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도, 통증 관련 강연에 매진하던 정일영 교수(연세치대 보존과)가 감염과 예방에 관심을 갖게 된 데에는 연세치대병원의 역할이 컸다. JCI 인증 이후 ‘국제의료기관’으로서 명망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던 연세치대병원 측이 ‘안정성 증진’을 강조하며 감염 관리에 적극 나선 것.
당시 진료차장을 맡고 있던 정 교수에게 감염 방지를 위한 직원 교육 업무가 주어졌고, 각 과에 일임하기보다 병원 전체를 관리·개선해야겠다는 생각에 관련 자료를 모으며 연구에 임한 것이 감염 분야의 명연자로 거듭나는 계기가 됐다.
의료기관 내 감염 문제는 ‘침묵의 유행병(Silent Pandemic)’으로 불린다. 대표적인 것이 C형 간염. HIV의 6배에 이르는 감염력을 갖고 있지만 변종 바이러스라 백신 배양이 어려운 C형 간염의 경우 혈액이 묻은 도구를 통해 전파되기 쉬워 치과계의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발치, 임플란트 등 출혈성 시술은 물론 의료기기에 찔리거나 점막을 통한 혈액노출의 위험도 무시할 수 없다. 마취도 예외는 아니다. 세균 침임으로 인한 교차 감염의 우려도 높다.
“메디컬에 비해 침습적인 성격이 강한 치과 치료의 특성을 고려한 적극적인 감염 관리가 필요하다”는 정 교수는 “의료진은 물론 스탭, 환자까지 감염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리 체계도, 관련 장비도 미비하고 허술한 것이 현실”이라며 “진료 시 마스크나 글러브 등을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감염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데 관심과 주의가 부족한 것 같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위험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와중에 감염 관리를 다루는 독립 과목을 개설·운영하는 교육기관이 턱없이 부족한 것도 또 다른 문제”라는 지적도 덧붙였다. 현재 감염 관리를 정규과목으로 편성하는 치과대학으로는 연세대학교가 유일하다. 정 교수는 “학내 교과과정 편성이 힘들다면 메디컬이나 학회와의 협력을 통해 보수교육 등 추가적인 교육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교수의 강연 목표는 ‘동기 부여’다. 비디오 자료 등을 활용해 실상을 보여주고 “왜 감염 관리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과 동기를 갖게 한다는 것. 정 교수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는지 수정·보완 방법을 함께 찾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는 것 같다”며 “뉴스 등 방송 자료를 근거로 일반 국민의 상식 수준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실례를 바탕으로 개선점을 찾는 스타일”이라고 설명했다.
유아나 노인은 물론 심한 스트레스로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의 경우 공기에 노출되는 것만으로도 폐렴이나 독감 등 바이러스성 질병에 감염되기 십상이다. 정 교수는 “이러한 환자들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아울러 우리의 건강을 챙기는 차원에서 감염 관리 및 예방은 최선이자 필수의 선택”이라며 “가장 많이 노출되고, 때문에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의료인이 감염 관리에 적극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그야말로 당연한 말이 아니냐”고 반문했다.
“감염 관리는 성공적인 치과 운영 및 치과의사 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본 중의 기본”이라는 정일영 교수는 오는 6월 SIDEX 종합학술대회에서 ‘치과진료실에서의 감염 방지와 예방’을 주제로 지견을 펼친다. 수술방 에티켓은 물론 병원 및 진료실에서의 감염 관리 노하우를 꼼꼼히 전할 계획이다.
홍혜미 기자/hhm@sda.or.kr