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임상치의학대학원(이하 임치원)의 생생한 노하우를 경험할 수 있는 심포지엄이 열렸다. 지난 8일 고려대 신의학관에서는 제7회 임치원 공동학술제를 겸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심포지엄’이 개최돼 관심을 모았다.
고대임치원 주관으로 800여명의 치과의사와 100여명의 임치원 학생들이 몰린 이번 심포지엄은 임플란트, 교정, 보존·치주 3개 세션으로 나눠서 진행됐다.
유광사홀에서 진행된 임플란트 세션은 그간 고려대학교 임플란트 연구소가 진행해온 심포지엄의 성과를 바탕으로 디지털을 활용한 진단부터 최신 술식과 시술 시 고려해야 할 유의점 등이 다뤄졌다. 임플란트 식립 후 시간변화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에서의 생물학적 변화와 성공적인 immediate loading 치료를 위한 과학적 접근법을 소개한 전상호 교수(고대임치원)의 강연을 시작으로, 이정근 교수(아주대임치원)와 이정열 교수(고대임치원)의 임플란트 최신지견과 박지만 교수(이대임치원)의 디지털 임상 활용법이 소개됐다. 임플란트 세션에서는 늘어나는 의료분쟁에 대비한 판례를 중심으로 임플란트 의료 과오를 다뤄 관심을 모았다.
이외에도 근막동통 권위자인 강운규 교수(고대병원 재활의학과)의 치과의사를 위한 ‘올바른 자세와 운동법’과 이비인후과와 영역다툼이 있는 수면무호흡에 관련해서도 이승훈 교수(고대병원)가 이비인후과와 치과의 이상적인 협진모델을 선보여 주목받았다.
최신 교정재료를 소개하고 발전된 술식을 소개한 교정세션에서는 최근 활발한 연구활동을 펼치고 있는 강윤구 교수(경희치대), 김민지 교수, 조일식 교수(고대임치원)가 최신 교정지견을 소개했다. 점차 늘어나고 있는 성인 교정환자를 위한 노하우를 공개한 모성서 교수(가톨릭대)의 강연은 좌석이 부족할 만큼 성황을 이뤘다. 이어 교정의 기본바탕인 악관절에 대한 안석준 교수(서울치대)와 송윤헌 원장(아림치과병원)의 강연은 교정치료의 이론적 토대를 탄탄히 만드는 기회가 됐다.
보철·치주 파트 강연에도 많은 참가자가 모였다. 특히 오후에 진행된 최연조 교수(고대임치원), 황성연 원장(사람사랑치과), 최희수 원장(21세기치과)의 강연은 보험에 대해 높아진 관심을 반영하듯 만석을 이뤘다.
최연조 교수는 보철 최신지견을 소개하면서 특히 최근 보험급여 항목에 작년과 올해 들어온 덴처를 중심으로 강연했고 황성연 원장은 치주치료를, 최희수 원장은 보존·보철은 물론 보험청구와 관련된 다양한 노하우를 전달했다.
한편 2014년 임치원 공동학술제는 한림대임치원의 주관으로 열릴 예정이다.
김희수 기자 G@sda.or.kr
인터뷰_류재준 조직위원장
임치원도 보수교육 인정해야
각 임치원의 특색은 살리면서도 공통 관심사는 한곳에 묶는 작업이 필요했다. 수년간 쌓아온 임치원만의 노하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보험강연과 치과의사의 건강을 위한 근막동통 강연은 개원가를 위한 맞춤 강연으로 준비했다.
Q. 심포지엄 명칭이 자주 바뀌었는데? 교육부의 인정을 받은 임치원은 아이러니하게도 보수교육 점수를 부여받을 수 없다. 치협의 보수교육 규정에 부합하기 위해 명칭을 수정하다 보니 벌어진 현상이다. 복지부에 건의를 통해 임치원도 보수교육 점수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Q. 심포지엄을 개최한 소감은? 그간 단일 세션의 심포지엄 위주로 개최해오다가 다양한 주제를 가진 심포지엄을 준비하다 보니 부족한 부분도 많았다. 합심하여 도와준 조직위원들 덕분에 성공적인 대회를 개최할 수 있었고 이번 경험은 고대임치원이 발전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김희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