행되고 둘째 날인 24일날에는 전공의 발표와 더불어 특강이 준비 됐다. Dr. Paulo Monteiro(ISCSEM)는 ‘Predictable Esthetic Restoration with Composite’를 주제로 최신 해외 보존학 지견과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토픽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어 하정홍 교수(경북치대)와 장훈상 교수(전남치대)의 강연이 진행돼 참가자들의 임상을 한층 업그레이드시킬 예정이다.신동훈 회장은 “다양한 보존학 케이스를 접하고 임상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강연을 다수 준비했다”고 전했다.학술대회 사전등록은 오는 9일까지며, 치협 보수교육점수 2점이 인정된다.◇ 문의 : 02-763-3818김희수 기자 G@sda.or.kr
치과용 접착제와 시멘트의 올바른 사용방법 및 임상 노하우에 대한 지견을 나눌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한국접착치의학회(회장 최상윤)가 오는 27일 서울대치과병원 지하 1층에서 ‘2014년 학술대회’를 개최한다.이번 학술대회는 ‘내가 쓰는 제품, 제대로 알고 쓰기’를 주제로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치과용 접착제와 시멘트의 장단점 그리고 이에 대한 올바른 사용방법이 강연될 예정이다. 연자들은 임상노하우를 바탕으로 각 재료별 임상팁을 전달할 예정이다. 학술대회에는 김덕수 교수(경희치대)와 박정원 교수(연세치대), 허중보 교수(부산치대) 등이 연자로 나서 치과용 접착제 △XP BOND(Dentsply) △AdheSE(Ivoclar Vivadent) △BOND FORCE(Tokuyama) △ALL-BOND UNIVERSAL(Bisco) 치과용 시멘트 △NX3 Nexus Third Generation(Kerr)△RelyX Ultimate(3M ESPE) △CLEARFIL SA LUTING(Kuraray) △Super-Bond CB(Sun Medical)의 사용방법에 대한 강연과 토론을 벌인다. 사전등록은 오는 23일까지다. ◇문의 : 02-958-9330(전봉기)
서울대치과병원 보존과에서 다음달 12일과 19일 각각 근관치료학 연수회(서울대치과병원 8층 세미나실)와 보존수복학 연수회(4층 치과보존과 진료실)를 개최한다.12일 근관치료학 연수회에서는 치아의 근관 및 근단부의 해부학과 근관장 결정의 노하우, 근관 형성과 소독, 세척, 충전에 이르는 비수술적 근관치료의 전 과정에 대한 최신 지견이 다뤄진다.연자로는 금기연 교수, 백승호 교수, 이우철 교수 등이 나서 △근관 해부학, 당신의 끝은 어디인가요? △수동파일 및 NiTi 전동파일을 이용한 근관 형성 △최신 근관 충전의 해법과 실제에 대해 강연한다. 또한 NiTi 전동파일을 이용한 근관 형성 실습과 근관 충전 실습에 대한 핸즈온도 마련됐다. 19일 열리는 보존수복학 연수회에서는 복합레진 및 세라믹을 이용한 직접 및 간접 수복에 필요한 이론과 실제적인 술식을 체계적으로 소개함으로써 개원가의 임상을 도울 예정이다.강연될 주제는 △접착기질로서의 치아(손호현 교수) △최신 복합레진 수복의 재료와 술식(이인복 교수) △ 임상가를 위한 최적의 접착 술식(장주혜 교수) △성공적인 심미수복을 위한 준비(조병훈 교수) 등이다. 특히 직접 복합레진 수복과 간접 심미 수복물 접착의 실제
저 자 : 김현기(연세휴치과)정 가 : 70,000원 출판사 : 덴탈 위즈덤(www.dentalseminar.co.kr)문 의 : 02-6366-2024덴탈위즈덤이 한 권의 책으로 끝내는 엔도 핸즈온 코스 ‘개원의를 위한 찾아가는 근관치료 핸즈온’을 출간했다. 이 책은 저자인 김현기 원장(연세휴치과)이 지난 5년간 개원의를 대상으로 진행했던 엔도 핸즈온 코스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실제 근관치료 핸즈온을 실습하듯이 매뉴얼로 보여주고 있다.따라서 술식 하나하나를 그림과 사진으로 표현했으며, 같은 치아라 하더라도 형태학의 분류에 따라 다른 적용을 보여주고 있다.
대한치과보존학회(회장 신동훈·이하 보존학회) 신임집행부는 지난달 24일 역대 보존학회장을 역임한 원로교수들을 만나 고견을 청취하는 자리를 가졌다.이날 간담회에는 교육일선에서 물러난 퇴임교수(이명종·권혁춘·박상진·이정석·이정식·최호영)와 이찬영·김성교·백승호·손호현·홍찬의 교수가 참석해 신동훈 회장과 김의성 총무이사에게 보존학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조언을 전달했다.신동훈 회장은 “여러 원로교수 들의 고연을 듣는 유익한 자리였다”며 “보존학회의 더 큰 도약을 위해 연례행사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해나가겠다”고 전했다.김희수 기자/G@sda.or.kr
오스템임플란트와 이보클라비바덴트가 Tetric N-Collection과 N-Cements를 활용한 ‘완전정복, 심미수복과 최신접착’ 세미나를 개최한다.다음달 16일 오스템 ATC/ICDE 가산동에서 열리는 이번 세미나는 접착기술을 이용한 복합레진 수복에 대한 트렌드를 살피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임상에 바로 적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성호 교수(연세치대)와 김선영 교수(경희치대)가 연자로 나서 △Class4, Class5와 Diastema closure 등의 전치부 직접수복과 △Class2, 레진 인레이, 세라믹 인레이 등의 구치부 직·간접 수복에 대해 강연한다.세미나 관계자는 “임상에서 가장 넓게 사용되고 있는 복합레진 수복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복합레진 심미수복에 대한 임상의 깊이와 폭을 넓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원 15명으로 제한되는 이번 세미나의 등록비는 25만원이며, 이보클라 비바덴트 웹사이트(www.ivoclarvivadent.co.kr)에서도 신청 가능하다.◇문의 : 010-7016-4570, 02-536-0714전영선 기자 ys@sda.or.kr
지난해 11월 25일 대한치과보존학회(이하 보존학회)회장으로 선출된 신동훈 교수(단국치대)가 최근 집행부 구성을 마치고 향후 2년간 보존학회 행보를 설명하는 자리를 지난 3일 가졌다. 신동훈 회장은 “회원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학회 발전에 보탬이 되는 모든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전했다. 신동훈 회장은 학회 발전을 위해 기본에 충실하지만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신 회장은 “현 시대에 걸맞는 교육이 양질의 진료를 이끌 수 있는 바탕이 된다”고 덧붙였다.신동훈 회장은 새로운 포맷을 도입해 실질적인 가이드를 배울 수 있는 학술대회로의 변모를 약속했다. 일례로 “춘계학술대회 전공의 발표는 매년 동일한 패턴이다 보니 지루한 감이 있었다”며 “대상을 축소해 집중도를 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실질적인 임상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각 대학의 소수의 학생 대표가 참여해 제시된 임상 케이스를 해결하는 방식인 (가칭)치과대학 및 치전원 학생 임상경연대회로 변화시킨다는 계획이다. 또 ‘잔존 우식부 제거는?’, ‘Hemisection을 고수할 것인가’ 등 논란의 여지가 있는 토픽을 선정해 학술대회에서 토론의
근관치료분야 유명연자로 손꼽히는 최성백 원장(파스텔치과)의 임상노하우가 소개된다.최성백 원장은 ‘Key points in Endodontics’를 주제로 ‘Diagnosis Crack’를 시작으로‘Continuous Wave Compaction’ 까지 8회에 걸쳐 임상 팁을 본지를 통해 전달할 예정이다.최성백 원장은 “근관치료의 핵심적인 이론을 짚으면서 개원가에서 만날 수 있는 케이스를 손쉽게 해결 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라고 전했다. 최성백 원장의 임상원고는 치과신문 573호(1월 6일자)부터 연재될 예정이다.김희수 기자 G@sda.or.kr
오스코(대표 이영민)와 바이오엠티에이(대표 유준상)가 지난 1일 제5회 MTA포럼을 서울대치과병원에서 개최했다. 송제선 교수(연세치대), 윤호중 원장(윤치과), 유준상 원장(유치과병원), 일본 다카타 원장, 최용운 교수(분당서울대병원)와 알렉스 첸 교수(홍콩대)가 연자로 나서 MTA의 임상 기준과 근거에 대한 심도 있는 강연을 펼쳤으며, 자연치아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임상증례가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오스코 측은 “포럼의 성공적인 개최는 제품을 사용하는 유저들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해외 연자와 치과의사를 초청해 국제적인 MTA 학술행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김희수 기자 G@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