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7일 오후에는 치주·보험 공동 프레젠테이션이 펼쳐진다. 치료는 물론 보험청구도 까다로운 치주. SI DEX 2016 종합학술대회에서는 공동 프레젠테이션으로 그 해법을 찾아본다. ‘다양한 치주치료와 이에 맞는 보험청구 요령’을 주제로 한 강연에는 김도영 원장(김전치과)과 신승윤 교수(경희치대 치주과)가 연자로 나선다. “치주전공이 아닌 치과의사가 시행할 수 있는 치주처치에 초점을 맞췄다”고 밝힌 연자들은 “치주 환자 내원 시 구강검사부터 시작해 치석제거술, 치은소파술과 같은 비외과적 치주치료와 함께 비교적 간단하게 시술 가능한 치주수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러한 치료에 적합한 건강보험 청구방법에 대한 팁을 업데이트 할 계획”임을 강조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치주질환은 주요 외래 다빈도상병으로 꼽히면서 치과의사는 물론 국민들에게도 요구도가 많은 영역이다. 김도영 원장은 “증가하는 치주질환 관련 진료와 관련하여 의료보험 청구 내용도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 2013년 7월부터 연1회에 한해 급여 스케일링 적용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환자들의 치과 문턱을 낮춰 스케일링과 더불어 치주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
SIDEX 2016 국제종합학술대회 마지막 날인 4월 17일 컨퍼런스룸 402호는 오전·오후 전부 근관 관련 내용으로 구성, 5개의 강연이 펼쳐진다. △MTA △니켈티타늄 파일 △치아외상 등 개원의들이 궁금해 하는 주제들로 선정했다.근관치료 강연의 포문은 김현철 교수(부산치대)가 연다. 김현철 교수는 ‘근관치료용 니켈티타늄 파일의 새로운 변화’를 통해 최신 근관 성형 기구들의 잠재적 장점과 임상적 한계, 미래 기구들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두 번째 연자인 김의성 교수(연세치대)는 ‘MTA 과연 만능일까?’를 주제로 강연한다. 김 교수에 따르면 한국에서도 MTA유사 재료들이 개발·연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 교수는 “MTA의 우수한 특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실제 임상에서 MTA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토론하고자 한다”고 전했다.소아치과 근관치료에 대한 강연은 현홍식 교수(서울치대)가 맡는다. 현 교수는 영구치 외상과의 차이점을 토대로 외상당한 유전치의 치관변색의 양상과 이에 따른 진단 및 처치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이어 주대원 원장(가야치과병원)이 ‘실전! 임상교합’을 주제로 환자의 매일 부딪치며 만나는 상황을 중심으로 하지만 원칙은
가이스트리히코리아(이하 가이스트리히)가 지난달 19일 부산에서 ‘가이스트리히코리아 부산 스페셜 강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스페셜 강연에는 이탈리아의 Dr. Paolo Casentini의 초청 강연회로 이뤄졌다. 오랜 임상경험과 명쾌한 강연으로 주목받고 있는 Dr. Paolo Casentini는 국내에서도 그 정평이 높아 강연회 개최 전부터 많은 관심을 모아, 세미나에는 200여명의 치과의사가 참가해 성황을 이뤘다.Dr. Paolo Casentini는 이번 세미나에서 ‘Modern Manage ment of the post-extractive site: from ridge preservation to immediate implants’을 주제로 발치와 관리 관련 지견을 펼쳤다. 또한 이와 관련한 시술 솔루션 등 정보를 공유 했다.가이스트리히 관계자는 “학문적 근거와 임상술식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룬 강연이 폭넓은 참가자 층의 만족도를 높였다”며 “그동안 임상가들이 고민해오던 문제들을 함께 나누며 해법을 찾고,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는 강연에 많은 참가자들이 호평했다”고 밝혔다.신종학 기자/sjh@sda.or.kr
단국대학교치주과학교실(주임교수 신현승)과 의국동문 모임인 단주회(회장 김남윤)는 지난 19일부터 21일, 신흥양지연수원에서 워크숍 및 밀라노치과대학 Paolo Casentini 교수 초청 강연, 전공의 수료 기념 증례발표회를 개최했다. 증례발표회는 박정철 교수가 연자로 나서 ‘치주적인 위험요소 평가: 두 도시 이야기’라는 연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어진 전공의 수료기념 증례 발표에서는 강대영 전공의와 송민중 전공의가 수련기간 동안 진료했던 다양하고 수준 높은 증례를 선보여 동문들의 칭찬이 이어졌다. 특별강연으로는 밀라노치과대학 Paolo Casentini 교수가 ‘How to achieve optinal esthetic results with implants combining different soft and hard tissues augmentation procedures’라는 연제로 강연을 진행, 눈길을 끌었다.이어진 단주회 정기총회에서는 회장 이·취임에 대한 보고와 신현승 주임교수의 2015년 의국활동 보고가 있었으며, 매년 2월 전공의 수료기념 증례 발표회와 단주회 정기총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정진형 명예교수는 “건강한 치주과 의사로서의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이 주최하고 신흥이 후원하는 ‘Peri-implantitis Treatment Table Clinic’ 연수회가 오는 4월 3일부터 서울대치과병원에서 개최된다. 구기태 교수가 디렉터를 맡아 진행되는 이번 연수회는 6월과 9월, 12월까지 이어질 예정이며, 구체적인 일정은 추후 공지될 예정이다. ‘임플란트 주위염 완전정복’을 슬로건으로 내건 이번 연수회는 임플란트 주위염의 원인과 대응법, 예방법, 유지관리까지 다뤄진다.임플란트 주위염 관련 다양한 연구와 교육활동을 펼치고 있는 구기태 교수는 이번 연수회를 통해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법과 수술방법 등 실질적인 임상 노하우와 팁을 공유할 계획이다. 주최 측은 “참가자들은 실습 교육을 통해 임플란트 주위염에 대한 고민을 한 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전했다. 구 교수는 강의를 통해 Peri-implantitis란 무엇이며 왜 생기는 지를 우선 점검하고 △Peri-implantitis의 초기 대응법 △비수술 치료법 △Peri-implantitis 예방법 △Peri-implantitis 치료의 수술적 접근방법 △Flap surgery를 이용한 수술방법 △골 이식을 통한 수술방법 △Peri
연세대치과병원 치주과가 지난 13일과 14일 양일에 걸쳐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신흥양지연수원에서 ‘연세대치과병원 치주과 2016 Workshop’을 진행했다.이번 워크숍에는 연세치대치주과 교수진을 비롯해 수련의, 연구원 등이 참가해 조별 토의를 비롯한 학습조직 예비 발표 등을 진행했으며, 이외에도 친목을 다지는 시간이 마련됐다. 워크숍에 참석한 치주과 관계자는 “신흥양지연수원에서 교수진과 수련의, 직원들이 다 함께 학과 행사를 진행하고 친목을 다질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의미 있는 시간이 됐다”고 전했다.신종학 기자 sjh@sda.or.kr
신흥이 오는 27일과 28일 신흥연수센터에서 ‘치주시대 EpisodeⅡ’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김창성 교수(연세치대)와 이중석 교수(연세치대), 신현승 교수(단국치대), 조인우 교수(단국치대), 차재국 교수(연세치대) 등 5명의 실력파 연자가 한 자리에 모여 각자의 임상 경험과 핸즈온 노하우를 선보일 예정이다.치주시대 Episode Ⅱ는 지난해 진행된 치주시대 Episode I 세미나에 이어 ‘테크닉 중심의 손으로 생각하는 치주’라는 기본 모토는 살리고, 지난 세미나에서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치주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번 세미나에서는 ‘Regeneration Periodontal plastic surgery’를 대주제로 진행될 예정으로, 이론 강의는 최소화하고 핸즈온 시간을 늘려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세미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첫 날에는 △Mucogin gival surgery의 임상적 활용과 Concept 이해 △Donor site preparation △Apically positioned flap Vestibulopla sty △Freegingival graft △Connective tissue graft
가이스트리히코리아(이하 가이스트리히)가 다음달 19일 부산 디오 본사 대강당에서 발치와 관리와 관련한 ‘Geistlich Symposium 2016 Pusan’을 개최한다.‘발치와 관리의 모든 것, 치조능 보존술에서 즉시식립까지’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에는 이탈리아 밀라노치과대학의 Paolo Casentini 교수가 강연에 나서 2시간여에 걸쳐 임상 지견을 펼칠 예정이다.Paolo 교수는 이번 강연회에서 ‘Modern Management of the post-extractive site from ridge preservation to immediate implants’를 주제로 강연에 나선다. 그는 최신 임상 자료 리뷰부터 재생치료 분야의 최신 연구결과와 현재의 치료개념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강연회는 김용덕 교수(부산치대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가 모더레이터를 맡아 원활한 강연과 토론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강연회는 150명 선착순으로 등록이 가능하며, 등록비는 무료다. ◇문의 : 02-553-7632신종학 기자 sjh@sda.or.kr
가이스트리히코리아(이하 가이스트리히)가 올해 상반기를 치주 및 임플란트 관련 상악동처치와 GBR 등 각종 핸즈온 세미나로 풍성하게 채울 전망이다. 먼저 가이스트리히 세미나실에서 열리는 상반기 서울 핸즈온 코스는 구기태 교수(서울치대 치주과학교실)의 ‘감염된 발치와 이야기’로 시작된다. 구 교수의 세미나는 오는 16일 진행될 예정이다. 구기태 교수는 발치와의 입체적인 형태의 보존을 위해 감염발치와의 개념과 이를 손쉽게 처치할 수 있는 노하우를 전달할 계획이다.그는 먼저 감염된 발치와의 증상 및 형태를 살펴 그 개념부터 정리해 줄 계획이다. 이에 세미나에서는 △발치와 biology △간단하고 쉬운 감염발치와 치료법 및 감염부위 처치법과 이식 후 연조직 처치법 △감염발치와 염증단계별 치료법 등을 단계별로 제시한다. 또한 실습에서는 특수 설계된 덴티폼을 이용한 감영발치와 염증단계별 치료법이 다뤄질 예정이다.이날 세미나에서는 구기태 교수의 핸즈온 세미나와 함께 박준석 원장(에스플란트치과병원)이 ‘내 진료에 이득이? 그렇다면 적용을’을 주제로 발치와 관련 보험 이야기를 풀어줄 예정이어서 더욱 기대를 모은다.구기태 교수 세미나는 오는 9월 3일 하반기에도 다시 만날 수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조기영·이하 치주과학회)가 최성호 부회장을 차기회장으로 선출했다. 치주과학회는 지난달 12일 정기이사회 및 차기회장 선출을 위한 확대이사회를 개최, 만장일치로 차기회장을 추대했다. 최성호 차기회장은 이 자리에서 “회원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회원들의 참여를 증가시키며, 회원 권익 향상 등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아 사업들을 기획할 것”이라면서 “대국민 홍보를 위한 잇몸의 날 행사를 강화하고 노인환자 관리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개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치주질환과 전신질환과의 관계와 관련해 NCD 관련 홍보에도 힘을 기울여 학회의 공적인 역할수행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전해 관심을 모았다. 이 외에도 최성호 차기회장은 전문의 관리, 수련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해외 학회와의 지속적인 교류 등 그간의 회무경험이 바탕이 된 다양한 사업구상을 밝히기도 했다. 한편, 치주과학회는 회장 임기시작 1년 전 명예회장, 직전회장, 학회 임원, 감사 및 지부장들이 참석하는 확대이사회를 통해 차기회장을 선출하고 있다. 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가이스트리히코리아가 내년 1월 9일 첫 핸즈온 코스를 부산에서 진행한다. 부산치과의사신협에서 진행될 이번 핸즈온 코스는 ‘Bone series for Extrac tion Socket Management’를 주제로 단국대학교치과병원 신현승 교수와 박정철 교수 그리고 조인우 교수 등이 연자로 나설 예정이다.이번 핸즈온 세미나는 △Bone Iden tity: 발치와의 Bone biology △Bone Supremacy: 케이스 별 최선의 치료 recipe △Bone Ultimatum: Open healing 테크닉 △Suture 완전 정복 시 일별 치유 양상 소개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특히 이론 교육 후에는 △치조제 보존술의 모든 것 △Back to the Suture 핸즈온 등을 소주제로 핸즈온 실습이 진행될 예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임플란트 식립 시 GBR 술식을 잘 해주면 된다는 생각에 Ridge preservation을 시행 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이번 세미나를 진행하는 신현승 교수 등은 최근 발치와 처치에 대한 임상연구를 진행하면서 오히려 발치와 관리 술식을 통해 술자와 환자 모두가 큰 메리트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이에 이번 세미나
가이스트리히코리아(이하 가이스트리히)가 지난 6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롬에서 ‘2015년 Geistlich Symposium Seoul’을 성황리에 개최했다.이번 가이스트리히 심포지엄은 ‘행복한 치과경영을 위한 재생 테크닉’을 주제로 열려, 170여명이 참석해 강연장을 가득 메웠다. 가이스트리히 관계자는 “애초 150명까지 사전등록을 마감했는데, 등록문의가 쇄도해 좌석을 추가해야만 하는 등 이번 심포지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았다”고 전했다.이번 심포지엄은 주제에서도 살필 수 있듯이 무엇보다 임상 테크닉을 업그레이드해 행복한 치과경영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췄다. 여기에 개원의 및 공직 교수들의 적절한 연자 배합 그리고 임상뿐 아니라 치과보험 영역까지 다뤄 임상과 치과경영에 관한 노하우를 모두 섭렵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심포지엄에는 허인식 원장(허인신치과), 구기태 교수(서울치대 치주과), 창동욱 원장(윈치과), 최병호 교수(연세대원주세브란스병원 치과), 박정현 원장(보아치과) 등이 연자로 나섰다. 심포지엄 첫 강연은 가이스트리히 본사 RD 센터의 Niklaus Stiefel이 연자로 나서 ‘Collagen Science at Geistlich Ph
지난 10월 17일 시작해 총 6회에 걸쳐 진행된 ‘四人四色 실전 치주 연수회’가 지난달 8일 마무리됐다. 신흥이 주최한 이번 세미나는 신흥연수센터와 서울A치과 등에서 이론 및 핸즈온 실습으로 진행됐다.이번 세미나에는 김도영 원장(김전치과), 김현종 원장(가야치과), 이학철 원장(서울A치과의원) 등 치과 관련 확실한 임상 노하우를 공유했으며, 신승윤 교수(경희치대 치주과), 고영경 교수(서울성모병원 치주과) 등이 임상은 물론 치주치료 관련 과학적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지견을 펼쳤다.첫 세미나가 진행된 지난 10월 17일에는 Treatment planning(Nonsurgical vs surgical, extraction etc)이 진행됐으며, 2회차에서는 △Periodontal examination △Instrumentation △Antimicrobials 강의와 △치주낭 측정/charting △Root planning 치아 △Root planning 덴티폼 △Root planning unit chair △Root Planning 마네킨 △Sharpening 등 핸즈온 실습이 진행됐다. 3회차에서는 △Furcation △Root resection △Su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조기영·이하 치주과학회)가 공중보건의 대상 ‘치주병 대국민 홍보를 위한 직무교육’을 진행했다. 지난달 24일 대한공중보건치과의사협회(회장 최순호·이하 공보의협)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는 치주과학회가 치주병 대국민 홍보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전국의 공중보건의를 대상으로 교육을 제공한 것. 지난 15일 덴티움 세미나실에서 개최된 이번 교육은 ‘치주수술 및 임플란트 수술을 위한 원데이 핸즈온’으로 구성, 30여명의 공중보건의가 참가했다. 직무교육 1부는 치주수술과 임플란트 수술에 대한 연수회로, 민경만 공보이사의 강연과 이동운 공보실행이사의 시연으로 진행됐다. 특히 연수회 운영을 위해 치주과학회 임원진 5명이 패컬티로 참여해 효과를 높였다. 직무교육 2부는 잇몸의 날과 관련해 강의내용 및 사업의 목적, 진행방법 등에 대한 설명과 토론 시간이 이어졌다. 공보의협 최순호 회장은 “영유아 및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한 치아우식 및 예방사업, 노인무료틀니 사업으로 국한된 보건소 구강보건사업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적극적인 참여를 약속했다. 한편, 치주과학회 조기영 회장은 “성인의 70% 이상이 고통받고 있는 치주병에 대한 위험
부산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원장 박봉수·이하 부산치대) 김현철 교수(보존학교실)가 지난 15일 말레이시아 근관치료학회가 개최한 학술대회에 키노트 스피커로 참가했다. 이번 김 교수의 방문은 말레이사아 근관치료학회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김 교수는 이날 학술대회에서 △Essential and Efficient Endodontic Procedure △Characteristics of Nickel-Titanium Endodontic Instru ments and Its Clinical Impli cations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부산치대 관계자에 따르면 김 교수의 강연에 350여명의 현지 치과의사가 참석하는 등 매우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특히 강연 후에도 니켈티타늄 파일과 관련한 다양한 질의가 이어진 것은 물론, 현재 말레이시아 근관치료학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연구 프로젝트에 자문 역할을 해달라는 요청을 받기도 했다. 부산치대 관계자는 “현재 말레이시아에는 치과전문의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기관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최신 근관치료에 대한 연구 및 강연이 많이 요구되고 있는 만큼 국내 치의학의 역량을 전파할 수 있는 다양한 루트를 개발 중에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