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의 증가가 의료보장성 확대라는 현실로 나타나 더 큰 치과의료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치의학에 다가오는 큰 변화의 물줄기는 바로 디지털덴티스트리다.
그간 의료기기와 디지털에 대해 다양한 관심과 세미나를 개최해온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연구소(소장 신상완·이하 연구소)가 지난달 25일 고려대 구로병원 개원 30주년을 기념해 ‘Vision of Digital Dentistry’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막바지 휴가철임에도 불구하고 200여명이 참석해 강연장을 가득 메웠다.
이날 심포지엄은 총 4개 세션 9개의 강연이 마련돼 교정, 치아우식, 임플란트, 오랄스캐너, 캐드캠 등 치과계 전반에 걸쳐 디지털을 활용하는 강연이 이어졌다.
특히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하 기술평가원) 의료기기 총책임자인 허영PD의 ‘창조경제를 위한 의료기기산업기술 R&D전략’ 강연은 정부의 의료기기 R&D사업에 치과계의 참여가 부족한 점을 지적하며 치과계가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R&D사업에 대해 알려주는 시간이 됐다.
신상완 소장은 “허영PD의 강연은 우리 치과계가 R&D사업에 참여하는 방법을 습득하는데도 의의가 있지만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치과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디지털 의료기기장비들을 기술평가원에 소개하는 자리도 겸했다”며 “단순히 제품에 대한 자료 제공보다 치과계 자체적인 노력을 잘 전달하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고 전했다. 치의학 전 분야에 걸쳐 디지털 활용방법이 강연된 만큼 참가자들은 쉬는 시간에도 자리를 비우지 않고 궁금증을 연자에게 질의하는 등 뜨거운 열기를 보였다.
연구소 측은 “고대구로병원 치과가 의료기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만큼 심포지엄에서 디지털 장비를 활용하는 법을 소개했고 참가자들이 디지털에 대해 더 친숙하게 여기고 많이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됐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김희수 기자/G@sda.or.kr
인터뷰 신상완 소장 (고려대 임상치의학연구소) 의료기기 발전 구심점 될 것
Q. 이번 심포지엄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 디지털을 전부분에 걸쳐 사용하는 법을 기본 컨셉으로 의료기기 시장에서 치과계의 위치를 높일 수 있도록 허영PD 강연을 배치했다. 치과 의료기기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고민을 함께 다뤘다.
Q. 치과 의료기기 발전을 위해서는? -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의료기기 R&D 사업에서 치과계의 영역을 늘려가기 위해서는 구심점이 필요하다. 고대구로병원이 플랫폼을 만드는데 주춧돌이 되겠다. 산·학·병 네트워크를 추진해 치과계에도 의료기기 플랫폼이 만들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연말안에 워킹그룹을 조직하는 등 본격적인 행보에 나설 계획이다.
김희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