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의 관심사였던 18대 대통령 선거가 집권당의 과반수 득표와 야당의 역대 2번째 다득표로 끝났다. 두 대통령후보 모두 최선을 다한 선거였고, 어느 때보다 선거 열기가 뜨거웠다. 야당은 19대 총선에 이어, 도저히 질 수 없는 선거를 졌다며, 당을 대표하는 이들이 사퇴하였고, 집권당은 조용히 인수위를 꾸려 갈무리 하는 형국이다. 선거결과가 발표되자 많은 이들이 50대 선거 참여율에 놀라워했다. 무려 89.9%에 이르는 이들이 투표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의 보수성향이 선거결과를 바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 속도는 지금까지 인류가 경험해보지 못한 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6년 즈음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의 인구로 구성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정치적으로 보수 성향을 띠는 노인층에 의해 선거 결과가 좌지우지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19대 총선과 18대 대선의 결과가 그 시작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미래에 대통령이 되려고 하거나 집권당을 유지하려면, 노인들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 확대해야 할까? 그러나 뒤집어 보면, 50대도 15년 전에는 30대였고, 시대의 변화를 갈망하는 이들이었고, 군부독재에 맞선 넥타이부대였으니, 그들이 보수 성향으로 변화한 것이 세계관의 변화나 시대정신이 사라진 것은 아닐 것이라 생각한다. 직장에서 가정에서 사회에서 뒤로 밀려나고, 입지가 좁아지고, 설자리가 없어져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과 회의를 느낀 것은 아닐까 하는 조심스런 짐작을 해본다. 흥분한 몇몇 젊은 누리꾼들은 인터넷 포털의 토론 사이트에 노인의 지하철 무임승차 중단을 청원하고, 선거권을 제한하며, 복지정책을 줄여달라는 집단민원을 시도하는 등 선거의 후폭풍이 세대갈등으로 점화되는 것 같아 안타깝기 그지없다. 100% 대한민국을 추구하는 차기 정부에서 생각이 다른 48%를 포용할 수 있는 용단을 기대한다.
새해 벽두부터 치과계에도 두 가지 큰 문제제기가 있다. 치협 회장 선거방식과 전문의 문호개방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여러 차례 논단을 통해 치과계 성원 모두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했지만, 급기야 실력행사와 같은 충돌이 일어나고야 말았다. 현재 전문의들은 기존의 임의수련자와 자신을 지도했던 교수님들마저 전문의가 아니라고 홀대하며 경시하고, 일부는 자신들은 명품이고 다른 이는 동대문표라는 광고마저 서슴지 않고 있다.
전문의에 관한 보건복지부 안을 보면 의과와 같은 방식으로 문호 개방을 하려하고, 치협은 그 길이 피해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이라고 일부분 동의하는 것 같다. 이러한 방식은 대다수 비 수련 개원의들에게는 충격과 공포로 다가올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임시 대의원 총회를 거쳐 논의한다지만, 대의원의 구성원을 보면 이 또한 세대갈등을 되풀이 할 수 있다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논의의 과정 중에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의견수렴이다. 다양한 계층의 목소리를 겸허하게 수용하고 소수의 의견도 소중하게 받아들이는 자세가 진정한 리더의 조건이 아닐까 한다.
지금의 세대 갈등은 여태 우리가 보아왔던 것과 차원이 다르다. 예전에는 오래 사는 것이 행복이고 축복이었지만, 요즘은 자식부양을 위해 경제적인 활동을 해야만 하는 노인인구가 늘어나고 있고, 그것이 젊은이들이 일 할 수 있는 기회를 줄이며, 기득권으로 가득한 세상을 바꾸고자하는 요구와 현재의 시대에 적응하기도 벅찬 삶이 충돌하는 생생한 현장이다. 갈등의 중재는 리더의 덕목이다. 빅맨(Big Man)은 자신이 속해 있는 공동체에 굶주리고 아픈 이가 있는 것을 수치로 여긴다고 했다. 자신의 것을 내놓고 다른 이들의 참여를 바라는 것, 이것이 세대 간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제안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