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임플란트 임상지식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돼 기대를 모은다.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회장 김성균·이하 KAOMI)가 다음달 10일 부산 벡스코에서 ‘2023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Dynamic Busan, Enjoy Total implant suggesting-즉시 적용 가능한 최신 임플란트 컨셉’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KAOMI 추계학술대회는 치과계 저명 연자들이 임플란트와 관련된 다채로운 주제로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먼저 ‘임플란트 치의학에서 디지털 스캐너의 임상적 활용’ 세션에서는 △임플란트 영역에서의 디지털 스캐너 선택 시 고려사항(박지만 교수) △디지털치과! 무엇부터 고민할까?(강동휘 원장) △임플란트 치료를 위한 스캐너(한종목 원장) △커스텀 어버트먼트 가공 에러를 보정하는 방법(김동환 원장) △3D Face scanner의 임상활용(문정본 원장) 등의 강연이 펼쳐진다. ‘Peri-implantitis(진단, 예방 및 처치법 A to Z)’ 세션에서는 △Peri-implant 발생 현황 및 발생 원인(강선우 교수) △Peri-implantitis의 정확한 진단기준, 치료계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코웰메디가 다음달 23일, 연세대학교 백양누리에서 ‘하루 만에! 골증강술 완전 정복!’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이근용 원장(울산참치과)과 임필 원장(NY필치과)이 연자로 나서 각자의 임상 노하우를 아낌없이 공개할 예정이다. 먼저 이근용 원장은 ‘전치부 심미부위에서의 발치 후 즉시식립, 치조제 보존술’을 연제로 강연을 펼친다. 이어 임필 원장이 ‘GBR/상악동 거상술’에 대해 강의한다. 코웰메디 관계자는 “개원의들 임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두 연자를 초청해 세미나를 개최하게 됐다”면서 “참가자에게는 4만5,000원 상당의 뷔페와 FDA, CE 승인을 받은 코웰메디의 대표 제품, 비흡수성 차폐막 ‘Wifi-Mesh’ 1ea를 제공하는 이벤트도 진행된다”고 전했다. 해당 세미나는 선착순 200명으로 인원이 제한되므로, 참여를 원하는 치과의사는 접수를 서두르는 것이 좋다. 세미나 등록은 코웰메디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된다.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회장 송영대·이하 이식학회)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중지됐던 다양한 대면 학술행사를 재개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에 올해 새로 구성된 이식학회 24대 송영대 회장 집행부는 첫 학술행사로 다음달 11일 서울대치과병원 서정선세미나실에서 2023년도 제1차 학술집담회를 개최한다. ‘Medical Problem을 가진 환자에서 성공적인 치과 임플란트 치료’를 대주제로 삼고 열리는 이번 학술집담회는 젊고 유능한 연자들을 초청, 전신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이슈를 점검해 보고, 성공적인 임플란트 치료로 연결하는 방법을 공유할 예정으로 기대를 모은다. 먼저 한정준 교수(서울치대 구강악안면외과)가 ‘출혈성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의 임플란트 수술’을 주제로 출혈성 전신질환 환자들의 임플란트 수술증례에 대한 고찰과 다양한 수술 접근법 등을 소개한다. 이어 박성민 교수(단국치대 구강악안면외과)가 ‘골다공증(osteoporosis) 환자에서의 발치 및 임플란트 치료전략’을 통해 임상에서 자주 만나는 골다공증 환자들의 상황을 어떻게 분류하고, 발치 및 임플란트 수술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상세하고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신흥이 다음달 3일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 그랜드볼룸홀에서 개최되는 임플란트 심포지엄 ‘Shinhung Implant Dentistry 2023(이하 SID 2023)’의 세부 내용을 공개했다. 임플란트 임상 시 고민하게 되는 순간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이번 SID 2023은 △보철 △수술 △Multi-disciplinary Decision Making △라이브 서저리 △라이브 서저리 토론 등으로 구성된다. 이번 SID 2023에서 반드시 챙겨야할 강연은 ‘Learn with SIS Experts’다. SID 2023에서 처음 선보이는 강연 형식으로 SIS(Shinhung Implant System) 사용 케이스에 대한 15분짜리 짧은 강연으로 구성된다. SIS 사용 시 각 증례를 통해 임상팁을 얻어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보철 섹션에서는 ‘보철 시 결정장애: 디테일은 어렵다’라는 대주제 아래 △이양진 교수(서울치대)의 ‘놓치고 있는 부분 무치악 고경결정 오류’ △홍성진 교수(경희치대)의 ‘아직도 모르고 있는 상부 보철’ △김지환 교수(연세치대)의 ‘완전 무치악수복의 고정성 혹은 I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오스템임플란트(대표 엄태관·이하 오스템)가 오는 26일부터 다음달 24일까지 서울 마곡 본사 연수센터에서 Digital Dentistry 활용도를 높이고 현장 적용을 목표로 ‘디지털 세미나’를 개최한다. 천세영 원장(디지털허브치과)이 연자로 나서는 이번 세미나는 디지털의 시작부터 심화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폭넓게 다룰 예정이다. 총 5개 주제로 개인 맞춤형 이론과 실습 위주의 교육으로 진료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에 초점을 맞춰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세미나에서는 참가자 개인별 PC, Trios, 엔진, 마네킨, 키트, 모델 등 실습 기자재를 지원해 임상과 최대한 비슷한 환경에서 교육을 진행한다. Inlay, Crown, Bridge 및 Denture까지 Dental System 프로그램을 이용해 직접 디자인 후 3D 프린터 OneJET를 이용해 출력 후 체결 가능해 디지털의 간편함과 정확성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OneGuide System도 현장에서 충분히 습득할 수 있도록 별도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Trios로 모델 스캔 후 Implant stuido를 통해 guide template을 직접 디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오스템임플란트(대표 엄태관·이하 오스템)가 오는 10월 14일부터 오스템임플란트 전주 연수센터에서 총 24회에 걸쳐 ‘마스터코스’를 시작한다. 이번 전주 마스터코스에는 최호철 원장(네오치과), 오승환 원장(오승환힐링치과), 박종현 원장(서산두리치과) 3명이 연자로 나서 각각 △베이직 △수술 △보철 과정을 진행한다. 오는 10월 14일부터 내년 1월 21일까지 8회에 걸쳐 진행되는 마스터코스 베이직 과정은 최호철 원장이 담당한다. 베이직 과정에서는 임플란트 시술의 개념과 기초에 집중해 수술과 보철에 대한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오승환 원장은 내년 2월 17일부터 5월 26일까지 마스터코스 수술 과정을 진행한다. 오 원장은 다양한 형태의 임플란트 임상 케이스에 대해 설명하고, 증상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방법을 집중 교육한다. 수술 심화 과정에 대한 이론은 물론, 임상 노하우를 가감없이 공유할 예정으로 더욱 기대를 모은다. 박종현 원장은 내넌 6월 15일부터 9월 29일까지 보철 과정을 진행한다. 임플란트 식립 위치 및 각도에 따른 어버트먼트 선택과 인상채득 등 임플란트 보철부터 일반 보철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바이오템(대표 이영호)이 9월 6일 대구를 시작으로 △부산(10월 19일) △서울(11월 9일) △광주(11월 16일) △인천(12월 14일) 등에서 ‘BIOTEM GBR 세미나’를 순회 개최한다. ‘Simplified 3-Dimensional Ridge Augmentation Usinng SANTA & Sohn’s Bone Builder(SBB)’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는 바이오템 SANTA와 SBB를 이용한 성공적인 치조골증대술 및 상악동 거상술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다. 자세한 커리큘럼을 살펴보면 △임플란트 동시 식립과 SANTA를 이용해 쉬운 방법으로 심하게 흡수된 수직골 증대술 △Sohn’s Bone Builder(SBB)를 이용해 심하게 흡수된 치조골 간단하게 재건 △심하게 흡수된 치조골의 재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감장절개의 완전정복 등이 마련됐다. 바이오템 관계자는 “세미나에서는 손동석 교수가 ‘Tent-Pole Grafting technique을 통한 3차원적 치조골융기 결손 재건술’, ‘상악동골증강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룰 예정”이라며 “많은 치과의사들에게 SANTA와 SB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오(대표 김진백, 한익재)가 지난달 28일 중국 광저우에서 ‘2023 디오 디지털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디오는 지난 5월 중국 성도에서도 심포지엄을 개최, 디지털 임플란트 ‘디오나비’를 비롯해 새로운 디지털 보철 솔루션 ‘DIO Cementless Prosthetics System’ 등을 소개해 뜨거운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장소를 광저우로 옮긴 이번 심포지엄 역시 100명이 넘는 참가자가 강연장을 가득 메우는 등 디오의 디지털 솔루션에 대한 중국 현지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포지엄은 ‘디오나비’와 ‘디오나비 풀아치’에 대한 정동근 원장(세계로치과병원)의 강연으로 포문을 열었다. 정 원장은 ‘디오나비’를 이용한 디지털 임플란트 수술법과 가이드 수술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과 해결법을 제시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어 중국 현지의 시빈 교수(무한대학구강의원)가 ‘디오나비 풀아치의 A to Z’라는 강연 주제로 풀 디지털 무치악 솔루션에 대한 임상지견을 펼쳤다. 또한 왕리핑 교수(광저우의과대학부속구강학원)는 전치부 심미 임플란트의 합병증 예방법을 소개했다. 디오 중국법인장 김태영 부사장은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가 차세대 글로벌 연자 발굴 프로젝트 MEGA′MIND 2023의 대륙별 리그 우승자 20명을 선발했다. 국가별, 대륙별, 파이널 리그 순으로 치뤄지는 MEGA’MIND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전 세계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진행됐고, 총 50여개국 330여명이 지원하는 등 높은 관심을 이끌었다. 지난 3월 2일부터 6월 2일까지 진행된 국가별 리그는 비대면/대면 15분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해 총 75명의 우승자가 대륙별 리그에 진출했다. 지난 6월 26일부터 7월 13일까지 중동아프리카, 아시아, 대한민국, 유라시아, 아메리카&오세아니아, 유럽에서 동시에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 대륙별 리그에서는 치열한 경쟁 끝에 총 20명의 우승자가 선발됐다. 국가별 리그 우승자 75명 중 재지원자는 19명, 대륙별 리그 우승자 20명 중 재지원자는 4명으로 20%를 차지했다. 관계자는 “지난해 우수한 성적을 보인 지원자가 올해도 참가해 대륙별 리그 우승자로 선정되는 등 글로벌 연자를 향한 열기와 MEGA’MIND에 대한 관심이 더해져 리그의 활력을 불어넣었다”고 전했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지난 22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코웰메디 GBR 세미나’가 치과의사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날 세미나에는 이근용 원장(울산참치과)과 임필 원장(NY필치과)이 연자로 나서 열띤 강연을 펼쳤다. 먼저 이근용 원장은 발치 후 즉시 식립으로 인한 치조제 보존술의 필요성과 장점에 대해 짚었고, 이에 대한 성공 임상사례를 공유함과 동시에 그 반례를 비교로 제시하며 수강생들의 이해를 도왔다. 이어 임필 원장은 △GBR을 위한 필수 요인 △실패 사례 원인 분석 및 해결방안 △InnoGenic짋 GBR Kit와 코웰BMP를 사용한 성공사례 △상악동거상술의 개념과 임상사례 등을 통해 GBR과 상악동거상술에 대한 핵심 내용을 다뤄 관심을 집중시켰다. 코웰메디는 이번 세미나 인기에 힘입어 다음달 23일 연세대학교 백양누리에서 두 원장과 함께 앵콜 세미나를 연다. 아울러 8월 11일과 18일, 25일에는 코웰메디 서초지부에서 박종민 소장(민치과기공소)이 구강스캐너 및 3D프린터 활용 관련 세미나도 진행할 예정이다. 코웰메디 관계자는 “앞으로도 많은 개원의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익한 강의를 마련할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임플란트 국제 심포지엄 ‘Shinhung Implant Dentistry 2023(이하 SID 2023)’의 사전등록 혜택이 추가됐다. 기존 SID 2023 사전등록자에 한해 행사 당일 임플란트 부스 방문 시 ‘S-Oss’ 0.15g 1ea 증정에 이어 ‘Microsurgery Surgical Gloves’ 1통을 추가 증정한다. ‘Microsurgery Surgical Gloves’는 글러브 부스 방문 시 현장에서 제공된다. 제14회 SID 2023과 제15회 SID 2024를 2년 연속 참가하는 치과의사에게는 Hu-Friedy 어트라우마이어 포셉을 증정하기로 했다. 지난 6월 2023 DV Space World Seoul 행사 2년 연속 참가 시 Hu-Friedy 어트라우마이어 포셉을 증정한 것이 관람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제14회 SID 2023 사전등록은 현재 DVmall에서 진행 중이다. 사전등록비는 5만원, 현장 등록비는 10만원이다. 사전등록비 전액은 DV Point로 100% 적립된다. 등록비 전액은 (재)신흥연송학술재단을 통해 전국 치과대학에 기부된다. 명품 임플란트 심포지엄으로 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노바케어(대표 정광명)가 8월 20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넌헥스 임플란트의 비밀Ⅱ-임플란트 임상의 Paradigm Shift’ 앵콜 세미나를 개최한다. 노바케어는 지난 6월 진행한 ‘넌헥스 임플란트의 비밀’ 세미나에 대한 참가자들의 뜨거운 성원에 힘입어 앵콜 강연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실제 임상에서 넌헥스 임플란트를 사용하고 있는 연자들이 총출동해 제품의 장점은 물론, 개원가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여러 문제에 대한 쉽고 빠른 해결법을 제시할 예정이다. 먼저 지난 강연에서 큰 호응을 얻었던 라성호 원장(서울미소치과)이 ‘발치즉시 임플란트의 결정적 순간’을 연제로 강연을 펼친다. 구대회 원장(구대회현미경치과)은 ‘내가 non-hex TS3로 정착한 이유’에 대해 강의하고, 김성환 원장(일원사랑치과)이 ‘38년, 넌헥스 임플란트의 역사’를 다룬다. 김정순 원장(나란이치과)과 박상욱 원장(연세이로운치과)은 각각 ‘위험을 피해 SSG 심는 넌헥스 4.0’, ‘거부하기 힘든 넌헥스의 매력’을 통해 제품의 특징을 소개하고, 박성철 원장(서울이로운치과)이 ‘넌헥스 기성 지대주 사용 시 유의사항’, 박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오(대표 김진백, 한익재)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부산 센텀 본사에서 태국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NYU DDA를 개최했다. 지난 2018년 처음 개최된 디오의 NYU DDA는 뉴욕대치과대학과 공동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해 △디오나비 이론 △영상교육 △핸즈온 △라이브 서저리 참관 등 다양하고 퀄리티 높은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매년 1,000여명의 디지털 치의학 전문가를 배출하며 글로벌 인재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태국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이틀간 진행된 이번 NYU DDA는 ‘디오나비’와 함께 디지털 무치악 임플란트 솔루션 ‘디오나비 풀아치’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는 시간을 가졌다. 최병호 명예교수(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가 연자로 나서 ‘디오나비’를 이용한 디지털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과 가이드 수술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및 해결방법까지 공유하며 이목을 끌었다. 특히 ‘Digital Guided Full Arch Treatment’를 주제로 한 ‘디오나비 풀아치’ 강연은 디오가 보유한 디지털 무치악 임플란트 솔루션의 모든 것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으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어 ‘디오나비’를 활용한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가 오는 8월 1일부터 31일까지 여름특집 온라인 세미나 방송을 편성, 파격적인 연자 라인업의 강의를 다시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메가젠 측은 “실시간 스트리밍 온라인 강의 특성상 재방송에 대한 끊임없는 요청이 있어 휴가 시즌에 맞춰 특집 방송 편성을 결정했다”며 “다년간 휴가 시즌을 함께한 기획인 만큼 편성 확정 전부터 강의명과 상세일정 등 문의가 쇄도해 이번 편성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메가젠은 ‘무더위를 극복하는 가장 현명한 방법’을 타이틀로 올해 상반기에 방영되었던 온라인 세미나 강의를 다시 볼 수 있도록 준비했다. 매회 동시 시청자 신기록을 갱신하고 있는 메가젠의 대표 온라인 강의로 구성, 총 17명의 연자진과 23편의 케이스를 모아 다시 볼 수 있다. 메가젠 대표 세미나 강의로 꼽히는 ‘Case discussion’은 지난 2019년 첫 방송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5년 간 32명의 연자와 200편 이상 방송을 진행했다. 매회 임상에 필요한 유용한 강의 진행 및 한가지 테마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임상 케이스로 호평 받고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민국 임플란트 임상과 관련 치과산업의 획기적인 발전은 세계가 모두 인정한다. 특히 건강보험 급여항목에 임플란트가 포함되면서 대중화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졌다. 하지만 국내 임플란트가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급속하게 대중화되면서 환자들이 가장 많이 컴플레인을 제기하는 치과항목 중 하나라는 오명까지 얻게 됐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나라 임플란트계를 이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대표 연자들이 하나로 뭉쳐 이 숙제를 풀려고 한다.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가 오는 9월 16일부터 ‘메가스쿨’을 진행한다. 메가젠은 “대한민국 미래 치의학을 이끌어 갈 젊은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메가스쿨’ 교육 프로젝트를 기획, 임플란트학의 지속적인 발전은 물론, 궁극적으로 임플란트 전문 인재를 양성한다는 큰 목표로 이번 장기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했다”고 밝혔다. 메가스쿨은 교육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소수정예로 운영한다. MAP, ORDA, MASTERS 이상 3개 강의 그룹으로 나눠 단계별로 진행된다. MAP 코스는 MAP(Mission All Possible)연구회의 이승근 원장과 김정현 원장, 박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